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DLR and Mathematical Inclination - A Case Study on Engineering Freshmen in D University -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수학적성향 사이의 관계 연구 -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2.01.17
  • Accepted : 2012.02.03
  • Published : 2012.02.15

Abstract

In order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mathematical inclination, we survey the adjusted SDLRS(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of Guglielmino's model and the mathematical inclination, the recognition of mathematics for 2011 year engineering freshmen in D universit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middle level engineering freshmen showed averag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they had lower level of motivation, passion and time management skill. The relation of SDLR and the mathematical inclination was strong. Furthermore, SDLR and the recognition of mathematics in engineering freshmen was found to be the most closely rel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suggest to study of strategies to elevate SDLR of engineering students and improve their achievement in college mathematics. Especially, we suggest that college mathematics for engineering freshmen must be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SDLR.

본 연구에서는 중위권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수학적성향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D대학교 공과대학 2011학년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검사와 수학적성향 검사 및 수학에 대한 인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수학적성향의 요인 및 수학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D대학교 공과대학 2011학년도 신입생들은 대체로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미약하며,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수학적성향 및 수학에 대한 인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대학수학 교육을 위해서는 대학수학 교수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숙․고호경 (2007). 수학 교수․학습과정에서 사고력 신장을 위한 계산기의 활용 : 학생들의 수학화 발달에서 테크놀로지의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1), 97-122.
  2. 구광조․오병순․류희판(역) (2004).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서울: 경문사.
  3. 권낙원․민용성 (2004). 교수유형(teaching style)분석을 위한 준거탐색, 교육과정연구, 22(1), 75-100.
  4. 김광한․김병학․김경석․박은아 (2009). 대학수학교육의 현황과 7차 교육과정 세대의 효율적인 수학교육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3(2), 255-277.
  5. 김남희 (2005).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 사례연구- 7-9단계 수학수업과 연계된 교수․학습보 조자료 개발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7(4), 337-352.
  6. 김병무 (2010). 대학수학에서 자기주도 수학학습,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4(3), 563-585.
  7. 김지자․김인아․안현미 (200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한국초등교육연구, 12(1), 177-209.
  8. 박현정 (2005).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학습전략의 사용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교육, 32(1), 203-222.
  9. 변경혜 (2006). 수학적 힘의 신장 프로그램을 적용한 교실 수업 동영상 자료 반복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수학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0(2), 296-326.
  10. 심미자 (2000).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선수학습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학습선호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양명희․황정규(2002). LISREL을 이용한 자기조절학습의 개념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6(2), 259-290.
  12. 이화진 (1998). 자기주도학습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방안 탐색: 구성주의적 시사. http://classroom.re.kr/uploadfile/content13/second08/data01/sub19. (검색어: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학습 & 교수학습, 검색일: 2011. 10. 24).
  13. 이정례․이성진․권혁홍․이경희 (2011).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5(1), 167-184.
  14. 이지혜 (2010).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48(2), 67-92.
  15. 임병노 (2011).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정서' 척도 개발 연구. 교육방법연구, 23(4), 827-853.
  16. 임세영․이웅일 (2010).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진단 및 요인분석-한국기술교육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2(1), 17-27.
  17. 전재복 (2008). 바람직한 대학기초수학 교육과정 운영방안 : 공학기초수학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2(4), 399-415.
  18. 최경미․장인식․정보현․정순모․양우석․조규남 (2007). 중위권 대학 신입생의 수학적 배경과 대학수학 성취 도 사이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1), 53-67.
  19. 최은정 (2009). 대학 미적분학 수준별 교육사례와 수치연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8(3), 213-234.
  20. 한지영 (2008). 평생학습 성과 평가를 위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타당성 연구, 공학교육연구, 11(4), 67-75.
  21. 홍기칠 (2004). 구성주의적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력 분석과 학습모형 개발, 교육심리연구, 18(1), 75-98.
  22.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23.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Y: Association Press.
  24. Knowles, M. S. (1990). The adult learner: a neglected species(4th ed.) . TX, Houston: Gulf Publishing.
  25.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6. Newmann, F. et al. (1992).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in American Secondary School.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7. Schunk, D. H. (1991).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207-232. https://doi.org/10.1080/00461520.1991.9653133
  28. Zimmerman, B. J. (1995). S.R Involves more than metacogni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30, 217-221.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004_8
  29. Zimmerman, B. J. (1999). Commentary: toward a cyclically interactive view of self-regulate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1. 545-551.

Cited by

  1. 대학 미분적분학에서 상호 동료 교수법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vol.53, pp.2, 2012, https://doi.org/10.7468/mathedu.2014.53.2.263
  2. 자기주도학습과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수학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주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vol.55, pp.3, 2012, https://doi.org/10.7468/mathedu.2016.55.3.357
  3. 고등학생의 수학 자기조절 학습 요인에 대한 집단별 수준 차이 비교 vol.34, pp.1, 2012, https://doi.org/10.14477/jhm.2021.3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