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worker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안전보건 실태와 개선방안 고찰 :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mong Child Care Workers : An Empirical Investigation)

  • 이재희;주선태;임진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occupational accidents of child care worker. We surveyed 392 childcare worker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 of occupational accidents. Fifteen percent of the respondents from occupational accdients survey for child care workers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more than one occupational accident, but mostly did not claim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surance. We suggested policy tasks to improve system for protecting child care workers.

국내 영유아보육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Korean Childcare Studies)

  • 이주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6호
    • /
    • pp.21-34
    • /
    • 2008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a tendency in childcare studies published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mount of childcare studies and analyzed the main topic of childcare studies. Total 1,406 studies which include the term 'bo-yook' and/or 'tak-ah' as their keywords were gathered from internet database, and finally 973 studies were analyzed. Firs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childcare studies had gradually increased since 1990 and approximately one hundred studies had been published per year after 2004. The growing tendency of childcare studies might reflect social and political concern about childcare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Second, childcare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within the topic of childcare policy, childcare worker, actual condition in childcare service, and childcare quality. Lastly, special types of childcare such as infant childcare, handicapped childcare, extended-time childcare, and after-school childcare were rarely studied. From these results, several future direction for childcare studies were suggested.

영아반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원장과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motional Support of the Director and Co-worker on the Childcare Efficacy of Infant Teacher)

  • 정꽃님;문혜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75-1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영아반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가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반 교사 169명이다. 자료는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반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보육효능감을 살펴보면 결혼여부와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반 교사의 보육효능감은 동료교사 지지와 가장 큰 양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그 다음 원장 지지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반 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동료교사 지지, 경력, 결혼여부, 원장 지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경력이 많고 기혼인 교사의 보육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반 교사의 보육효능감에는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메타포 분석을 통해 본 고경력 보육교사의 위치성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Positionality in Their Metaphors)

  • 박경필;이경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219-237
    • /
    • 2020
  • Objective: The research aimed to help understand the lives of those living in today's Korean society by analyzing the positionality of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and to obtain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1 childcare teachers with more than seven years of job experience. The metaphors expressing themselves were collected and implemented the metaphor analysis in terms of positionality.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who recognized themselves as experts were positioned as teachers who cared for and taught children, as co-learners with children, and as leaders of junior teachers. Second, the participants who recognized themselves as minorities were positioned as non-subjects, and as oppressed persons who had to obey in the lower levels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childcare centers. Third, the participants who recognized themselves as marginal persons were positioned as problem solvers, and as border-crossers who conflict and adjust in complex relationships.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First, policies must be expressed in public language that respect childcare teachers as a key worker in society; second, the job policies must be shifted toward employment security of childcare teachers. Third, substantial support for labor costs for childcare teachers should be expanded.

유아교육.보육기관 교사의 집단주의 및 역할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ctivism, Role Conflict,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 권기남;민하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3호
    • /
    • pp.129-137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ctivism, role conflict,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190 teachers who worked in a kindergarten or a childcare center in Daegu and in Gyoungbuk Provinc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nvestigate collectivism,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self-reports from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15.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llectivis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teachers. (2) Role conflic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teachers.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role conflict, teaching profession conflict, co-worker conflict, and administration conflict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3) Role conflict was a better predictor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collectivism. Additionally, administration conflict as a type of role conflict was a better predictor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collectivism.

보육교사들이 선택한 갈등관리전략 (Interpersonal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Selected by Childcare Teachers)

  • 백은영;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9-124
    • /
    • 2012
  •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교직원들과의 갈등상황에서 어떤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C직장어린이집 0세반에서 참여관찰 하여 교사들의 대화에서 드러난 갈등의 원인별로 보육교사들이 사용한 갈등관리전략을 분석하였다. 첫째, 보육교사들은 적합한 간식제공 방법을 건의했으나 조리사들이 개선해주지 않는 상황과 교사용 간식이 정당하게 제공되지 않는다고 느끼는 상황에서 지배적인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육시간 중에 환경미화원이 도움을 요청한 상황과 주임교사에게 갑작스런 업무를 부여받을 수도 있음을 알게 된 상황에서 회피적인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대체교사를 구하지 못해 휴가를 가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통합적인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였다. 넷째, 보육교사들은 휴가기간 동안 교사근무배치를 원장이 제안한 상황에서 배려적인 갈등 관리전략을 사용하였다. 다섯째, 보육교사들은 공동으로 관리하는 유희실을 특정 교사들만 청소하게 되어 불합리하다고 느끼는 상황에서 타협적인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상사무례경험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복지와 희망의 역할 (The Roles of Welfare and Hope Between Boss Incivility Experience and Flourishing of Childcare Teachers)

  • 김숙경;윤해연;안계림;서순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95-104
    • /
    • 2022
  • 본 연구는 보육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상사무례경험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복지와 희망이 단순 및 이중 매개하는 지를 분석하여 플로리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오프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이중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사무례경험은 복지, 희망 및 플로리싱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복지, 희망 및 플로리싱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복지와 희망은 상사무례경험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역할을 하였다. 복지와 희망 두 매개변인은 무례경험이 플로리싱에 미치는 음(-)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복지와 희망의 이중 매개역할을 이용하여 플로리싱을 증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 Influencing Health Status among Female Office Workers)

  • 김경자;서슬기;김양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75-388
    • /
    • 2020
  • 본 연구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 자료(2017)를 사용하여, 여성 근로자의 건강 상태와 그 잠재적 영향 요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 상태에, 직장 관련 요인과 가정 관련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무직에 근로하는 여성 근로자 3,115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여성 근로자의 건강상태에는 근로자의 연령, 근로자의 고용상태, 근무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직장 동료의 성별 비율, 경제적 부담 정도, 육아에 부담 정도, 가사에 대한 부담 정도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관련된 몇 가지의 정책적 그리고 학문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현재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눈에 띄게 활발해지면서, 여성 근로자의 수는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조직내 여성 근로자들에 대한 건강 상태가 개선된다면, 조직의 생산성 또한 향상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성 근로자들에 대한 적절한 건강 관리는 조직 자원에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여성 근로자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적 방안 또한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서울지역 학령기 취약계층 아동의 건강문제와 관련 요인 (Health Problems and Related Factors of Socially Vulnerable School-age Children in Seoul)

  • 강경림;김성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1-193
    • /
    • 2017
  • Purpose: This i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with the purpose of identifyng the health problems and related factors of socially vulnerable school-age children in Seoul, South Korea. Methods: Two focus group interviews and two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leven participants. They were two class teachers, three school nurses and two daycare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and three social workers and a welfare worker working at community childcare centers.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identified psychosocial problems were 'distracting and excessive behavior', 'depression and helplessnes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s', and 'internet overdependence'. The revealed physical health problems were 'poor hygiene', 'obesity', and 'gastrointestinal problems'. In addition, the fact that physical and psychosocial problems are closely inter-linked was reaffirmed through practical examples. Meanwhile, socioeconomic, family environmental, social experiential and individual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children's health. Relationships within a family or a peer group and healthy lifestyle were considered critical issues to deal with in order to improve the childrens' health status. Conclusion: It was proved that socially vulnerable school-age children have various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due to multiple facto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sign nursing approaches that help them achieve optimal health status.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노동실태 및 요구분석: 보조교사, 대체교사, 부담임 교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Demand for the Assistant Workforce in Korean Childcare Center)

  • 박창현;김상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5-10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노동실태와 요구를 파악하고, 보육교사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8월 한달간 총 190명의 어린이집 보조인력인 누리 일반 보조교사, 보육도우미, 대체교사, 부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조인력의 노동실태와 요구분석을 위해 현 기관 취업경로 및 근무이유, 근로여건, 직무 및 교육실태, 애로사항을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보조인력은 본인의 형편에 맞는 시간대에 일할 수 있어 노동을 선택하였으며, 진입경로로는 보조교사, 대체교사는 주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구인광고를 통해, 보육도우미와 부담임은 지인소개 및 추천을 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로여건에서는 일일 근무시간은 '4~8시간'인 경우가 73.7%, '51만 원 이상~100만 원 미만'인 경우가 57.9%였다. 하루 평균 휴게시간은 약 30분, 17%는 휴게시간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 및 교육실태를 살펴보면, 보조인력은 '유아지도 및 상호작용', '청소 청결 관련 업무'를 가장 활발히 수행하였으며, '청소 청결 관련 업무'와 '아침 돌봄 야간 돌봄'에 대한 인력 충원이 시급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애로사항에서 보조 인력은 임금과 관련된 불만족과 고용불안정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동의하는 이유는 고용 안정성 때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정규직 문제해결을 위한 선결과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격차 해소, 노동시간단축 및 노동조건 개선이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정책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어린이집 보조인력에 대해 주목하고,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입장에서 노동 실태에 응답한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