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ck source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7초

안전하지 않은 I/O핀 노이즈 환경에서 MCU 클럭 보호를 위한 자동 온칩 글리치 프리 백업 클럭 변환 기법 (Automatic On-Chip Glitch-Free Backup Clock Changing Method for MCU Clock Failure Protection in Unsafe I/O Pin Noisy Environment)

  • 안중현;윤지애;조정훈;박대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2호
    • /
    • pp.99-108
    • /
    • 2015
  • 클럭 펄스에 동기 되어 동작하는 임베디드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미션 크리티컬한 응용환경에서 입력 클럭에 가해지는 급격한 전기적 왜란의 영향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되기 쉽다. 다양한 외부 전기적 노이즈에 대한 내성 있는 시스템 동작이 요구되며 시스템 클럭 관점에서 견고한 회로 디자인 기술이 점차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의 비이상적인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 클럭 에러 검출을 위한 온 칩클럭 컨트롤러 구조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에지 검출기, 노이즈 제거기와 글리치 프리 클럭 스위칭 회로를 적용하였고, 에지 검출기는 입력 클럭의 비이상적인 저주파수 상태를 검출하는데 사용 되었으며, 딜레이 체인 회로를 이용한 클럭 펄스의 노이즈 제거기는 글리치 성분을 검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검출된 입력 클럭의 비이상적인 상황은 글리치 프리 클럭 변환기에 의해 백업 클럭으로 스위칭하게 된다. 회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백업 클럭 변환기의 동작을 검증하였고 테스트환경에서 방사노이즈를 인가하였을 때 시스템 클럭의 내성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기법을 범용 MCMCU 구조에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작은 하드웨어의 추가만으로도 시스템 클럭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한다.

NG-SDH망에서 측정된 클럭잡음을 이용한 다양한 클럭상태에 따른 동기클럭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ynchronization Clock with Various Clock States Using Measured Clock Noises in NG-SDH Networks)

  • 이창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5호
    • /
    • pp.637-644
    • /
    • 2009
  • NG-SDH망에서 측정된 클럭잡음을 이용한 동기클럭 성능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NG-SDH망에서 측정된 클럭잡음을 이용하여 다양한 클럭상태에 따른 동기클럭 성능을 분석하고 최대 망노드수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측정된 클럭잡음을 이용하여 적합한 클럭잡음모델을 생성하였고, 다양한 클럭상태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볼 때 정상상태에서 최대노드수는 80개 노드 이상 이였고, 단기위상변위(SPT)상태에서는 37개 이하였고, 장기위상변위(LPT)상태에서는 50개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3가지 클럭상태에서 ITU-T 규격을 만족할 수 있는 최대 노드수는 37개 이하 임을 알았다. 또한 DOTS 이전의 NE망에서 SPT이나 LPT상태가 발생하면 정상상태의 안정된 다른 동기원 소스로 절체해야 함을 알았다.

이완 발진기의 면적 효율성과 주파수 안정성 향상을 위한 기생성분 효과 제거 기법연구 (A Study on Elimination Solution of Parasitic Effect to Improve Area Efficiency and Frequency Stability of Relaxation Oscillator)

  • 이승우;이민웅;김하철;조성익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7권4호
    • /
    • pp.538-542
    • /
    • 2018
  • In order to generate a clock source with low cost and high performance in system on chip(SoC), a relaxation oscillator with stable outpu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VT(process, voltage and temperature) fluctuation require a low area and a low pow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lution to reduce the current loss caused by parasitic components in the conventional relaxation oscillator. Since the slew rate of the bias current and the capacitor are adjusted to be the same through the proposed solution, a relaxation oscillator with low area characteristics is designed for the same clock source frequency implementation. The proposed circuit is designed using the TSMC CMOS 0.18um proces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relaxation oscillator using the proposed solution can prevent the current loss of about $279{\mu}A$ and reduce the total chip area by 20.8%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scillator in the clock source frequency of 96 MHz.

Design Methodologies for Reliable Clock Networks

  • Joo, Deokjin;Kang, Minseok;Kim, Taewhan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6권4호
    • /
    • pp.257-266
    • /
    • 2012
  • This paper overviews clock design problems related to the circuit reliability in deep submicron design technology. The topics include the clock polarity assignment problem for reducing peak power/ground noise, clock mesh network design problem for tolerating clock delay variatio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ware clock optimization problem, adjustable delay buffer allocation and assignment problem to support multiple voltage mode designs, and the state encoding problem for reducing peak current in sequential elements. The last topic belongs to finite state machine (FSM) design and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lock design, but it can be viewed that reducing noise at the sequential elements driven by clock signal is contained in the spectrum of reliable circuit design from the clock source down to sequential elements.

Clock Mesh Network Design with Through-Silicon Vias in 3D Integrated Circuits

  • Cho, Kyungin;Jang, Cheoljon;Chong, Jong-Wha
    • ETRI Journal
    • /
    • 제36권6호
    • /
    • pp.931-941
    • /
    • 2014
  • Many methodologies for clock mesh networks have been introduced for two-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 clock distribution networks, such as methods to reduce the total wirelength for power consumption and to reduce the clock skew varia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buffer placement and sizing.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ology for clock mesh to reduce both the clock skew and the total wirelength in three-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s. To reduce the total wirelength, we construct a smaller mesh size on a die where the clock source is not directly connected. We also insert through-silicon vias (TSVs) to distribute the clock signal using an effective clock TSV insertion algorithm, which can reduce the total wirelength on each die. The results of our proposed methods show that the total wirelength was reduced by 12.2%, the clock skew by 16.11%, and the clock skew variation by 11.74%, on average. These advantages are possible through increasing the buffer area by 2.49% on the benchmark circuits.

클럭-피드쓰루를 개선한 새로운 전류 기억 소자 (New current memory cell with clock-feedthrough reduction scheme)

  • 민병무;김재완;김수원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4D권1호
    • /
    • pp.30-34
    • /
    • 1997
  • An improved clock-feedthrough compensation scheme for switche dcurrent system is proposed. Both the signal dependent and the constant clock-feedthrough terms are cancelled by using both NMOS and PMOS current samplers and by adopting a source replication technique. The proposed current memory cell was fabricated with 0.6$\mu$m CMOS process. Both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results on clock-feedthrough error reveal substantial reduction over the existing compensation schemes.

  • PDF

PC based DVR의 시각동기를 위한 GPS 시각동기유지시스템의 구현 (A Implementation of GPS applied Time-Synchronizer for PC based DVR)

  • 이경수;박광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93-599
    • /
    • 2007
  • PC based DVR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부분의 DVR장치가 감시 및 보안업무에 이용되므로 정확한 시간정보제공이 필요하지만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정확한 시각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확한 시각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부가장비를 통해 시각보정이 이루어 져야 한다. 경제성과 사용 환경 등을 고려하면 광역네트워크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시각동기를 유지할 수 있는 GPS를 이용한 시스템이 가장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GPS의 시각 Data를 이용하여 PC Based DVR의 시스템시각을 정확하게 유지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실험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1) GPS위성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수신하는 시각원 수신 모듈과 2) PC Based DVR에 제공하는 H/W Unit인 GPSW와 3) 이 장치와 통신하며 시각을 보정하는 Demon인 PCSW을 제작하여 PC시스템 시각을 UTC와 수ms 이내의 오차로 동기할 수 있도록 하고 결과를 측정하였다.

  • PDF

ATM AAL 1을 위한 클럭 복원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Clock Recovery Algorithm for ATM AAL 1)

  • 정영경;이원태;이재조;박양하;김관호;김한경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G
    • /
    • pp.3196-3198
    • /
    • 1999
  • In this paper, we are proposed ATM AAL 1 source clock recovery methods for CBR service. The proposed method compute the difference between network clock level and the reference level by inspecting the variation of a buffer. Also it is the service clock recovery method that control local clock using the look-up table defined clock dividing rate of the difference in advance. It can be applicable to both SDH network and PDH network which has no common reference clock between its ends, it has an important mean in view of the internetworking between existing networks for the integrated service chased by B_ISDN.

  • PDF

ADCL 버퍼를 이용한 단열 논리회로용 AC 전원과 동기화된 저전력 클럭 발생기 설계 (Design of Low-power Clock Generator Synchronized with the AC Power Source Using the ADCL Buffer for Adiabatic Logics)

  • 조승일;김성권;하라다 토모치카;요코야마 미치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301-130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ADCL(adiabatic dynamic CMOS logic) buffer를 이용한 단열 논리회로용 AC 전원과 동기화된 저전력 클럭 발생기를 제안한다. CMOS 논리회로의 전력 손실을 줄이고 ADCL의 저전력 동작을 위해서, 논리회로의 clock 신호는 AC 전원 신호와 동기화 되어야 한다. 설계된 Schmitt trigger 회로와 ADCL buffer를 사용한 ADCL 주파수 분주기를 이용하여 AC 신호와 단열동작을 위한 clock 신호가 발생된다. 제안된 저전력 클럭 발생기의 소비전력은 3kHz와 10MHz에서 각각 1.181uW와 37.42uW으로 시뮬레이션에서 확인하였다.

작은 정현파입력의 50% Duty Ratio 디지털 클럭레벨 변환기 설계 (Design of digital clock level translator with 50% duty ratio from small sinusoidal input)

  • 박문양;이종열;김욱;송원철;김경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2064-2071
    • /
    • 1998
  • 휴대용 기기에서 자체 발진하여 클럭원으로 사용되는 TCXO의 출력과 같은 작은 진폭(400mV)의 정현파 입력을 내부 논리회로의 클럭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파형정형 및 50%의 듀티 비(duty ratio)의 출력을 가지는 새로운 디지털 클럭레벨 변환기를 설계, 개발 하였다. 정, 부 두 개의 비교기, RS 래치, 차아지 펌프, 기준 전압 발생기로 구성된 새로운 신호 변환회로는 출력파형의 펄스 폭을 감지하고, 이 결과를 궤환루프로 구성하여 입력 비교기 기준 전압단자로 궤환시킴으로서 다지털 신호레벨의 정확한 50%의 듀티 비를 가진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개발한 레벨변환기는 ADC등의 샘플링 클럭원, PLL 또는 신호 합성기의 클럭원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설계는 $0.8\mu\textrm{m}$ double metal double poly analog CMOS 공정을 사용하고, BSIM3 model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 370mV의 정현파 입력율 50 + 3%의 듀티 비를 가진 안정된 논리레벨 출력 동작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