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grandis Osbeck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1초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Fruits Produced in Jeju Island

  • Lim, Hee-Kyoung;Yoo, Eun-Sook;Moon, Jeong-Yong;Jeon, You-Jin;Cho, So-Mi 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312-316
    • /
    • 2006
  • Crude extract of young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fruit was investigated for its antioxidant activity as measur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the samples, including 4 Citrus species and various solvent-extracted-fractions of young dangyuja fruit, the water-extracted fraction (WF) and butanol-extracted fraction (BF) showed the great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F and BF were further examin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by three different in vitro assays. The cell viability tests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reduction assay showed that both fractions significantly reduced $H_2O_2$-induced cytotoxicity in HepG2 cells dose-dependently. Generation of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also reduced in cells pretreated with both fractions. In addition, BF showed a higher level of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capacity than WF in $H_2O_2$-treated HepG2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young dangyuja fruit can be used as an easily accessible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In vitro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Activities of the Extract of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Leaves

  • Kim, Yun-Jung;Cho, Moon-Jae;Kim Cho, So-Mi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086-1091
    • /
    • 2008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leaves were evaluat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was obtain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EF) (202.1$\pm$0.8 mg GAE/g dried extract) and it exhibited the highes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cytoprotective effects of EF on oxidative damage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in a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cell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intracellular antioxidant mechanisms. Treatment of HepG2 cells with EF prior to oxidative stress was found to inhibi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lipid peroxidation, and DNA damage in a dose-dependent manner.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studies on EF resulted in tentative identification of 19 compounds representing 94.3% of the total conten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EF h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us dangyuja leaves have great potential as a source for natural antioxidant which can be applied in food products.

RAW 264.7 및 HaCaT Cell에서 당유자 미숙과의 염증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Unripe Fruit of Citrus grandis Osbeck in RAW 264.7 and HaCaT Cells)

  • 이혜자;강경진;윤원종;강희경;김영석;김소미;유은숙
    • 생약학회지
    • /
    • 제37권2호통권145호
    • /
    • pp.74-80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unripe fruit of Citrus grandis Osbeck growing at Jeju Islan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ir inhibitory effect on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arkers (IL-6, iNOS, COX, TARC and MDC) in RAW264.7 murine macrophage cells and HaCaT human keratinocyte cells. Among the sequential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crude extract, hexane and chloroform $(CHCI_3)$ fractions showed potential inhibitory activity on the mRNA expressions of IL-6, iNOS and COX-2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l$ in RAW264.7 cells. Also, EtOAc fraction showed inhibitory activity on the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CCL17 and 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CCL22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in HaCaT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nripe fruit of C. grandis may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the suppression of inflammatory markers (IL-6, iNOS, COX, TARC and MDC).

Anti-inflammatory Effect of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Leaves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Yang, Eun-Jin;Lee, Hye-Ja;Kang, Gyeoung-Jin;Park, Sun-Soon;Yoon, Weon-Jong;Kang, Hee-Kyoung;Cho, So-Mi Kim;Yoo, Eun-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063-1070
    • /
    • 2009
  •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is a native plant growing only on Jeju Island in Korea. In this study, antiinflammatory effect of dangyuja leaves on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was investigated.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s were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1{\mu}g/mL$) to induc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arkers [interleukin (IL)-6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The crude extract (80% MeOH Ex.) and solvent fractions (hexane, $CHCl_3$, EtOAc, BuOH, and $H_2O$ Ex.) were obtained from dangyuja leaves. The $CHCl_3$ fraction inhibited the nitric oxide (NO) and IL-6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lso, the $CHCl_3$ fraction inhibited mRNA expression and protein levels of iNOS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he $CHCl_3$ fraction inhibited LPS-induced nuclear factor (NF)-${\kappa}B$ activation and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ERK, JNK, and p38).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ngyuja leaves may inhibit LPS-induced production of inflammatory markers by blocking NF-${\kappa}B$ and MAPKs signaling in RAW 264.7 cells.

당유자 과피 발효물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변화 및 항산화 활성 (Flavonoid Component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Citrus grandis Osbeck Peel)

  • 현재석;강성명;한상원;강민철;오명철;오창경;김동우;전유진;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10-1316
    • /
    • 2009
  • 당유자 과피를 식품미생물인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발효 전과 후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성분 변화와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LC/MS를 통한 플라보노이드 분석 결과, 발효 후 추출물에서 neohesperidin과 naringin의 함량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hesperidin과 일부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감소하였으며, 특히 3',4',5',5,7-pentamethoxyflavone은 발효 후에 그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에 반하여 친수성 unknown 화합물들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LC/MS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효모를 통한 발효과정 중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른 형태로 전환되었으며, 이렇게 전환되어진 성분들을 함유한 FCGP는 CGP보다 DPPH, hydroxyl, alkyl 및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 등과 같은 항산화 활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효모를 이용하여 당유자 과피를 발효시킴으로써 생리활성 성분의 일부를 전환시킴으로써 항산화 활성 등과 같은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향후 당유자 과피의 발효에 의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당유자 과피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리활성 검정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from Citrus grandis Osbeck pericarp)

  • 고현민;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79-286
    • /
    • 2018
  • 당유자 과피는 차, 한약재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다양하게 제품화 되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유자 과피의 건강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식품보존제 등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당유자 과피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으로 분획하여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정량 분석과 항산화 활성, 효소 저해활성, 항미생물 활성을 탐색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FRAP과 ORAC 실험결과 또한 총 페놀함량과 비례하여 가장 우수한 활성이 측정되었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유의적 차이 없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TEAC 값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보다 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헥산 분획물에서는 superoxide radical 소거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항균 활성은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다음의 결과를 바탕으로 천연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는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의약품 및 식품보존제의 소재로는 헥산 분획물을 활용하는 것이 각 제품 개발에 있어 가장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에탄올 농도별 당유자 잎의 최적추출조건 및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for Dangyuja (Citrus grandis) leaves and investigation of optimal concentrations extracted by alternative ethanol concentrations)

  • 나카무라 마사야;라종환;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45-55
    • /
    • 2019
  • 제주도 특산물로 알려진 당유자의 잎을 이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용매 농도별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한 연구는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된 당유자 잎에 대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수율과 총 페놀 함량은 각각 20% 에탄올, 물 추출물이 가장높은 함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수율을 보인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페놀 함량이 나타나 수율에 비하여 많은 페놀 함량이 확인되었다. 환원력과 ABTS radical 소거능 실험 결과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80% 에탄올 추출물이 DPPH radical 소거능, ${\alpha}$-glucosidase, ${\text\tiny{L}}$-tyrosine을 기질로 한 tyrosinase 저해 활성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ext\tiny{L}}$-dopa를 기질로 한 tyrosinase 저해 활성과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ADH 및 ALDH 활성에서는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뛰어난 활성을 촉진시켰고 미생물 생육을 억제하는 능력이 60%, 80% 에탄올에서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항산화 효과를 얻고자 할때는 물이나 80% 에탄올로, 그 외 생리활성(${\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항미생물 활성, ADH 및 ALDH 활성)에서는 60~8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당유자 잎을 신소재 개발 원료로서 사용하는데 하나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당유자 과피 추출물에 의한 HL60 세포의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Citrus grandis Osbeck Peel (CGP) Extract in HL60 Cells)

  • 현재석;강성명;김아름다슬;오명철;오창경;김동우;전유진;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17-1323
    • /
    • 2009
  • 당유자 과피(GGP) 80% 에탄올 추출물을 4종의 암세포에 (피부암, 대장암, 유방암 및 혈액암) 처리하여 증식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혈액암 HL60 세포에서 높은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에 CGP 추출물이 HL60 세포에 대한 apoptosis 유도에 따른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조사하였다. Apoptosis 유도의 첫 단계인 막 투과성을 측정한 결과, confocal image와 flow cytometry에서 CGP를 처리하였을 때 탈분극 현상에 따른 막 투과성이 증가하였고 세포내 핵을 hoechst 33342를 이용하여 염색하였을 때 apoptosis가 일어났을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형태의 apoptotic body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flow cytometry를 통하여 세포 주기를 측정하였을 때 DNA-hypodiploid 형태의 sub-G1가 CGP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poptosis 유도 기전을 western blot으로 측정한 결과를 보면, CGP 추출물을 혈액암 HL60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Bcl family의 anti-apoptotic Bcl-2 단백질의 감소와 pro-apoptotic Bax 단백질의 증가로 인하여 하위 기전인 caspase-3가 활성화되었으며, 이 활성화로 인하여 apoptosis 유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PARP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면서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당유자 과피는 항암과 관련되어진 기능성식품 및 소재 개발 원료로서 개발이 가능하리라고 사료된다.

수입귤 6종(레몬, 지몽, 청자몽, 오렌지, 만다린, 라임)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5 Types of Imported Citrus (Citrus limon, Citrus paradisi Macfad, Citrus. grandis Osbeck × Citrus. Paradisi Macf., Citrus sinensis, Citrus reticulata Blanco, Citrus x aurantifolia))

  • 서지원;장미경;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7-67
    • /
    • 2023
  • 수입귤 6종(레몬, 자몽, 청자몽, 오렌지, 만다린, 라임)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입귤 6종(레몬, 자몽, 청자몽, 오렌지, 만다린, 라임)의 각 부위별 생리활성 실험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mg/g)은 청자몽 중피(252.14mg/g)와 청자몽 외피(224.60mg/g), 청자몽 과피(213.13mg/g), 자몽 중피(197.13mg/g) 순으로 모두 150mg/g 이상의 양호한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입귤 6종(레몬, 자몽, 청자몽, 오렌지, 만다린, 라임)의 각 부위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g)은 자몽 중피(147.24mg/g)와 청자몽 중피(147.08mg/g), 청자몽 과피(127.74mg/g), 청자몽 외피(122.5mg/g) 순으로 모두 120mg/g 이상의 매우 양호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입귤 6종(레몬, 자몽, 청자몽, 오렌지, 만다린, 라임)의 각 부위별 항산화 활성(EDA, %)은 레몬 과피(83.21%)를 시작으로 라임 전체(80.23%), 레몬 과육(77.02%), 레몬 전체(69.85%), 만다린 과피(68.86%), 라임 과육(64.61%) 순으로 EDA 50% 이상 값을 나타내어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