•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 health information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생들의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건강정보 추구행태에 관한 연구 (Undergraduates' Use of Social Media for Health Information)

  • 김수정;오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83-99
    • /
    • 2012
  • 본 연구는 225명의 대학생들을 설문조사하여 건강정보 추구를 위한 소셜 미디어의 이용행태와 건강정보원으로써의 소셜 미디어의 유용성, 신뢰성,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151명의 대학생들이 건강정보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에 74명은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인기있는 소셜 미디어는 소셜 Q&A, 블로그,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의 순이었으며 나이, 성별, 학년, 병의 유무가 소셜 미디어 이용행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건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로써 소셜 미디어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CSR 소비자이슈를 위한 생활용품 안전관리대상 유형 분류형태 연구 (A Classification Study on the Consumer Product Safety Management Target for CSR Consumer Issues)

  • 서정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119-131
    • /
    • 2019
  • Among the themes for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nsumer issues include protecting the health and safety of consumers who purchase and use the products. In particular, ensuring product safety is a major theme of consumer issu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urrently, the government implements the Electrical Appliances and Consumer Products Safety Control Act for product safety management and selects products that may harmful to consumers as safety control items, and manages the products by designating them as 4 types of safety certification, safety confirmation, supplier conformity verification, and safety standard compli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management pla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more reasonable classification type of safety management target for 48 items of consumer products to be controlled by the act, and confirm the validity of the plan. First, we perform cluster analysis using data for 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to derive a new classification type of the safety management target. Next, we compare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with the classification type of the act and the existing scenario classification method RAS (Risk Assessment by Scenario) and the causal network method RAMP (Risk Assessment Method based on Prob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two new plans of safety management target classification and verify its validity.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 (II) -건강식품에 관한 소비자 의식구조- (A Survey on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Health Food in Korea (II) -Consumer Perception on Health Foods-)

  • 이은주;노승옥;이철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87-495
    • /
    • 1996
  • 건강식품 및 원료의 유효성분 및 위해요소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의 기초조사로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건강식품에 관한 이용실태 조사와 건강식품에 대한 객관적 지식정도 조사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방문 및 협조가 가능한 20세 이상의 일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1995년 10월부터 96년 2월에 걸쳐 직접 방문하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명한 후 조사대상자가 직접 기입하게 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882부를 회수(회수율 88%)하였으나 이중 불완전한 응답 23부를 제외한 859부(유효회수율 86%)를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대하여는 단순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교차표를 이용하여 결혼 여부, 월수입, 교육정도 등의 사회 경제적 여건과의 통계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건강식품에 관한 이용실태 조사결과로는 응답자의 58.8%가 건강식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었으며 68.2%는 건강식품의 효능을 믿는다고 응답하고 있어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에 대한 가장 큰 기대효과는 전체적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는 것(59.8%)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큰 부정적 견해로는 과대선전(52.1%)이라고 응답하였다. 건강식품에 대한 정보 선택 경로로는 주로 친지의 권유나 소개(30.6%)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 식품법에서 건강보조식품의 등록관리사실은 63.7%가 모르고 있다고 응답하여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건강식품의 행정적 관리사실에 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의 등록관리 사실을 알고 있는 건강식품의 종류로는 로얄제리(22.7%), 스쿠알렌(16.0%), 정제어유(15.1%), 유산균(10.6%), 알로에(8.8%)순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과 약품(또는 한약)과의 차별인식 조사결과에서는 응답자의 84.2%가 건강식품과 한약이 다르다고 생각하면서도 가장 잘 알고있는 건강식품의 종류와 약품(또는 한약)의 종류를 묻는 두 문항에 모두 인삼(22.7%, 41.7%)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건강식품과 약품의 구별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위한 계몽과 교육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본인 부담상한제와 민영 실손의료보험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Out-of-Pocket Maximum and Indemnity Health Insurance)

  • 남영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67-673
    • /
    • 2024
  • 본 연구는 건강보험의 본인부담상한제와 민영실손의료보험의 관계에서 야기되는 쟁점을 진단하고,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본인부담상한제 초과 환급금 미지급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실태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따른 실손보험의 역할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방적 약관 해석과 불완전판매 관행이 소비자 권익을 침해하고 있으며, 실손보험의 보장 축소에도 불구하고 보험료 인하로 이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상품 구조 합리화, 위험률 산출 투명화, 소비자 정보 제공 강화 등의 제도 개선과 함께, 건강보험과 민영보험의 합리적 역할분담을 위한 사회적 합의 도출이 시급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의료보장체계의 발전적 재편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민 건강의 결정 요인 3 : 질병예방 및 의료이용행태 (Health-related Behaviors : Theoretical Models and Research Findings)

  • 배상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4호
    • /
    • pp.508-533
    • /
    • 1993
  •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국민들의 예방행태와 질병행태, 그리고 환자역할에 대하여 기존에 발표된 자료를 중심으로 재해석을 기하여 보았다. 물론 이 발표에서 사용된 자료들이 정확하며 타당한 자료인가에 대해서는 반드시 그렇다라고 답변할 수는 없다. 다만 우리나라에서의 건강관련행태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한계라는 현실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는 사실을 이해해주기 바란다. 우리나라국민들의 건강행태는 과거에 비해 상당히 변화하고 있으나 계층간의 행태의 차이, 변화의 원인 등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미흡하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행태연구들이 정합적인 모형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것이 그 원인의 하나 일 것이다. 새로이 개발된 모형들을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사용되는 변수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행태와 관련된 연구에서 사용되는 변수들이 사회문화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생각하면 우리나름대로의 변수정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하겠다. 끝으로 행태를 연구함에 있어 인간의 의식은 사회구조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루카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노동자의 계급의식 역시 자본주의 구조의 산물일 수 있다 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지식, 태도, 행태 등에 대한 연구는 사회구조의 총체성에 대한 인식을 요구한다.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행태연구를 통한 결과가 희생자비난의 논리로 악순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PDF

공공도서관 의학정보서비스를 위한 지식관리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in a Public Library)

  • 이란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3-86
    • /
    • 2001
  • 지금 전 세계에서는 인간수명의 연장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더욱이 인터넷의 발달로 의료정보 접근과 의료 상담에 관련된 사이트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의학정보에 대한 오남용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 이제 공공도서관에서도 이용자에게 건강·의학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능동적인 지역정보봉사를 제공해야만 하는 시점에 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 지역정보봉사의 개선을 위한 한 방안으로 의자정보사이트의 구축과 관리를 지원하는 통합 지식관리시스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론적 배경으로 공공도서관의 의학 정보서비스에 관련된 이슈와 지식경영과 지식관리시스템에 관련된 이슈를 다룬다. 그 다음 국내외 12개 의학정보사이트를 분석한 후 공공도서관 의학정보사이트 구축에 대한 계획 및 구성을 제안한다. 끝으로 의학정보사이트를 지원하는 5개의 하부 시스템으로 구성된 통합 지식관리시스템의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지식창출 시스템, 2)기술지원 시스템, 3)교육지원 시스템 4)커뮤니티 시스템, 5)지식공유 네트워크 시스템. 이 시스템은 지식경영에 기초를 둔 통합 지식관리시스템으로서 공공도서관이 보다 경쟁력을 갖고 지역정보봉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것이다.

  • PDF

수산물 관여도에 따른 상황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tuation Factor related to Consumer Involvement of Seafood)

  • 장영수;김민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607-621
    • /
    • 2009
  • In order to deal with consumer's demand changes in market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study on the consumer behavior to promote seafood consump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s on consumer involvement of seafood. It is also aim to examine how the situation of seafood factors influences the consumer's behavior in purchasing and consuming the seafood. In this study, I have conducted a survey by using Busan housewives as random sampling. To examine this variable, situation factors that I used if the factor analysis. I also perform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how the situation factors influenced the consumer's emo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in the level of involvement. The result showed that consumer involvement seafood is created by not only interests and preferences, but also knowledge, perceived risk and profits. The seafood situation factors are divided into purchase situation, consumption situation and communication situation: purchase situation includes store factor, while consumption situation includes health factor and cooking-motive factor and communication situation includes information factor. Results of examining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volvement explains that the involve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and it is divided into 2 groups. The first groups is the high-involvement group that shows preferences and interests, perceived risk and profits. Another group is the low-involvement group that shows preferences and interests, knowledge and profits. The result on examining whether situation sectors have influences on the involvement shows that high-involvement group is only affected by store factor in purchase situation and low-involvement group is only affected by information factor in communication situation.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정보탐색 유형별 인지된 정보유용성 분석: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 관련 정보탐색을 중심으로 (The Association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arch and eHealth Literacy with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Analysi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 심민선;조희숙;정수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127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1) the pattern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arch with respect to seeking and scanning, and (2) how online search, along with eHealth literacy, predicts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Method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99 adults from the consumer panel recruited for the purpose of quality assessment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in 2016. We conducted paired sample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4.0 (IBM Corp., Armonk, NY, USA) and SAS ver. 9.3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Results: Of the respondents, 38.8% were 'high seek-high scanners,' 35.8% were 'low seek-low scanners,' 13.0% were 'high seek-low scanners,' and 12.4% were 'low seek-high scanners.' eHealth literacy was a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of online information scanning (odds ratio [OR], 2.46; 95% confidence interval [CI], 1.41-4.29), but not for online information seeking (OR, 1.75; 95% CI, 1.00-3.05). With respect to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information seeking, online seeking (OR, 4.90; 95% CI, 2.19-11.00) and eHealth literacy (OR, 2.30; 95% CI, 1.11-4.75) were significant predictors.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scanning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nline scanning (OR, 2.38; 95% CI, 1.08-5.22), but not with eHealth literacy. Conclus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olicy for online information search and related outcome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it is important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promoting eHealth literacy.

영양표시에 대한 주부소비자의 인지, 이용, 요구도 조사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

  • 장순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7호
    • /
    • pp.763-773
    • /
    • 2000
  • On the basis of the concept retained in nutition label(NL) the consumer's perception use and demand on NL nutrition knowledge(NH) purchase of nutrient controlled food and dietary modification for health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1203 house wives mainly in the age of 30-40 an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ubjects' demand on nutrition information was greater while the availablity and usefulness of NL was unsatisfactory. The purchase frequencies of nutrient controlled foods were higher compared to NL reading. The use comprehenison reliability of nutrition information were better in high NK group compared to low NK group except the reliability on health claims. The required nutrients for content information were in the order of calorie Ca cholesterol Fe protein and total fat. The demand for nutrient content information was carrelated with intention of subjects' dietary modification but not the use of N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L be a good source of nutrition information and the consumers' demand for NL was based on their dietary purpose though the use of NL was unconfirmed.

  • PDF

건강정보전문사서의 역할 및 자격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vestigating Roles and Qualifications of Health Information Librarian)

  • 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93-12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문사서 유형 중 최근 웰빙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그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건강정보전문사서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구인구직사이트 분석을 기반으로 건강정보전문사서가 갖추어야 할 학력, 경력, 수행할 직무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정보전문사서의 명칭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공공도서관에는 건강정보 전문사서, 병원도서관 및 의학도서관에는 의학전문사서의 명칭이 적합하다고 본다. 둘째, 건강정보전문사서는 석사 이상의 문헌정보학 교육 경력 및 학사 이상의 건강관련 교육 경력이 요구된다. 셋째, 적어도 2년 이상의 해당분야 경력이 요구되며 특히 건강정보서비스 경험이 요구된다. 넷째, 뛰어난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대인관계능력이 요구되며, 특히 건강관련 정보자원에 대한 높은 지식이 요구된다. 다섯째, 수행해야 할 주요 직무는 도서관운영업무, 교육업무, 연구업무, 정보자원의 접근과 공유업무, 장서관리 업무, 정보관리기술업무, 지지활동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