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Dissonanc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2초

모바일 쇼핑의 사회적 위험이 구매저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ocial Risk on the Resistance of Purchase in Mobile Shopping)

  • 문혜미;이경락;이상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93-106
    • /
    • 2014
  • 모바일 쇼핑은 모든 사용자에게 있어 항상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만은 아니다. 주요 원인으로 비사용자의 경우 모바일 쇼핑몰에 대한 심리적, 보안적 취약성 등에 대한 잠재적 요인이 모바일 쇼핑에 대한 거부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인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혁신저항모델의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 시 소비자들이 갖는 거부 심리요인들이 모바일 쇼핑몰의 인지된 위험을 통해 구매저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 모바일 쇼핑 시 소비자의 심리요인 중 보안성은 인지된 위험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사회영향과 인지부조화는 사회적 위험, 배송위험에만 영향을 미치며, 불확실성은 성능적인 위험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위험은 구매저항에 모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위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형 에이전트의 설명 기능과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사용자 경험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Explanation Facilities and Individuals Privacy Concern Level)

  • 강찬영;최기은;강현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03-214
    • /
    • 2020
  • 오늘날 스마트 스피커는 점차 개인화되어 사용자들을 위해 특정 제품을 추천하는 추천 에이전트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스피커의 대화형 에이전트 맥락에서 '설명 기능'이 투명성, 인지된 신뢰, 사용자 만족도, 재사용 행동 의도, 프라이버시 위협, 추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염려 수준을 사용자 구분을 위한 척도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설명이 있는 조건이 없는 조건 보다 모든 측정 변인에서 높게 평가되었음을 확인하였고,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인지된 신뢰, 프라이버시 위협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 스피커 맥락에서 설명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과 프라이버시 역설 현상을 발견하였으며,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인지부조화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제품관여(製品關輿)가 소비자(消費者) 과정(過程)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on Consumer Purchase Process)

  • 정문영
    • 산학경영연구
    • /
    • 제11권
    • /
    • pp.101-122
    • /
    • 1998
  • 이 연구는 다차원적 관점에 따라 개발된 관여척도를 적용하여 제품관여가 소비자 구매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자료 분석결과, 제품별 분석에서 보다 소비자별 분석에서 '구매전 정보탐색'을 비롯한 구매과정의 행동성향이 관여수준에 더 강하게 의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여수준이 소비자선택행동의 변화를 설명해주는 구조물이며, 제품관여는 소비자가 제품에 관련되는 정도를 반영하는 변수로 인식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동시에, 관여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이해와 예언에는 관여수준과 함께 관여의 관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시사를 얻었다.

  • PDF

패스트 패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후 행동 - 기대불일치 모형을 중심으로 - (Post-purchase behavior toward fast fashion brands - Applying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model -)

  • 전경숙;박혜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6호
    • /
    • pp.930-94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model to consumer post-purchase behavior toward fast fashion brands. This study incorporated re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consumer satisfac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consumer satisfaction, which is influenced by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influences repurchase intention. It was also hypothesized that expectation influences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d the brands and prices of the most recent purchases of fast fashion and also examined whether the purchases were planned or unplanned. The hypothesized path was tested and the relative influences of instrumental and symbolic performance on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answered by 344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urchased brands were,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purchase, Uniqlo, Zara, H&M, and Forever21, followed by domestic brands, 8seconds, Spao, and Mixxo. The frequency of unplanned purchase was more than twice higher than planned purchase. 2) Based on expectation and performance, dissatisfactory group was larger than satisfactory group, which were 35.8% and 24.7% respectively. 3) It was revealed from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model analysis that expectation and performance had positive influence, but cognitive dissonance had nega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all hypothesized path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 som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marketers in the fast fashion industry.

지자체 공무원의 테크노스트레스와 정보시스템 수용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에 대한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chnostress and Information System Acceptance of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 김경준;이기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8-60
    • /
    • 2019
  • 본 연구는 새로운 정보기술의 사용에 노출된 지자체 공무원 279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수용과 태도형성에 대한 영향요인과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의 조절적 역할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정보기술수용모형의 기본가설인 인지된 유용성, 이용용이성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태도는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발생시켰다. 또한 테크노스트레스는 인지된 이용용이성을 조절하여 태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흡수역량은 인지된 유용성을 더 증가시키는 긍정적 영향을 발생시켰다.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은 태도에 모두 직접적인 영향과 조절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하향식 의사결정으로 새로운 정보기술을 수용해야 하는 지자체 공무원에게 있어서, 정보기술수용에 대한 태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의 관리가 더욱 중요해짐을 시사한다. 특히 기술수용의 결정요인에 대한 인지부조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테크노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흡수역량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강조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스마트폰 UI에서 터치 제스처의 방향성과 이너 스크롤의 인지 (Direction of Touch Gestures and Perception of Inner Scroll in Smartphone UI)

  • 이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09-414
    • /
    • 2021
  • 본 논문은 대중화되고 사용이 익숙해진 스마트폰이 환경에서 디바이스 특성상 작고 긴 UI의 스크롤의 방향이 가지는 터치 제스처에 대해 알아보았다. 터치 제스처는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메타포나 어포던스와 같은 트리거에 의해 터치되고 방향을 가지게 된다. 탐색, 동작 그리고 변형 제스처의 유형에 따라 유형별 다른 터치 제스처를 사용하지만 그 중에서도 스크롤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다. 스크롤은 수직 방향의 상하로 스크롤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내부에 좌우로 스크롤링 가능한 디자인 패턴을 배치하여 사용자의 인지부조화를 발생시킨다. 우측 콘텐츠 일부를 가려 좌우로 스크롤이 가능한 이너 스크롤의 활용에 있어 스크롤이 불가능한 디자인 패턴의 혼용은 사용자에게 주의를 요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트리거의 사용과 일관성 있는 디자인 패턴의 활용은 이너 스크롤 환경에서도 사용자 경험을 높여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an Threatened Moral Self Make People Prefer Ecological Product? - An Eye Tracking Research based on Chinese Face Consciousness

  • Shi, Zhuomin;Zheng, Wanyi;Yang, Ni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21-42
    • /
    • 2016
  • Purpose: Social influence has a decisive role in shaping a person's cognition and behavior. Chinese face consciousness, including moral component, is an important par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which influences people to implement moral behavior. With both eye-tracking technology and traditional questionnair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people's moral psychology and the psychological processing mechanisms of Chinese face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impact of Chinese face consciousness on the preference for the ecological product. Method and Data: 75 college and MBA students' eye movement data were collected when they read different kinds of moral materials, as well as data from the subsequent questionnaires. To test the hypothesis, ANOVA analysis and Heat Map analysis were performed. Besides, the PROCESS of bootstrap was used to test mediation effect. Findings: The results reveal that: 1. Compared to the moral-situation reading, when subjects read immoral situations, they need more processing time due to the moral dissonance and cognitive load. 2.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when threatened moral self is primed, subjects prefer to choose ecological product. 3. Protective face orientation is the mediator between threatened moral self and preference to ecological product. Key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broadens the use of eye-tracking technology in marketing and demonstrat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ity and consumer behavior in a more scientific way. Second, this study not only distinguishes the meanings between "protective face orientation" and "acquisitive face orientation", but also innovatively validates that when moral self is threatened, consumers tend to choose ecological product as moral compensation in order to protect their face. It can shed light on the promotion of ecological product in practical applications.

블랙 스완 이론 관점에서 바라본 코로나-19 예방 수칙 위반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ention to Violate COVID-19 Precau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lack Swan Theory)

  • 김한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1-8
    • /
    • 2022
  • 코로나-19 예방 수칙 위반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가 늘어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예방 수칙 위반에 대한 연구는 크게 조명 받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블랙 스완 이론에 기반하여 코로나-19 예방 수칙 위반 의도에 이론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 요인들을 식별하였으며, 2021년 2월 11일부터 2021년 3월 10일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215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회귀 분석 결과, 예방 수칙에 대한 인식 불일치, 대표성 편향, 가용성 편향이 코로나-19 예방 수칙 위반 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낙관적 편향은 예방 수칙 위반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새로운 선행 요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예방 수칙 위반 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 국가, 이론에 따른 위반 의도의 차이를 규명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대형병원과의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병.의원 경영자의 협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소재 3개 대학과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병의원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Clinic and Hospital CEOs on Affiliation with Large Size Hospitals)

  • 김양균;조철호;고인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86-106
    • /
    • 2006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1) to explore clinic and hospital CEOs'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level on the affiliation with the larger size teaching hospitals, 2)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level on the affiliation with the large hospitals. Data for analysis was collected to use self-administrative structured questionnaire on 335 CEOs of small or middle sized clinics and hospitals affiliated with large sized teaching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Kyung Ki Province. For the study, the researchers develop the constructs for questions on the satisfaction and the expectation of the affiliation, the attitude, knowledge on the affiliation, previous relationship of the affiliation, and selection guideline of the affiliation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Through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using AMOS 4, the researchers develop constructs based on exact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s and questions. CEOs' expressive and unexpressive satisfaction level are 2.54 of 5 point(38.5 of 100) and 2.78 of 5 point(44.5 of 100), and the expressive and unexpressive expectation level are 2.77 of 5 point(44.3) and 3.16 of 5 point(54.0). These levels are relatively row for importance of affiliation. Expectation levels do not influence satisfaction levels. Attitude of affiliation influences expressive expectation and unexpressive satisfaction, reason for affiliation unexpressive satisfaction, and previous relationship to affiliated hospitals influence both of expressive and unexpressive satisfaction. The expressive expectation level and the expressive satisfaction level influence unexpressive expectation and unexpressive satisfaction, respectively. There is cognitive dissonance between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therefore numbers of affiliation might be smaller or weaker in the future than present time. Many CEOs feel environmental press such as competition and the press of health insurance, but they might not think affiliation is best solution. Therefore, large hospitals try to give affiliated clinics and hospitals practical benefits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levels, and they need to new affiliation form such as joint venture and joint ownership. The expectation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influenced by CEOs' gender, type of health service facilities, distances between the affiliated facility and the large mother hospital, and reason for affiliation.

모형 구성 참여 양상에서 나타나는 내성적인 초등학생의 인식적 감정 구성 (An Introverted Elementary Student's Construction of Epistemic Affect During Modeling Participation Patterns)

  • 한문현;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71-186
    • /
    • 2018
  • 초등학생들은 인식적 실행에서 인식적 감정을 경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식적 실행의 일환인 6차시의 호흡 운동 모형 구성 과정에서 다소 내성적인 성향을 가진 초등학생이 어떠한 인식적 감정을 구성하면서 모형 구성에 참여할 수 있었는지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감정 일지, 촬영된 비디오 녹화본, 사후 인터뷰와 같은 여러 데이터 자원을 통해 초등학생이 구성한 인식적 감정이 분석되었으며, 특히 학생이 어떠한 감정을 구성하면서 제한적 참여에 머물렀는지, 어떠한 인식적 감정을 구성하면서 참여했는지가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은 첫째, '아하'라고 불리는 인식적 감정을 구성하게 되면서 모형 생성 과정에 참여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생은 상대방의 반박을 통해 '추론의 잘못을 느낌' 이라는 인식적 감정을 구성했고, 이 감정 하에서 상대방의 반박을 수용하는 모형 수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은 상대방의 감정적인 연속적인 반박으로 '지침'이라는 인식적 감정을 구성하게 되면서 모형 구성에 제한적으로 참여하였으나, '상대방의 아이디어가 싫음'이라는 인식적 감정을 구성하면서 모형 평가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적 감정의 탐색을 통해, 우리는 내성적인 초등학생의 모형 구성 참여를 위해 학생이 능동적으로 아이디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식적 감정의 구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학생이 과거, 현재, 미래 감정을 모두 고려하면서 느낄 수 있는 감정적 부담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