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1초

발달장애 아동·청소년 대상 실시간 비대면 음악치료에서의 보호자 역할에 대한 인식 조사 (Parents' Perceptions on Their Experiences and Roles in a Synchronous Videoconferencing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r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류진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1호
    • /
    • pp.99-115
    • /
    • 2023
  • COVID-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음악치료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시점에 비대면 치료 시 보호자의 참여 및 역할의 중요성을 고려해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에 제공되고 있는 실시간 비대면 음악치료에서 보호자가 어떠한 경험을 했고, 자신의 역할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2-18세의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이하 아동) 자녀를 둔 보호자 3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음악치료 경험과 이에 대한 인식 등의 6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비대면 음악치료에서 보호자가 수행한 역할에 대한 만족도, 비대면 음악치료에서 경험한 심리적 부담감, 향후 비대면 음악치료 참여 의사 수준 간 상관관계를 Pearson's correlat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 아동 보호자들은 비대면 음악치료와 관련된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고, 비대면 음악치료의 혜택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이 참여적 보조 및 중재적 보조 역할을 수행한 것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비대면 음악치료에서 가진 심리적 부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대면과 대면 음악치료의 이점을 다르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실시간 비대면 음악치료가 장애아동과 장애아동의 가족에게 의미하는 바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보호자들에게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본감각력개정판(JSI-2)에 의한 발달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감각처리능력 비교에 관한 예비연구 (Comparison of Japanese Sensory Inventory-2 Score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Pilot Study)

  • 지석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
    • /
    • 2003
  • Objective : To describe the sensory-based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s reported on the JSI-2. Methods : The score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JSI-2 was completed by parents of 38 children with disability 3 through 6 years of age and 36 children without disability 3 through 6 years of age. Results : The score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for 6 of 8 factors, including vestibular, tactile, auditory, visual and oth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ge or sex. Conclusion : From this study, it is found that children with disability have deficit in a variety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s measured by JSI-2.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plicate and develop these findings.

  • PDF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게임형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타당도 선행 연구 비교 분석 (Preceding Research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alidity of Game bas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김선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61-168
    • /
    • 2021
  • 최근 많은 디지털 콘텐츠가 제시되고 있지만, 발달장애 아동 중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콘텐츠는 거의 제작되지 않았다. 지적장애 아동의 인지 개선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을 기존의 대면 도제식 수업이 아닌 비대면 원격으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콘텐츠 기반의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게임 기반으로 제작된 뉴로월드의 항목과 K-WISC-IV의 소항목과 비교하여 항목 간 상관관계로 공인 타당도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검사항목과 훈련 항목 간의 상관관계에 있어 일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일부분의 훈련 항목이 공인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뢰도 측면에서는 Cronbach 알파값이 0.794로 지적장애 아동들의 게임 수행력과 각 게임마다의 레벨 상승 정도가 어느 정도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지훈련 도구의 임상실험을 위한 향후 연구에 있어서 유의미한 결과로 사료된다.

COVID-19로 인한 장애 아동의 가정운동 프로그램에 관한 부모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Parents Perceptions of Home Exercise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used by COVID-19)

  • 박철만;김명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25-235
    • /
    • 2021
  • Purpose: Sinc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pread around the world, non-face-to-face services have emerged as the new normal. The functioning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improves when parents, therapists, and institutions cooperat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icult environment of pediatric physical therapy caused by COVID-19, and grasp parents' perceptions of home exercise programs. We intend to design home exercise programs for pediatric treatment in the future and create a non-face-to-face pediatric rehabilit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our findings. Methods: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on 30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produced after consultation with relevant experts and discussion with the research team, based on a survey conducted in a previous study. The second survey was produc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opinions of parents who completed the first survey and consulting experts. Thereafte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18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ults: 61.01 % of the parents reported that they were anxious or afraid for their children to be treated for infectious diseases. 83.90 % of the parents reported that the role of parents had increased. 50.00 % of the parents complained of a lack of skill. 85.59 % of the parents reported that they needed a home exercise program provided by the organization. As a non-face-to-face exercise management method, 35.59 % of the parents wanted a real-time video recording electronically mailed to them, and 34.75 % wanted real-time education using video conferencing programs such as zoom. Conclusion: The threat of COVID-19 has furth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cooperation and management, leading organizations to enter a new era of non-face-to-face rehabilitation services.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systematize related studies to reflect more diverse opinions and improve the perceptions of therapists and parents.

전정감각, 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장애 아동의 공간 지각력과 시-운동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estibular-Proprioceptive Base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Spatial Relations and Visual-Motor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강셋별;김수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34
    • /
    • 2023
  • 목적 : 본 연구를 통하여 발달장애 아동에게 적용한 전정감각, 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공간 지각력, 시-운동 협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달 장애 아동 만 5~6세 아동 3명을 대상으로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매주 3회기씩 6주간 30분씩 총 18회기를 진행하였다. 기초선 3회기와 재기초선 3회기는 중재 없이 공간 지각력과 시-운동 협응을 평가하였고 중재기 12회기는 전정감각, 고유감각 위주 감각통합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매회기 측정으로는 전산화 인지 프로그램(CoTras-C)을 이용하였으며, 공간지각력 평가를 위한 퍼즐하기, 시-운동 평가를 위한 미로 찾기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사전, 및 사후 평가는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 검사(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ABC II)와 한국판 시지각 발달 검사(Korean-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 K-DTVP-2)의 하위평가를 이용하였다. 결과 : 발달장애 아동에게 전정감각, 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를 적용하기 전보다 후에 공간지각력과 시-운동 협응력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세 아동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전정, 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공간지각력과 시-운동 협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19 상황 속 발달 장애 학생의 온라인 학습 실태와 개선방안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Online Class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chungbuk-)

  • 김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50-358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발달 장애 학생의 온라인 학습권 실태 분석과 증진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발달 장애 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충북지역 200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와 학부모 6인이 참여한 FGI 자료를 함께 사용하는 혼합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주요 결과로, 가장 시급한 학습보조 제도는 보조인력 지원으로 확인되었고, 재택근무 등으로 자녀를 지원할 수 없는 응답자가 50.5%로 나타났다. FGI 자료 분석결과, '코로나19 온라인 학습 실태', '양육환경을 고려한 비대면 학습환경 개선'의 2가지 범주와 '화상수업 등 교수 방법 다양화', '필요 학습 자원 지원', '상황에 맞는 평가제도 도입', '돌봄 지원 강화', '건강 지원 확대'의 5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 장애 학생 온라인 수업 관련 법적 근거마련 검토, 학습지원 인력 파견 확대, 온라인 학습 환경 증진 대안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Worldwide national intervention of developmental screening programs in infant and early childhood

  • Kim, Seunghy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5권1호
    • /
    • pp.10-20
    • /
    • 2022
  • The prevalenc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increasing worldwide over time. Developmental issues in infancy or early childhood may cause learning difficulties or behavioral problem in school age, further adversely affecting adolescent quality of life, which finally lead to low socioeconomic status in family,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and other relevant issues in various ways. Early childhood has brain plasticity, which means there is a high chance of recovering from developmental issues by early detection and timely intervention. Pediatricians are placed an ideal position to meet with young children till 6 years of age, of which age range is the time applicable to early intervention. Determining child's developmental status can be made by 2 pathways such as developmental surveillance and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For better results, pediatricians should update their knowledge about developmental issues, risk factors, and screening techniques through varying educational program or other relevant educating materials. This paper will update reports on the prevalenc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view the recent results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and discuss relevant issues. Finally, it will be addressed the pediatrician's role in early detecting developmental issues and timely intervention.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Combined with Eye Tracker on Sensory Processing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권소현;안시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53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에게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 및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이며, 중재는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중재 기간의 매 회기 평가로 시각-운동 속도와 단속적 눈의 움직임을 평가하였으며, 사전·사후 평가로 감각프로파일,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 선잇기검사를 실시하였다. 매 회기 평가와 사전·사후 평가는 시각적 분석 및 경향선 분석을 통해 중재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결과 : 회기별 평가 결과, 시각-운동속도와 단속적 눈의 움직임에서 모든 아동의 경향선 기울기가 기초선기간보다 중재기간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사전·사후 평가결과, 감각처리에서는 움직임, 몸위치, 시각의 감각처리가 또래보다 많음에서 또래와 유사 수준으로 변화하였으며, 시지각에서는 모든 아동의 시각통합능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아동의 시각추적 및 시각-운동 능력의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선잇기검사 결과, 모든 아동이 사전보다 사후에 수행시간이 감소하였다. 결론 : 발달장애아동의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 및 시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최근 기술의 향상과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맞추어 아동의 흥미와 동기를 부여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학령 전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시간관리행동과 시간관리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유경;양심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2호
    • /
    • pp.103-119
    • /
    • 2014
  •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2 mothers whose children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ttend pre-school and social welfare centers for early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im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and whether these behaviors have an effect on their time management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tim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were lower than average, scoring 2.87 out of 5. The order of dimensional scores from highest to lowest were sequencing, planning, recording habits, evaluating, and setting goals. 2) Time management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for the participants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3) Adaptation behaviors of the children and tim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mothers were factors tha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These results showed the importance of time management for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학습장애의 조기 발견을 위한 소아과적 접근 (Pediatric approach to early detec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 성인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9호
    • /
    • pp.911-921
    • /
    • 2008
  • Learning disabilities (LD) are heterogeneous group of disorders with evidences of genetic or familial trait, intrinsic to the individual and presume to be due to central nervous dysfunction. Learning disabilities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re the two of the most common disorders in the population of school-age children. Typically academic achievements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expected by their normal or above normal range of IQ. Although academic and cognitive deficits are hallmarks of children with LD, those children are also at risk for a broad range of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Almost all cases meet criteria for at least one additional diagnosis such as ADHD,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epression, anxiety,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tic disorder, among which ADHD is particularly predominant. Because of the response to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program is promising and positive when applied early, it is critical to recognize patients as early as possible. Pediatricians often are the first to hear from parents worried about a childs academic progress. It is not the responsibility of pediatrician to make a diagnosis, referring children for a diagnostic evaluation of LD is a reasonable first step. Pediatricians can make early referral of suspicious children by asking some serial short questions about basic and processing skills. With a basic knowledge abou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of LD, pediatricians also can provide primary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parents at their outpatient clinical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