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coefficient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5초

Agreement Level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Symptom Reports between Children and Their Parents

  • Angharad Vernon-Roberts;Emma Rouse;Nerissa L Bowcock;Daniel A Lemberg;Andrew S Day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6권2호
    • /
    • pp.88-98
    • /
    • 2023
  • Purpose: Children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frequently undergo clinical assessments, involving triadic communication between clinician, parent, and child. During such encounters parents are traditionally the main communicator of information on their child's IBD, including subjective symptom reports.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children and their parents for IBD symptoms is poorly understood, a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is factor.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children with IBD, and one parent. A validated paediatric IBD symptom report tool (IBDnow) enabled children and their parent to rate seven pain, well-being, and stool metrics, with dyads completing the tool concurrently. Results were assessed using: Individual agreement: proportion of identical symptom reports by each dyad (ideal score >0.7); Category agreement: percentage of identical reports for IBDnow metrics for the cohort; Inter-rater reliability: Gwet's AC1 coefficient with higher scores indicating better reliability (maximum=1). Results: Seventy-four parent/child dyads participated; child's mean age 12.2 years (standard deviation [SD] 2.9, range 6-16), mean time since diagnosis 2.8 years (SD 3), 54% female, 73% had Crohn's Disease. Mean individual agreement level was 0.6, with 27% of dyads agreeing on ≥6/7 IBDnow metrics. Category agreement was reported by 61% of dyads, 20% of parents overestimated, and 19% underestimated, their child's symptoms. Inter-rater reliability ranged from fair to good. Conclusion: These results should improve clinician awareness of how IBD symptom reports from parents may introduce bias.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symptom reports, and tools such as IBDnow utilised to enhance communication.

한국형 부모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THE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PARENTING STRESS INDEX)

  • 염현경;신윤오;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1호
    • /
    • pp.70-78
    • /
    • 2000
  • 본 연구는 한국형 부모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Abidin의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Parenting Stress Index)의 적용을 통해 기초연구가 수행되었다. 1차 예비조사는 $3{\sim}12$세 아동의 어머니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382부의 데이타로 요인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영역의 문항 47개 문항 중 29개 문항, 5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부모영역의 문항 54개 문항 중 28개 문항,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1차 분석에서 추출된 57개 문항에 대해 2차 예비 조사에서는 만 $3{\sim}6$세 유아의 부모로부터 수집한 392부의 데이터로 재분석하였다. 문항변별도 분석을 위해 문항-총점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r=.20 이하의 문항을 삭제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내용타당도와 구조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구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영역에서는'부모강화', '수용성', '주의산만성', '요구성'의 4개 요인, 24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아동영역의 전체 공통분산 가운데 설명되는 공통분산은 82.05%로 나타났다. 부모영역에서는'역할제한', '우울감', '사회적 고립', '건강', '배우자 관계'의 5개 요인, 24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부모영역의 전체 공통분산 가운데 설명되는 공통분산은 82.40%로 나타났다.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 지수를 산출하였는데, 아동영역에서는 전체 신뢰도 ${\alpha}$=.81을 나타냈고, 각 요인별로 .69, .70, .67, .66을 나타냈다. 부모영역의 신뢰도 지수는 ${\alpha}$=.83이며 각 요인별로 .73, .70, .70, .55, .73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미국판 PSI 척도를 적용하여 한국에서의 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한국문화에 알맞게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따라서 추후 국내 문화에 알맞은 문항과 요인을 추가한 2차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자폐적인 아동의 일치적 애착 행동 증진을 위한 정상군/자폐군 모-아놀이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MOTHER-CHILD PLAY BETWEEN AUTISTIC AND NORMAL GROUPS FOR PROMOTING THE AUTISTIC CHILDREN'S SYNCHRONIZED BEHAVIORS)

  • 임숙빈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76-90
    • /
    • 1999
  • 자폐적인 아동은 사회적 발달의 기초인 모-아 애착에서부터 왜곡되어 있고 특히 일치적 애착 행동들이 저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치적 행동들의 정상적 발달양상과 관련 요소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겠기에 자폐군과 정상군 총 20쌍의 모-아 놀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폐군의 일치적 행동들은 정상군에 비해 저하되어 있고 발달 경과도 느렸으며 특히 16개월 이상부터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일치성과 상관이 있는 어머니의 양육행위는 애정적 표현을 하고 적절한 행동 멈춤을 보이며 아동의 행동을 기다려주는 것이었다. 모-아 상호집중의 저해요소는 지시적이고 간섭하고 학습중심적인 어머니의 놀이 행위와 아동의 무관심, 무반응, 과제수행의 실패 등이었다. 그러나 아동의 수준을 고려해 적당히 자극적인 접근을 하였을 때 상호집중이 유발되고 지속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아이돌보미의 안전행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전지식, 안전인식, 안전효능감을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to the Safety Practices of in-home Child-care Providers: Focusing on Safety Knowledge, Safety Awareness, and Safety efficacy)

  • 문하람;어용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36-546
    • /
    • 2020
  •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안전지식, 안전인식, 안전효능감과 안전행동실천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경상북도 소재 2개 시에서 아이돌보미 양성교육 과정을 이수하여 아이돌보미 자격을 갖춘 아이돌보미 199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이돌보미의 안전지식은 0.64(±0.09)점이었으며, 안전인식은 1.92(±0.37)점, 안전효능감은 4.18(±0.51)점, 안전행동실천은 2.55(±0.36)점이었다. 안전행동 실천은 안전지식(r=.14, p=.042), 안전효능감(r=.43, p<.001)과 안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r=.32, p<.001), 주위사람 도움(r=.40, p<.001), 주위환경 조절(r=.39,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이돌보미의 안전행동실천 영향요인으로 안전효능감의 하부요인인 주위사람 도움(β=.24, p=.009)과 주위환경 조절(β=.19, p=.039)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의 안전행동 실천 설명력은 20.0%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아이돌보미의 안전행동 실천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전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 김정희;이용주;김동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03-120
    • /
    • 2014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강원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54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회복탄력성 질문지(이정현, 2013)와 사회적 지지 설문지(이재영, 2012)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ANOVA, Scheff$\acute{e}$의 사후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경력, 연령, 기관유형, 결혼유무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과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7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3년 이하와 4-6년 경력교사 보다 회복탄력성 전체와 긍정성을 유의하게 높게 경험하였다. 25세 이하 교사 보다 46세 이상 교사가 회복탄력성 전체를 유의하게 높게 형성하였고, 자기조절능력은 25세 이하 교사 보다 41-45세 교사가, 긍정성은 41-45세와 46세 이상 교사가 25세 이하의 경우 보다 각각 유의하게 높게 형성하였다. 가정어린이집 교사가 법인어린이집 교사에 비해 회복탄력성 전체와 긍정성을 높게 형성하였고, 기혼 집단이 미혼 집단 보다 회복탄력성 전체,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을 높게 형성하였다. 반면 학력에서는 집단 간 유의차가 없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는 각 하위변인 및 전체 간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물질적 지지는 긍정성과 회복탄력성 전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고, 평가적 지지는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회복탄력성 전체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주었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해야 함과 동시에 개인변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Supervisor's Support and Burnout)

  • 김정희;이용주;김동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75-190
    • /
    • 2014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71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사회적 지지 설문지(이재영, 2012), 직무소진 질문지(김혜경, 2011)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 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역할수행 전체 및 하위변인들은 소진 전체 및 하위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원장의 지지 전체 및 하위변인들은 소진 전체 및 하위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역할수행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교육 및 교수활동은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소진 전체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고, 상담 및 정서적 지원은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다. 셋째, 원장의 지지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물질적 지지는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소진 전체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고, 평가적 지지는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적영향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역할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함과 원장의 지지를 다각적으로 높여내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영아 기질과 모아상호작용, 양육환경과의 관계 (Correlations of Infant Temperament,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Child-rearing Environment)

  • 한경자;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32-14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correlational study wa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ant temperament,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child-rearing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 dyads of healthy mothers and healthy infa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5th of March to 3rd of September, 1999. Convenient sampling was done at Obstetric wards of one University hospital, and demographic data were collected before discharge. At one month and three month postpartum, we visited subject's home, and collected the data on the infant temperament, and also video taped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during feeding. In addition, child-rearing environment was checked by researcher according to HOME(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at three months postpartum. Mother-infant interactions were rated according to the NCAST Feeding Scale later. Data were analyzed by window SPSS program,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infant temperament,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child-rearing environment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al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fant temperament. 1) Among the subscales of infant temperament, mothers perceived cuddliness and amenability most positively at one month, and responsivity and amenability most positively at three months. 2) In subscale analysis of stability, amenability, responsivity, and persistence were stable with the time. 3)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malleability and amenability, between the malleability and responsivity at one month, and also between the malleability and amenability, and between the malleability and cuddliness at three months. 2. Correlations of infant temperament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1)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 temperament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at one month. 2)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 temperament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at three months(r=.335, p<.05). In subscale analysis, there were significnt relationships between the total score of infant temperament and maternal sensitivity to infant's cues(r=.372, p<.05), and between the total score of infant temperament and maternal response to infant's distress (r=.331, p<.05). 3. Correlations of infant temperament and child-rearing environment. 1)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score of infant temperament at one month and total score of HOME at three months. In subscal analysis, the total score of infant temperament at on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organization of environment(r=.413, p<.05), and the emotional, verbal response at three months(r=.337, p<.05). 2)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score of infant temperament at three months and the total score of HOME at three months (r=.599, p<.01). In subscal analysis, the total score of infant temperament at three month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organization of environment(r=.410, p<.05), maternal involvement(r=.482, p,.01), and the emotional, verbal response(r=.695, p<.01) at three months. 4. Correlation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child-rearing environmen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score of mother-infant interaction at one month and three months and the total score of HOME at three months (r=.474, p<.01; r=.452, p<.01). In conclusion, it was proved that infant temperamen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child-rearing environment, especially when the infants were getting older. This showed the possibility for changeability of infant teperament by the maternal factors.

  • PDF

호흡기감염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의 감염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about Practice of Infection Management by Child Care Center Teachers about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 강광순;김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315-326
    • /
    • 2017
  • 본 연구는 호흡기감염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의 감염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교사 432명으로, 자료수집은 2016년 7월 2일부터 8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호흡기감염의 원인과 증상에 관한 지식, 간호지식, 감염관리수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어린이집교사의 감염관리수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지식(${\beta}=-.371$, p<.001), 양육경험(${\beta}=-1.993$, p<.001), 호흡기감염의 원인 및 증상에 관한 지식(${\beta}=.096$, p<.001)이었으며, 이들 변수가 감염관리수행 변인의 43.4%를 설명하였다. 이들 변수 중 감염관리수행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수는 간호지식이었다.

암 환아 가족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과 대처양상에 관한 연구 (A Correlational Study on Uncertainty and Coping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Cancer)

  • 민영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29-544
    • /
    • 1994
  • For most parents their child's illness and hospitalization is strssful. Internal stress and over anxiousness leads to uncertainty. Parents have a variety of ways of coping when faced with such stress factors, especialy when the child has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in illness and mastery and coping styles in parents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and further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of subject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groups. The sample was composed of 59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in pediatric wards in three hospitals in Seoul : 21 in Group 4 with a child newly diagnosed with cancer : 25 in Group B, with a child under treatment and rehospitalized with a relapse : and 13 in Group C, with a child with a terminal cancer, A formaliz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demegrapic information and consisted of 75 items was used in this study ; The Parent Perception of Uncertainty Scale(PPUS) adapted form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Pearlin & Schooler's Mastery Scale(MS) and Folkman & Lazarus’s Ways of Coping Checklist(WCC) were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 uncertainty in illness, mastery, and coping styles. A pretest was conducted on the questionnaire items for reliability. The results gathered were analyzed using SPSS /PC/sup +/.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correltional statistics such a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md chi square test. The conclusions of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A higher level of uncertainty was seen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terminal cancer. 2. The first hypothesis that uncertainty in illness would differ among the three groups was supported(F=4.182, P=.020). The second and third hypotheses that mastery and coping styles would differ among the three groups were not supporte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uncertainty, mastery, and coping styles which was positive,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stery and coping style(r=.3744, P<.001)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uncertainty md mastery(r=-.4749, P<.01).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prediciting and controlling uncertainty in illness by considering coping styles and mastery are necessary for improved,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s.

  • PD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urkish Versions of the Child, Parent and Staff Cancer Fatigue Scales

  • Gerceker, Gulcin Ozalp;Yilmaz, Hatice Ba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7호
    • /
    • pp.3135-3141
    • /
    • 201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dapt the Turkish versions of scales to evaluate fatigue in children with cancer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hildren, parents and staff.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Child Fatigue Scale-24 hours" (CFS-24 hours), "Parent Fatigue Scale-24 hours" (PFS-24 hours) and "Staff Fatigue Scale-24 hours" (SFS-24 hours) for use in Turkish clinical research settings. Translation of the scales into Turkish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were performed. The validity of the translated scales was assessed with language validity and content validity. The reliability of the translated scales was assessed with internal consistency. The scales were evaluated by considering the following: calculation of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for parallel form reliability with 52 pediatric cancer patients, 86 parents and 43 nurses.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estimated as 0.88 for the Child Fatigue Scale-24 hours, 0.77 for the Parent Fatigue Scale-24 hours, and 0.72 for the Staff Fatigue Scale-24 hours (Cronbach's ${\alpha}$). The Turkish version of the Child Fatigue Scale -24 hours, the Parent Fatigue Scale -24 hours and the Staff Fatigue Scale -24 hours were judged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s to assess fatigue in children and showed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These scales should assist in understanding to what extent initiatives can minimize or eliminate fatigue. Our scales are recommended for further studies and use in pediatric oncology clinics as routine measurements and nursing initiatives should be planned according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