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alog search behavior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생의 학습활동에 있어 도서관목록의 의미 (Meanings of Library Catalog in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 이은주;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9-77
    • /
    • 2012
  • 이 연구는 대학생의 다양한 학습활동에 있어서 도서관과 도서관목록의 이용행태를 살펴보고, 이러한 행태 속에서 나타나는 대학도서관 목록의 가치와 의미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학습활동의 유형과 인적 변인에 따른 행태의 차이를 다각도로 분석함으로서, 이용자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목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보다 면밀한 접근을 위해 도서관목록 탐색행태에 대한 관찰법을 함께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현재 대학도서관목록은 특정 자료의 소장유무 확인과 서가위치 파악과 같은 최소한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었으며, 도서관목록이 대학생의 학습활동을 위한 포괄적인 탐색도구로 기능하려면 대학생들의 정보행태에 기반한 전반적인 품질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의류 제품의 통신 판매와 소비자 구매 의도 -쇼핑 비용 지각과 쾌락적 쇼핑 성향을 중심으로- (Effects of Consumers' Perception of Shopping Cost and Recreational Shopping Orientation on Catalog Shopping of Apparel)

  • 이은주;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826-840
    • /
    • 1996
  • With rapid changes in social and marketing environments, catalog retailing emerges as a new method of selling clothes in Korea. In catalog shopping, in-store and multi·store search behavior are omitted saving consumers time and effort. On the other hand, consumers may lose recreational enjoyment of shopping when they purchase clothes through catalog. In this study, consumers perception of shopping cost and recreational shopping orientation were tested as consumer characteristic intervening catalog shopping behavior. The concept of shopping cost was derived from Darian(1987)'s analysis of cost and benefit of store shopping and in-home shopping. A national sample of 700 adult women was surveyed and 477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Nine shopping cost perception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purchase intention of apparel through catalog.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wo factors of shopping cost were found; perception of lack of shopping time and perception of store search effort. Causal modeling of LISREL analysis showed that percetion of lack of shopping time was strongly related with patronizing intention of catalog shopping. Since catalog shopping exclude enjoyment of store shopping activity, it can be logically inferred that recreational store shoppers have less chance of being catalog shoppers. However, the result of LISRE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recreational shopping orientation and catalog shopping intention. This suggests that consumers might experience enjoyment of shopping through catalog when properly presented.

  • PDF

이용자 요구 기반의 도서관목록 구현에 관한 연구 - P대학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 (Redesign of OPAC based on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Needs: The Case of P University Library)

  • 이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31-458
    • /
    • 2014
  • 이 연구는 도서관목록이 이용자 친화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에 기반 해야 함을 전제로 두고, 이용자 요구 기반 도서관목록의 모습을 제안하고 실제 구현 가능성을 점검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와 정보탐색행태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 (2) 이용자 요구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도서관목록을 직접 구현한 뒤, (3) 이용자들의 만족도 평가를 통해 이 연구에서 제안한 도서관목록의 유용성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4) 연구의 전 과정을 진행하면서 봉착했던 어려움과 한계를 논의하면서 이용자 요구 기반의 도서관목록을 구현하고자 할 때 선행되어야 할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트랜잭션 로그 분석을 통한 웹기반 온라인목록의 검색행태 추이 분석 (Trends of Web-based OPAC Search Behavior via Transaction Log Analysis)

  • 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9-233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웹기반 온라인목록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검색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7년 동안의 트랜잭션 로그를 분석하였다. 웹기반 온라인목록의 검색형태는 검색전략과 검색실패의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검색전략에서는 검색유형, 접근점, 연산자, 검색문의 길이, 단어 사용횟수, 웹기반 온라인목록 이용횟수, 시간대별 및 요일별 이용횟수를 분석하였다. 또한 검색실패는 검색실패율과 접근점별 검색실패율, 연산자별 검색실패율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웹기반 온라인목록 시스템과 서비스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정 내 유통채널 간 소비자 정보탐색과 구매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Information Search and Purchase Behavior Across In-Home Shopping Channels)

  • 주영혁;양석준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3권3호
    • /
    • pp.27-54
    • /
    • 2008
  • 본 연구는 가정 내 유통업체(In-home shopping channel)의 다채널 고객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정 내 쇼핑채널로서 TV, 카탈로그 및 인터넷 쇼핑채널 간 소비자의 정보탐색과 구매행동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가정 내 쇼핑채널들의 정보탐색과 구매행동과의 관련성을 채널 내 고객 고정(channel lock-in)과 채널 간 시너지(cross-channel synergy)로 구분하여 영향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1개월 동안의 가정 내 쇼핑채널 이용에 대한 자료를 345명의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소비자의 구매채널 이용행동을 선택, 빈도 및 지출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만 결과 가정 내 쇼핑채널 간 정보탐색과 구매행동 간에는 높은 채널 내 고객 고정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낮은 채널 간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TV 채널의 경우 카탈로그와 인터넷 채널 간 대체성이 나타나는 반면에 카탈로그와 인터넷 채널은 보완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만 결과는 가정내 다채널 유통기업에게 채널 간 조정과 통합 및 고객관리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디지털 키즈'를 위한 기존 OPAC의 한계와 과제 (Limit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OPACs for Digital Kid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7-364
    • /
    • 2014
  •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계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OPAC이 어린이의 보편적 특성은 물론이고 디지털 키즈(digital kids)의 정보행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유지하면서 이 연구에서는 철저히 어린이의 관점에서 현행 OPAC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지털 키즈가 도서관에서 자료를 탐색하는 과정과 OPAC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드러내 보이는 행태적 특징을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현행 OPAC의 한계점을 찾아내고 새로운 OPAC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초등학교 4-6학년 54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설문조사 참여자들 중에서 선정한 8명과의 심층면담, 그리고 6개 도서관에서 진행했던 어린이들의 탐색과정에 대한 참여관찰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어린이용 목록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Librarians' Perception of Kid's Catalog in Korean Public Librarie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89-109
    • /
    • 2011
  • 이 연구는 다수의 어린이를 일상적으로 경험해 온 전문가의 관점을 통해 어린이의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 더불어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 밝혀내고자 시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이 관찰한 어린이의 정보탐색 과정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둘째, 사서들은 어린이의 목록 이용과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 요인에 대해 어떠한 경험을 축적하여 왔는가? 셋째,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에 대해 우리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어떠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하여 당면한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등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서 29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서들은 현행 목록이 어린이의 수준에 적합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어린이의 정보요구와 탐색행태에 기초한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과 디스커버리 기능 평가 연구 - 공공도서관 OPAC과 인터넷 서점을 중심으로 - (Evaluating and Comparing the Search & Discovery Features: Focusing on the Public Libraries OPACs and the Internet Bookstores)

  • 한승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93-511
    • /
    • 2016
  • 디스커버리는 차세대 도서관 목록과 더불어 도서관 자원의 탐색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대두된 개념이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탐색행태 관점에서 디스커버리 기능을 정의하고, 그 기능을 구성하는 요소를 도출한 후, 공공도서관을 대표하는 11개의 지역대표도서관의 온라인 목록과 3개의 인터넷 서점을 대상으로 탐색과 디스커버리 기능을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평가 결과, 디스커버리를 구성하는 모든 기능에서 인터넷 서점이 도서관 온라인 목록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온라인 목록은 여전히 알고 있는 자료 탐색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용자는 디스커버리 기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우연한 발견의 기회를 갖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목록 이용자의 주제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s Subject Searching Behavior in an OPAC)

  • 유재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09-225
    • /
    • 1998
  •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온라인목록을 주제탐색용으로 사용할 때 어떠한 탐색행태특성을 나타내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101명에게 한 건의 주제탐색문제를 제시하고 그들의 탐색수행 과정을 관찰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제탐색을 위해 사용한 주요 탐색의 접근점은 주제필드$(55.2\%)$와 서명필드$(42.2\%)$로서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2)주제탐색에서의 탐색실패율은 $59.3\%$로 나타났다. 3)탐색실패의 원인은 부적절한 탐색어사용$(0.5\%)$과 불리안논리자를 기용하지 않은$(42.5\%)$ 결과로 들어났다. 4) 탐색실패에 대처하는 방안으로 탐색어변경$(42.0\%)$이나 탐색 대상필드 변경$(33.8\%)$ 방법이 가장 많이 시도되었다.

  • PDF

일본 및 중국 관광객의 음식관광 정보매체 접촉정도, 신뢰도, 유용도 인식 분석 (Exposure, Credibility, Usefulness of Food Tourism Information Channel of Japanese & Chinese Tourists)

  • 김수진;신서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58-56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evel of exposure, credibility and usefulness of the food tourism information channel perceived by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A total of 23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who account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tourists visiting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ourists were segment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participation in food tourism activities: culinary tourists, experiential tourists and general tourists. Japanese tourists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food tourism activities than Chinese tourists. The information channel used most frequently by tourists was 'word-of-mouth,' while the least used channel was 'e-mail catalog contains food tourism information.' Culinary tourist most actively used online and offline channels to search for food tourism information. Perceived credibility and usefulness of the food tourism information channel differed by nationality and food tourist segment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regarding food tourism promotion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