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ency Standard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9초

취업률 향상에 기여하는 공학인증 시스템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perating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System to Contribute to Improving Rate of Employment)

  • 손호재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45-52
    • /
    • 2016
  • The employment rate of a college has long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college survival strategies. Employment rates may not be key to colleges' survival in other countries, but they are fundamental to colleges in Korea as seen in the Korean government-le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which has been underway since its introduction to colleges in Korea. Against this backdrop, if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system can contribute to improving employment rate in this context, it can take root more quickly. The process conducive to improving employment rates can be classified as both direct and indirect methods. With dwindling school-age population having impacts o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 directions of colleges have rapidly been shift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NCS. Therefore, various survival strategies for colleges need to be developed. An indicator of employment rate of college graduates is among the most important things during this transition process.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t Koje College has consistently shown good records during the past 5 years by matching the accreditation schemes and employment strategies. The department will help put in place th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t the college through its various innovative and effective programs. To formulate a better employment strategy, it is needed to reflect and consolidate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scheme into the existing employment policy of college. In short, this paper examines both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scheme and the employment policy in ways that helps produce a coupling matrix structure. This study looks into the measures for improving employment rates by better adjusting the engineering education methods under the accreditation scheme.

한국 치위생(학)과의 교육과정 개편 방향에 대한 요구도 (The demand for the change in Korean dental hygiene curriculum)

  • 원복연;정의정;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1-169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d the demand for the change in Korean dental hygiene curriculum. This study compared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of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y and tir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that meets the education policy change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1,192 participants including dental hygiene professors,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mail, telephone call from the professors and research assistants, email, and direct visit from June 10 to August 10, 2013.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13 questions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Results: The professors answered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dental hygiene curriculum as the first priority(48.9%) and dental hygienists(51.6%) and students(42.6%) chose the development of new dental hygiene curriculum(p<0.001). In the analysis of validity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the professors gave 3.29 to the validity of evaluation for basic job performance, and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the students gave 3.05 and 3.26 points, respectively(p<0.001). In relation to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s, the professors gave 4.17 points which implied that curriculum change is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thing to do.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the students gave 3.90 and 3.47 points, respectively(p<0.001). Conclusion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the revision of the current Korean dental hygiene curriculums is required. Therefore organizations related to dental hygiene including professor association and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should carefully rebuild the curriculum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dental hygienists. They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curriculum.

핵심실기역량강화교육이 간호학생의 핵심역량과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re Practical Capacity Enhancement Training on the Key Competence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신화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279-287
    • /
    • 2020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임상실습교육을 위하여 실습위주의 핵심실기역량강화 실습교과목 학습이 간호학생의 핵심역량과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을 2주간 1일 8시간씩 네 영역의 핵심간호수기영역 교육을 실시한 그룹과 전통적인 강의중심 교육을 받은 그룹으로 나누고 15주간 임상실습 후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가 보고하게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비판적사고성향과 임상실습만족도 부문의 가설은 지지되었으며 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부문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핵심실기역량강화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비판적사고성향과 임상실습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교육에서 효과적인 실습교육 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계 시스템 생산 작업관리자 직무 분석에 의한 안전직무교육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Safety Duty Education According to Production Manager Job Analysis in the Mechanical System)

  • 양광모;김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3-71
    • /
    • 2017
  • As the demand for automation (or autonmation) or clean workplace has grown, the interest in the knowledge and skill regarding safety is rising in manager duty. Moreover, the importance of severity rate of injury has increased due to the enlargement of industry scale, even safety management area has developed. Thus, it is important that production managers, the core of the line process, realize the safety in their production line, even if a safety manager acts as a staff. However, in the duty oriente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the education about the safety duty of production management part is insufficient. According to NCS, it is calculated production managers receive only 6.7% of whole safety education regarding the duty related the safety management for production manager in mechanical industry. However, the ability in safety is more demanded from production managers as the concept of "production and safety" turns into the concept of "production with safety". And then in this paper,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safety management duty in Korean NCS and the safety management duty in State Leaders Connecting Learning to Work in US manufacturing industry, in terms of the duty of the production manage in mechanical industry (05). And, we will develop the safety duty education system for production manager, by classifying the safety education in domestic mechanical industry into knowledge education, skill education, and attitude education with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Bloom의 완전학습모델을 활용한 NCS 기반 조리 실무 교수·학습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NCS-based Cooking Practice Teaching Method by Using Bloom's Mastery Learning Model)

  • 오왕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58-106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CS-based cooking practice education method by using the full learning model and to confirm its effect. The study design was a pre-post test of the non-equality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8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NCS-based cooking practice training using the complete learning model,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cooking practice training based on the full learning model.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6 and analyzed by SPSS WIN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mogeneity test showed that pre - homogeneity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cooking ability, and knowledge of cooking theory were achieved (p>0.05).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recognized that its cooking ability was high. With respect to the ability to cook food, the ability to cook, and the ability to prepare food ingredients (p<0.01), personal hygiene management, cooking hygiene management, and cooking safety management 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 The mean value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 Third, the final theoretical knowledge score was not significant. The averag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69 points) was 5 point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64 points). This was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e score of 37 points in the first stage preliminary survey. Finally, the final performance score was significant (p<0.05), and th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89 points) was 5 point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84 points). Therefore, the NCS-based cooking education method is confirmed to be an effective method, especially for improvement of the practical ability, improvement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achievement of perfect learning standards.

민간경비 인사업무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한 고찰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HRM Factors in Private Security)

  • 권정언
    • 시큐리티연구
    • /
    • 제56호
    • /
    • pp.55-8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업에서 내적 역량에 비해 급격한 외적 성장으로 야기된 성장통을 해소하는 적극적인 활동을 인사업무에서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사업무를 민간경비 인사업무에 적용하여 계층구조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통해 상대적인 중요도를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 인사업무의 대분류 구성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모집단계, 운용단계, 복지단계, 퇴직단계 순으로 나타났다. 모집단계의 상대적 중요도가 63.8%에 이르렀다. 둘째, 대분류를 다시 14개 능력단위를 중분류로, 그리고 능력단위요소 46개를 소분류로 구분하여 복합중요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모집단계의 인사기획과 인력채용이 가장 집중해야할 분야로 선정되었다. 또한 교육과정 기획하기와 교육과정 운영하기가 각각 8위와 10위에 해당하여, 교육훈련의 운영에도 역량을 집중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민간경비업의 발전을 위해 인사업무 중 역량을 집중해야 할 분야를 제언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연구방향과 기법도 제안하였다.

직무모형을 중심으로 한 4년제 대학 실내디자인 관련 전공교육과정 개발 연구 -K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a Job Model Centric Educational Program for a 4 Year Interior Design University Course: Based on a Case Study of an Interior Design Major at K University)

  • 정성욱;김석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46-555
    • /
    • 2019
  • 본 연구는 K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전공의 교육이 산업계의 요구에 부합하는 전문인을 양성하도록 교육과정의 개발절차 및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내 외부 환경분석을 거쳐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수립하였다. 이어서 실내디자인분야 직무모형을 구축하고 직무에 따라 교과목을 도출하여 4년제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목을 편성하였다. 실내디자인 직무에 따라 수립한 인재상은 '실내디자인분야 경영 및 마케팅 전문가', '실내디자인분야 공간기획 전문가' 그리고 '실내디자인분야 시공관리 전문가'이다. 세부 직무모형에 따라 40개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1학년은 학부 공통교과목, 2학년은 전공기초, 3학년은 전공심화, 4학년은 전공응용으로 전체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내디자인분야의 산업체 조직구성현황 및 직무표준의 모형을 기준으로 교과목을 개발하는 과정 자체를 제안하고 구체적 결과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실용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디지털시대 물류 전문인력 양성방안 (An Education and Training Strategies for Logistics Professionals in the Digital Age)

  • 한철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5-29
    • /
    • 2022
  • 한국 물류산업은 양적인 측면에서 물류전문인력의 부족과 질적인 측면에서 산업계 요구에 부응한 실무 전문가를 양성해야 하는 이중고에 처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와 해외 물류인력 양성교육을 상호 비교해 보고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물류인력의 역량과 기술들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물류인력 양성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 대학의 물류교육과정 전수조사를 통해 물류인력의 수급상황을 검토하였고, 해외의 성공적인 물류분야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심도있는 문헌연구를 통해 물류인력에 요구되는 기술과 역량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효과적인 물류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첫째, 국가표준물류역량지도의 작성과 이를 토대로 국가물류 역량개발 통합플랫폼 구축, 둘째, 물류인력양성을 위한 산학교육훈련 생태계 조성, 셋째, 디지털전환과 COVID-19 팬데믹에 대응한 신규 물류인력을 육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

산업체 참여형 캡스톤디자인 & 현장실습 연계 모형 연구: 경북 Y대학 전자공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dustry Capstone Design and Professional Practice Linkage Model: Case Study of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Gyeongbuk Y University)

  • 이석문;서영석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37-147
    • /
    • 2022
  • 대학은 학생들이 전공 관련 직무역량을 갖추고 졸업할 수 있도록 교과 및 비교과에서의 경험 학습을 제공해야 하며, 경험 학습에는 교내에서 수행하는 캡스톤디자인과 산업체에서 수행하는 현장실습 등이 있다. 특히 2021년 하반기부터 도입된 표준현장실습제도의 시행으로 산업체의 단기(4주) 및 중기현장실습(8주) 참여 감소현상은 학생들이 실무경험을 쌓을 기회를 더욱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애로기술을 해결하는 캡스톤디자인과 현장실습을 결합한 산업체 참여형 캡스톤디자인과 현장실습 연계 모형을 제안한다. 참여 학생들은 캡스톤디자인 과정에서 기업애로기술의 해결책을 찾고 현장실습 기간 동안 해결책에 대한 시제품제작을 진행한다. 어려운 난제가 있을 경우 전담 교수의 도움으로 해결하는 연계 모형이 경북 Y대 전자공학과 사례의 운영을 통해 대학과 산업체가 상생하는 산학협력 교육의 하나의 좋은 모형이라고 판단된다.

시각디자인 교사역량 평가 모델 연구 (Visual design teacher competency evaluation model study)

  • 손붕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2권1호
    • /
    • pp.29-41
    • /
    • 2022
  • 최근 시각디자인 전공은 많은 국가에서 생산적 가치를 창출하는 신흥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시각디자인 교사는 디자이너의 발전과 디자인 산업의 트렌드에도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시각디자인 전공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대학의 시각디자인 전공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며 그들의 직무를 수행할 때 갖춰야 할 역량의 구성 모델을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문서 분류를 통해 지식 능력, 교학 능력, 실무능력, 관리능력, 직업윤리인 5가지 역량군을 기반으로 한다. 시각디자인 업계 전문가 10명과의 인터뷰와 2회의 델파이 방식 인터뷰를 통해 시각디자인 교사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