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mathematics achievement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 교양수학의 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고찰 - 생명.나노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tr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College general mathematics)

  • 서종진;유천성;최은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559-573
    • /
    • 2007
  • 기존의 대학 교양수학은 공학이나 이학(자연)계열 또는 전공 분야의 구분 없이 주로 하나의 통합된 내용으로 교재가 구성되었다. 이러한 내용 구성은 전체적으로는 좋을지라도 현행 입시 체제와 사회적 변화에 대한 고려가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학 교양수학에서 다루어야할 수학 내용은 각 전공(또는 학부)별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으며, 그 내용의 깊이는 전공에서 활용되는 정도와 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성이 있다.

  • PDF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수학적성향 사이의 관계 연구 -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DLR and Mathematical Inclination - A Case Study on Engineering Freshmen in D University -)

  • 이정례;이경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5-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위권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수학적성향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D대학교 공과대학 2011학년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검사와 수학적성향 검사 및 수학에 대한 인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수학적성향의 요인 및 수학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D대학교 공과대학 2011학년도 신입생들은 대체로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미약하며,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수학적성향 및 수학에 대한 인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대학수학 교육을 위해서는 대학수학 교수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양안시이상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f Correlation Among Binocular Dysfunc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 이선행;조현국;박천만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1-487
    • /
    • 2013
  • 목적: 초등학생들의 비사시성 양안시이상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123명의 부모와 학생(8~13세)을 대상으로 COVD-QOL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점수가 20점 이상인 어린이 188명을 선별하였다. 이들 중에서 다시 사시, 약시, 안질환 및 전신질환이 없고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검사기준에 적합한 어린이 123명을 대상으로 양안시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학업성취도는 2010년 2학기와 2011년 1학기에 시행한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점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눈 증상이 있는 초등학생 123명 중 93명에서 비사시성 양안시이상으로 판단되었고, 비사시성 양안시이상 중 조절이상은 과학과 영어, 버전스이상은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그리고 영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조절이상과 버전스이상 모두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 학업성취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한 특수 목적대학에 대한 이미지 분석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on the images of special purpose academies)

  • 배현웅;권기호;문미남;문호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1호
    • /
    • pp.11-20
    • /
    • 2010
  • 본 연구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육 해 공군사관학교, 경찰대학, 간호사관학교 등 특수목적 대학에 대한 이미지 포지셔닝 분석을 실시하여, 이들 대학이 수험생들에게 어떠한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는지에 대한 진단과 이로부터 우수학생을 유치하기 위한 이미지 개선 방안과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육 해 공 3군사관학교는 체력 및 신체조건, 학교전통, 선 후배간의 유대관계가 강한 학교로, 반면에 경찰대는 사회진출이 용이하고, 학업성적이 우수해야 입학할 수 있는 학교로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육사는 교육 환경과 시설, 교육 프로그램, 교수진, 학교전통, 선 후배간의 유대관계 등에서 해사와 공사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지원자들의 학업성적 수준에서 경찰대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고, 사회 진출면에서도 경찰대보다 불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se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 김민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503-531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사가 수업을 구성하고 교사학습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24명의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들 중 두 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자료와 인터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학교사들은 교육과정의 결정자로서 문서화된 교육과정이 의도된 교육과정으로 전이되는 과정의 주체로 참여하고 있었으며 수업목표, 수업내용, 평가내용 선정과정에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정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에 반해 교수법, 평가방법 선정과정에서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정도는 높지 않았다. 이와 함께 학생들의 성취도 수준, 참여도, 수학에 대한 관심도, 가정환경, 입시제도 등 수업을 구성 계획하는 과정에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Tools for the Acquisition of Graphing Ability: Real-Time Graphing Technology

  • Kwon, Oh-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53-63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Calculator-Based Ranger (CBR) activities in the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graphing abilities of physical phenomena. Two issues about CBR activities on graphing abilities were addressed in this study; (1) the effect of CBR activities on graphing abilities, and (2) the influence of instructional styles on students' graphing abilities. Following the use of CBR activities, students' graph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more developed in three components-interpreting, modeling, and transform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tudents' achievement depending on instructional styles related to differentiation,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transforming distance-time graphs to velocity-time graph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BR activities may enhance students in constructing appropriate webs of related concepts and ability to qualitatively interpret graphs. Using collaborative CBR activities to introduce and explore graphing of physical phenomena is, therefore, recommended for inclusion in the secondary mathematics curriculum.

  • PDF

수학수업을 위한 예비초등교사의 교수학적 변환 고찰 (A Study on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Mathematics instruction)

  • 권성룡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15-438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가 수학수업을 위한 교수학적 변환과정에서 어떤 점에 주목하여 교과서 활동을 분석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수학수업을 위한 교수학적 변환에서 예비교사가 어떤 점에 주목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초등수학교과서의 활동을 분석한 후 수학수업을 위해 활동을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것이 필요한 한 차시를 선택하여 활동을 구안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안을 작성하여 실제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 후 협의회를 통해 다시 수정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수학수업을 위해 교과서 활동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교과서의 활동이 구체물 활동을 제공하는지의 여부, 학생의 동기를 유발하는지의 여부, 차시별 활동이 중복되는지의 여부 등에 주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학수업을 위한 교과서 활동의 교수학적 변환을 위해서 예비교사들은 교육과정의 목표 및 성취기준, 교사용지도서의 단원 및 차시목표 등과 같이 관련 교육과정 문서를 종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학수학교육에서 Maple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sing Maple in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 서종진;유천성;최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57-573
    • /
    • 2006
  •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H대학교와 C대학교의 이과(자연)계열 학부생 1학년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서 집단은, 실험집단(집단I, 집단II 각각 20명)과 비교집단(집단 III: 20명)으로 구분하였다. 집단I과 집단II에는 강의식 수업과 Maple을 활용한 수업을 병행하여 실시하고, 집단III에는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Maple의 활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평가에서 집단I은 지필과 Maple을 함께 사용하여 해결하도록 하고, 집단II와 집단III은 지필로만 해결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지필로만 해결한 문항에 대한 평가에서, 학습 집단(집단I, 집단II, 집단III)간의 수학 성취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그러나 지필과 Maple을 함께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한 집단I의 수학 성취도는 지필로만 문제를 해결한 집단(집단II, 집단III)의 수학 성취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1). 그리고 집단I에서 지필로 그래프를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Maple을 활용하여 해결한 상당수의 학생들이 있었다.

  • PDF

대학교양수학의 플립러닝과 플립 PBL 효과성연구 (Study on Flipped Learning and Flipped PBL Effectiveness of College General Mathematics)

  • 김동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09-215
    • /
    • 2018
  • 대학 교양수학은 이공계열에서 필수 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으나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은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대안으로 자기 주도와 학습자 중심으로 효과성이 높은 교수법으로 잘 알려진 플립러닝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교수법에서도 몇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어 플립러닝에 대한 대안적 방법으로 PBL을 플립러닝에 적용한 플립 PBL 수업을 교양수학 과목에 적용하여 기존 플립러닝 수업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지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플립 PBL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기존 플립러닝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의 비교연구에서의 교육적 효과성을 알아본 결과 첫째, 지필고사 결과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평균이 22점 이상 높게 나타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성찰저널 분석에서는 통제집단과 대조적으로 실험집단에서 수학의 흥미도 향상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이 많아 흥미도 변화에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 이교수법이 기존의 플립러닝을 보완할 수 있는 교수법으로 확대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시·도교육청에 의한 일반계고 학업성취도의 동태적 변화 예측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적용 (A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Dynamic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High School: Applying System Dynamics)

  • 하정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87-39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시·도교육청의 변인을 확인하고, 시·도교육청 지원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동태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6개 시·도교육청 총 606개 일반계고의 국가 수준학업성취도(국어·영어·수학 교과의 보통학력 이상 도달 비율) 결과를 다층모형과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도교육청 수준의 지방교육재정 효율화 노력과 교원행정업무 경감 노력,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시·도교육청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책 실험을 통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동태적 변화를 예측한 결과,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지방교육재정 효율화 노력, 교원 행정업무 경감 노력 순이었다.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해 시·도교육청의 기능은 교육 책무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다 강화된 정책을 수립·운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