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외래잡초 나래가막사리(Verbesina alternifolia)의 생물학적 침입 및 분포유형

Bioinvas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Verbesina alternifolia in Korea

  • 길지현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자연평가연구팀) ;
  • 이창우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자연평가연구팀) ;
  • 김영하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자연평가연구팀) ;
  • 김종민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자연평가연구팀) ;
  • 황선민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자연평가연구팀)
  • Kil, Ji-Hyon (Environment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Lee, Chang-Woo (Environment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Kim, Young-Ha (Environment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Kim, Jong-Min (Environment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Hwang, Sun-Min (Environment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투고 : 2010.11.22
  • 심사 : 2011.01.31
  • 발행 : 2011.03.31

초록

북아메리카 원산의 나래가막사리(Verbesina alternifolia)는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로, 우리나라에는 1980년대 이후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래가막사리는 전국의 산지 5개 지역, 도로 12개 지역, 하천변 5개 지역에서 분포가 조사되었고, 치악산국립공원, 무등산도립공원 등 생태계 중요지역에도 집중 분포하였다. 나래가막사리는 도로 및 계곡을 따라 산지 및 하천변으로 확산되며, 생명력이 강해 음지, 양지 모두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락을 형성한 곳에서는 서서히 분포역을 넓혀 주변 토착식생의 정착을 간섭하며 산지 및 하천변으로 확산되고 있다. 나래가막사리는 특히 자연식생 보전이 필요한 지역에서 분포를 제한할 수 있는 관리가 필요하며, 지하부의 유묘발달로 지상부 관리보다 뿌리제거를 통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거방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Wingstem, Verbesina alternifolia of North America origin, was introduced in 1981 into the Korea terrestrial ecosystem. It scattered in a number of places with limited population size in most cases. Its population has spread into the forest at the Chiaksan National Park and occupied the natural vegetation. Distributions of wingstem were the most popular along the 12 road sites, especially in Route 453, Seohwa-myeon, Inje-gun, Gangwon-do and in Route 31, Yeongyang-gun, Gyeongsangbuk-do with 60% coverage of wingstem. It was also distributed in the 5 forest sites and 5 riversides. Despite of its attractive yellow flower, it is recommended to limit cultivation in the nature reserve or other ecosystem of conservation valu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서울. 281 p.
  2. 박수현. 2009.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 식물. 일조각, 서울. 575 p.
  3. Mack, M. C., and C. M. D'Antonio. 1998. Impacts of biological invasions on disturbance regimes.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13(5):195-198. https://doi.org/10.1016/S0169-5347(97)01286-X
  4. Rejmanek, M. 1996. Invasive plant species and invasible ecosystems. In:Sanalund, O. T., P. J. Schei and A. Viken (eds.) Proceedings of the Norway/UNEP Conference on Alien species. pp. 60-68.
  5. Stevens, O. A. 1932. The Number and Weight of Seeds Produced by Weeds. American Journal of Botany 19(9):784-794. https://doi.org/10.2307/2436042
  6. www.GISP.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