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mpetency evaluation

Search Result 54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개인 정보 역량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윤취영;임춘성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8-154
    • /
    • 2003
  • An Evaluation System of Personal Information Competency was developed to evaluate individual Information competency and maturity levels in the enterprises of the information environment. The Evaluation System measures the requirements of information knowledge, skills, and mindset with the evaluation indices of personal information maturity. The indices are customized to four types of business departments - strategy Planning, development/maintenance, business applications, and administration support. Also, a maturity model of personal information competency is defined for interpret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s. The system was applied to assessment of actual human resources, 124 workers in an enterprise, to testify to its practical value. The case evaluation procedures include a series of questionnaires, written tests and application tests.

  • PDF

중소기업 맞춤형 기술보호 수준평가 모델 연구 (Evaluation Model of Technology Protection Competency customized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박상훈;조남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13-125
    • /
    • 2017
  • In today's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protection cannot be overemphasized. To evaluate technology protection competenc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Government has conducted surveys every year but its effectiveness is still in questio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echnology protection for SMEs, a customized evaluation model of technology protection competency has been suggested in this study. Surveys are conducted to measu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valuation areas that can be influenced by the size and type of business.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exis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valuation area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technology protection can be enhanced by utilizing a customized evaluation model depending on the size and type of business. Also, the proposed model can be used for SMEs to identify and enhance their weakness in technology protection. Overall,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odel can be effectively used to protect valuable technologies in various SMEs.

신규간호사 프리셉터의 핵심역략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re Competency Evaluation Tool for New Graduate Nurse's Preceptor)

  • 권인각;정경희;조혜술;황지원;김지영;전경옥;성영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35-549
    • /
    • 200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evaluation tool of the preceptors training new graduate nurses and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instrument. Method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 phases. In phase I, preceptor's core competency list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review by nursing directors and nurse managers. In phase II, 60 preceptors were evaluated with the developed instrument and categorized into excellent, good & poor core competency groups. For validation of the instrument, new graduates' clinical performance improvement and satisfaction with preceptor were compared between excellent and poor group. Result :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C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receptor's core competenc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domains; Role model(10 items), Socialization facilitator(8 items), and Educator(16 items), and each item had four point system of "strongly agree" to "strongly disagree". Cronbach'${\alpha}$ of the instrument was.9416. 2) Comparison of clinical performance improvement and satisfaction with preceptor of the new graduates trained by excellent and poor preceptors revealed that new graduates' clinical performance improvement(p=.015) and satisfaction with the preceptor(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cellent core competency preceptor group than the poor core competency preceptor group. Conclusion : The validity of the preceptor's core competency evaluation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nfirmed. Therefore, this tool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education and evaluation of new graduates' preceptors in clinical settings.

  • PDF

역량 기반 전공 교과목의 성취도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Outcome Assessment of Competency-based Major Subjects: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조용연;김주리;강승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25-234
    • /
    • 2022
  • 다양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설계한 역량 기반 전공 교과목이 늘어나고 있다. 여기서 역량이란 핵심역량 혹은 전공능력, 공학교육인증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NCS의 능력단위 등을 포함한다. 교육부의 대학 기본역량 진단 평가에서는 모든 전공 교과목이 해당 학과의 전공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편성 운영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공학교육인증을 운영하는 학과의 전공 교과목은 프로그램 학습성과와 연계되어야 한다. 또한, 능력중심사회가 강조되면서 대두된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를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여 전공 교과목을 능력단위에 기반하여 개발 운영하기도 한다. 다양한 형태의 역량 기반 전공 교과목은 관련된 역량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수행의 과정과 결과를 모두 고려하여 학생들이 어느 정도의 성취 수준을 보이는지 확인할 수 있는 역량 평가 방식을 선정하여 교육성과를 측정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역량과 연계된 전공 교과목에서 교육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역량평가 유형을 살펴보고, 교과목 단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역량을 종합하여 측정하는 평가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전공 교과목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한다.

설계VE팀의 역량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Evaluation Item of Design Phase VE Team)

  • 서하나;이학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97-800
    • /
    • 2007
  •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VE는 예산낭비와 비효율적 요인을 서전제거하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06년부터 건설교통부에서는 "설계의경제성등검토"를 총공사비 100억원 이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적 뒷받침이나 기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설계VE는 수행과정에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효과가 극대화되지 못하고 있다. 효과적인 설계VE팀 구성으로 설계VE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설계VE팀의 역량평가에 대한 체크리스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VE팀의 역량평가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역량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가중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계VE팀의 특성에 따른 역량인자를 도출하여 팀 지식, 팀워크스킬, 팀 태도로 구별하여 구성하였다. 도출된 역량인자의 중요도에 대해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그 결과로 도출된 제 1, 2, 3계층의 역량 평가항목에 대하여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한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 PDF

농업인교육자의 농기업경영컨설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for Agribusiness Management Consulting Competency of Agricultural Educator)

  • 강대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4호
    • /
    • pp.905-959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 교육자에게 필요한 농기업 경영 컨설팅 능력을 도출하고, 농기업경영컨설팅능력에 적절한 수업방법, 평가기준을 도출하며, 이들 결과를 기초로 교과목과 과목별 내용, 수업방법과 평가기준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과 인터넷검색을 통하여 도출된 농기업경영컨설팅능력을 검토할 수 있는 조사도구를 만든후 전문가집단 17명을 대상으로 한 Delphi연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델파이 조사 결과는 평균점수와 표준편차, CVR값을 분석하여 적절한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농기업경영컨설팅능력을 구성하고, 이들 각 영역에 해당하는 교과목을 만들었으며, 교과목에 적절한 수업방법과 평가기준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이들 교육과정을 활용할 때 고려하여야 할 부분과 추가적인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변증(辨證) 기반 진료수행시험(CPX) 시나리오를 이용한 역할극에 대한 학생 자가 평가의 일치도와 개선 방안 (Consistency of Student Self-Assessment of Role Play Using the Syndrome Differentiation-Based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Scenario and Improvement Measures)

  • 조학준;조나영;박정수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7-53
    • /
    • 2022
  • Objectives : This study analyzed the concordance between student self-assessment and peer-evaluation in a role play using the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scenario developed based on Korean medical syndrome differentiation.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irst-year-students majoring in Korean Medicine. The role play based on clinical case was performed in the class of Korean Medicine Classics. Feedback on clinical skill competency got through student self-assessment and peer-evaluation, and this study was compared and analyzed of result. Results : A simpl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self-assessment and peer-evaluation in the evaluation results of clinical skill competency may appear to be consistent.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discriminative ability in the evaluation of clinical skill competency.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a bit by relativel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scores on the items that students expect to respond differently among the evaluation items. In addition, in order to dramatically improve the systemicit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of clinical skill competency itself,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CTKM) course. Conclusions : Student's self-assessment and peer-evaluation as feedback on clinical skill competency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W 역량 인증제 관련 교과목 강의 평가 및 성과 분석 (Evalu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Lectures related to SW Competency Certification System)

  • 박혁규;강윤정;이민혜;원동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1-263
    • /
    • 2022
  • 소프트웨어 인력 수요에 대응해 소프트웨어 교육 체계를 혁신하고 창의 융합 사고를 갖춘 소프트웨어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SW 중심대학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은 2015년 8개 대학을 선발하여 시작하였고, 2022년 9월 현재 기준으로 44개 대학이 참여 중에 있다. 2018년에 선정된 원광대학교 SW 중심대학 사업단은 SW 역량 강화를 위해 SW 역량 인증제를 채택하여 학생들의 관련 프로그램 참여를 활성화였다. 본 논문에서는 SW 역량 인증제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 관련 과목 학습자의 강의 만족도 및 인증제의 성과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시된 분석 결과를 통해서 SW 역량 인증제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 PDF

지적분야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adastral Field Process Evaluation-type Qualification System)

  • 서용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3권1호
    • /
    • pp.5-20
    • /
    • 2023
  • 정부는 검정형 자격제도의 한계를 극복하고 관련 산업계에 적용가능한 실무능력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적분야도 지적산업기사 등급의 과정평가형 자격제도를 운영중에 있다. 그러나 과정평가형자격의 교육훈련과정에 지적분야가 아닌 측량분야의 능력단위를 교육함으로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의 취지와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적분야의 과정평가형 자격제도를 면밀히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적분야의 NCS는 2014년 개발이후 별다른 보완·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행 법령과 맞지 않는 부분이 다수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보완개발이 필요하며, 둘째, 현행 지적분야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에 활용하고 있는 측량분야의 선택능력단위를 지적분야의 NCS 능력단위로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행 지적분야의 NCS의 12개 능력단위를 필수능력단위로 지정하고 교육·훈련을 운영한다면 충분히 지적기사 등급의 역량을 갖춘 실무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므로 지적기사 등급의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도입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인 제도운영 및 적용을 위해서는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교육·훈련에 활용되고 있는 지적분야 NCS의 보완·개발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의학교육에서의 역량기반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 김영전;임철일
    • 의학교육논단
    • /
    • 제13권1호
    • /
    • pp.13-23
    • /
    • 2011
  • Competency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are topics of great interest to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at most stages of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A competency-based approach in medical setting has been valued as a more effective way to strengthen learners' performanc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oretical and practical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We approached the topic in 3 gradual steps: the comprehension of background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ompetency in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e exploration of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e last step of analysis was performed in three dimensions: educational objectives, references to judge performance, and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In conclusion, we suggest 4 factors which need to be considered to implement a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