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aksan national park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1초

Thanatus arcticus Thorell, 1872 (Araneae: Philodromidae) new to the Korean spider fauna

  • Sue Yeon Lee;Jung Sun Yoo;Chang Moon Jang;Seung Tae Ki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277-280
    • /
    • 2023
  • Philodromidae Thorell, 1869 is one of the most diversified and largest families comprising 522 species in 29 genera within the order Araneae Clerck, 1757. The genus Thanatus C. L. Koch, 1837 comprise 99 species of the family and four species of the genus Thanatus (Philodromidae) have been recorded in Korea: T. coreanus Paik, 1979, T. miniaceus Simon, 1880, T. nipponicus Yaginuma, 1969, and T. vulgaris Simon, 1870. Two females of T. arcticus Thorell, 1872 were collected by sweep net between the shrubs in mountainous mixed forests from Mt. Chiaksan National Park, Wonju-si, Gangwon-do and Mt. Naejangsan National Park, Jangseong-gun, Jeollanam-do.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 arcticus with measurements and taxonomic illustration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deteriorations class of a trail in Deogyusan National Park

  • Ju-Ung Yun;Myeong-Jun Kim;Hong-Seok Bang;Jin-Won Kim;Won-Ok Je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367-37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terioration of trail conditions and to obtain information for desirable maintenance and restoration of a trail in Deogyusan National Park.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trail were surveyed at a total of 412 sites over 79.8 km length. The average trail degree and width were found to be 14.31° and 1.60 m, respectively, while the average bare trail width was 1.40 m and the average maxim trail depth was 5.66 cm. Major deterioration types of trail were trail deepening (36.6%), rock exposure (33.9%), and root exposure (12.5%) in order of frequency. Deterioration classes of the trail were 0.626 km (0.8%), 3.110 km (3.9%) and 8.935 km (11.2%) for heavily, moderately, and lightly deteriorated, respectively, with a deterioration rate of 12.671 km (15.9%). Compared to other national parks, the ratio damaged trail to the total trail was 15.9%,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other, including Jirisan National Park 9.6% (2019), Bukhansan National Park 13.6% (2019), Sokrisan National Park 11.7% (2019), Chiaksan National Park 12.3% (2015), and Woraksan National Park 10.5% (2015). The section of trail in Deokyusan National Park where the damage grade is analyzed as "Heavy" should therefore be restored in consideration of the field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damage status of the trail is expected to be greatly improved when the trail surface maintenance level is restored.

국립공원에서의 이용 및 관리속성에 대한 탐방객과 관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강원도 소재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A Study on Visitors' and Managers' Perception to National Park Use and Management Attributes -A Case Study on National Parks in Kangwon Area, Korea-)

  • 유기준;김정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3
    • /
    • 2003
  • 본 연구는 강원도 소재의 치악산국립공원, 오대산국립공원, 그리고 설악산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들과 공원사무소에서 근무하는 관리자들의 공원 이용 및 관리 관련 속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원관리방안 수립에 필요한 기초 정보의 제공에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응답자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가 각 국립공원 주 진입부에서 공원방문을 마치고 귀가하는 401명의 탐방객들과 세 곳의 국립공원에 근무하고 있는 공원관리자 67명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탐방객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으로서 공원내 환경훼손의 심각성, 환경훼손의 유형, 훼손원인에 대해 집단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제시된 18개 공원관리 및 이용 관련 항목에 걸친 집단별 인식비교 결과 쓰레기 문제 자연 및 문화자원의 훼손문제, 호객행위, 위생 및 안내시설의 청결과 부족, 등산로 훼손 등 10개 속성에 대해 탐방객과 관리자 집단간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산반도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 해설 매체 이용평가 (Visitors' Evaluation of Interpretive Media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

  • 조우;최송현;유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7-134
    • /
    • 2009
  • 본 연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 활용되고 있는 각종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 탐방객 인식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원관리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탐방객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91매의 설문지가 유효 표본으로 이용되었다. 조사결과 '탐방지원센터 전시물'이 가장 이용률이 높은 환경해설 매체로 나타났으며 '수목이름 해설판', '자연해설 프로그램'은 비교적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그러나 공원안내지도'는 이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매체로 평가되었다. 공원내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결과 중요도 평균값은 3.64, 성취도 평균값은 3.03으로 치악산과 월출산국립공원에서 조사한 결과보다 낮았다.

Movement patterns and home range of captive-bred Amur ratsnake (Elaphe schrenckii) juveniles in the natural habitat

  • Kim, Dae-In;Kim, Il-Hoon;Kim, Ja-Kyeong;Kim, Bin-Na;Park, Dae-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1호
    • /
    • pp.41-50
    • /
    • 2012
  • To determine the movement patterns, home range, and use of structural features of captive-bred one- or two-year-old Amur ratsnake (Elaphe schrenckii) juveniles in the natural habitat, we radio-tracked a total of 11 juvenile snakes in a mountain valley in Chiak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between August 21 and September 20, 2010 and between June 13 and July 13, 2011. During the first week of the release, most juveniles moved short distances, daily, but they increased their distances after the first week. The body weight of the juveniles wa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movement rate (dividing the number of movements by the number of relocations), which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mean daily distances moved and the size of both a kernel 50% and 95% home range. During the study period, the juveniles moved daily, approximately 17 m, and the size of the minimum convex polygon and the 50% and 95% kernel home ranges were 1.8 ha, 0.4 ha, and 3.0 ha, respectively. The released captive-bred juveniles were more frequently confirmed underground or on the ground rather than on rocks or on tre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body condition of released individuals, the seasonal time of the release, and the existence of available prey and shelters in the habita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releasing captive-bred Amur ratsnake juveniles for the rehabilitation of field populations.

풍뎅이동충하초(Cordyceps scarabaeicola)의 자실체 형성 조건 (Investigation of the Condition of Fruiting Body Formation by Cordyceps scarabaeicola)

  • 이재근;성재모;박영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17
    • /
    • 2002
  • 공시균주인 EFCC C-251, EFCC C-252, EFCC C-1092 균주 중 현미(60 g)와 누에 번데기(30 g)를 혼합한 배지에서 EFCC C-252 균주가 자실체가 잘 형성되어 이 균주를 가지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실체 형성 최적온도는 $25^{\circ}C$이었으며 광은 형광등으로 조명도는 300 lux이었다. 기본배지에 lactose, ammonium sulfate와 $KH_2PO_4$를 첨가한 배지에서 균사의 생육은 좋았으나 자실체 형성은 기본배지에 현미(20 g)를 첨가한 배지에서 좋았다. 현미만으로는 70 g를 넣은 배지와 누에 번데기만은 80 g를 넣은 배지에서 에서 자실체의 형성이 좋았다. 현미와 누에번데기를 같이 넣었을 때는 현미 60 g에 누에번데기 40 g에서 다른 비율배지에 비해 자실체 형성이 좋았다. 관수는 2일 간격으로 한 처리구가 좋았으며 액체종균의 접종량은 $5{\sim}25\;ml$까지는 자실체 생육이 비슷함을 보이다가 접종량이 증가할수록 자실체 생육이 저조하였다.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species richness of subalpine plant species in the mountain national parks of South Korea

  • Adhikari, Pradeep;Shin, Man-Seok;Jeon, Ja-Young;Kim, Hyun Woo;Hong, Seungbum;Seo, Changw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298-307
    • /
    • 2018
  • Background: Subalpine ecosystems at high altitudes and latitudes are particularly sensitive to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the prediction of the species richness of subalpine plant species under future climate change is not well studied. Thu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species richness of subalpine plant species (14 species) in the 17 mountain national parks (MNPs) of South Korea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4.5 and RCP 8.5 using maximum entropy (MaxEnt) and Migclim for the years 2050 and 2070. Results: Altogether, 723 species occurrence points of 14 species and six selected variables were used in modeling. The models developed for all species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AUC > 0.89 and TSS > 0.70). The results predicted a significant loss of species richness in all MNPs. Under RCP 4.5, the range of reduction was predicted to be 15.38-94.02% by 2050 and 21.42-96.64% by 2070. Similarly, under RCP 8.5, it will decline 15.38-97.9% by 2050 and 23.07-100% by 2070. The reduction was relatively high in the MNP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s (Songnisan and Gyeryongsan), eastern region (Juwangsan), and southern regions (Mudeungsan, Wolchulsan, Hallasan, and Jirisan) compared to the northern and northeastern regions (Odaesan, Seoraksan, Chiaksan, and Taebaeksan). Conclusion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MNPs at low altitudes and latitudes have a large effect on the climate change in subalpine plant species. This study suggested that subalpine species are highly threatened due to climate change and that immediate actions are required to conserve subalpine species and to minimiz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치악산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해설 매체 이용과 평가 (Visitor Usage and Evaluation of Interpretive Media in Chiaksan National Park)

  • 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19
    • /
    • 2006
  • 본 연구는 치악산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자기안내식 환경해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해설매체에 대한 이용과 평가 현황을 파악하여 공원관리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탐방객 직접기입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275매의 유효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응답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탐방행태는 동일 대상지에서 실시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환경해설 매체를 이용했던 탐방객중 '공원 이용자원 안내판'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으며(77%) '탐방로변수목해설판', '탐방로변 문화자원 해설판', '공원정보제공 LED사인'의 이용률은 높은 편이었다. '공원안내지도', '국립공원 홈페이지', '간이탐방안내소 전시물', '정보게시판'은 40%미만의 적은 이용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한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 중요도와 성취도 분석결과 중요도는 전 항목에서 측정값이 평균4점 이상으로 나타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성취도도 '간이탐방안내소 전시물'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외래잡초 나래가막사리(Verbesina alternifolia)의 생물학적 침입 및 분포유형 (Bioinvas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Verbesina alternifolia in Korea)

  • 길지현;이창우;김영하;김종민;황선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33
    • /
    • 2011
  • 북아메리카 원산의 나래가막사리(Verbesina alternifolia)는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로, 우리나라에는 1980년대 이후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래가막사리는 전국의 산지 5개 지역, 도로 12개 지역, 하천변 5개 지역에서 분포가 조사되었고, 치악산국립공원, 무등산도립공원 등 생태계 중요지역에도 집중 분포하였다. 나래가막사리는 도로 및 계곡을 따라 산지 및 하천변으로 확산되며, 생명력이 강해 음지, 양지 모두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락을 형성한 곳에서는 서서히 분포역을 넓혀 주변 토착식생의 정착을 간섭하며 산지 및 하천변으로 확산되고 있다. 나래가막사리는 특히 자연식생 보전이 필요한 지역에서 분포를 제한할 수 있는 관리가 필요하며, 지하부의 유묘발달로 지상부 관리보다 뿌리제거를 통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거방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국립공원 인공림 식생구조 및 생태적 천이 유도를 위한 간벌 밀도 연구 - 치악산, 속리산, 덕유산, 내장산을 사례로 - (Vegetational Structure and the Density of Thinning for the Inducement of the Ecological Succession in Artificial Forest, National Parks - In Case of Chiaksan, Songnisan, Deogyusan, and Naejangsan -)

  • 김종엽;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04-619
    • /
    • 2012
  • 독일의 산림미학(숲미학)과 영국의 산림디자인 개념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립공원 인공림도 단계별로 생태적 복원이 필요하며, 본 연구는 국립공원 인공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여 생태적 천이를 유도하기 위한 식생유형별 간벌 밀도 기준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립공원 중 치악산, 속리산, 덕유산, 내장산에 분포하는 잣나무림, 전나무림, 편백림, 은사시나무림, 일본잎갈나무림 등 인공림 8개소와 소나무군집, 소나무-졸참나무군집, 졸참나무군집 등 자연림 3개소 등 총 11개소에 $20m{\times}20m(400m^2)$ 크기의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식생구조 특성을 고려하여 인공림을 천이미발달형, 외래종치수발달형, 천이초기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종다양도(H')는 천이미발달형 0.9681~1.1323, 외래종치수발달형 1.0192~1.1870, 천이초기형 1.3071~1.3892, 자연림 1.2202~1.3428로 침엽수 단일수종 위주의 단층구조의 인공림보다 천이초기형 인공림과 다층구조의 자연림의 종다양도가 다소 높았다. 단계별 간벌 밀도는 30~60% 범위로 하되, 천이미발달형은 외래종 우점치가 88~90%로 높으므로 대경목부터 3단계에 걸쳐 간벌하고, 외래종치수발달형은 외래종 우점치가 60~97%로 높고 아교목층과 관목층에 치수가 발달하고 있어 조기에 외래종 치수를 제거하고 1단계 또는 2단계에 걸쳐 간벌하며, 천이초기형은 외래종 우점도가 30% 이하로 자생종과 경쟁하는 외래종을 우선적으로 간벌하고 1단계 또는 2단계에 걸쳐 간벌할 것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