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e management

검색결과 14,013건 처리시간 0.044초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의 사례관리자 경험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for the housing vulnerable group living in public low-income housing in Seoul)

  • 민소영;김소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263-296
    • /
    • 2018
  • 본 연구는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에서 수행되는 사례관리자의 실천 경험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노숙경험이 있는 주거취약계층에게 집이 가지는 중요성은 절대적이며, 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주민으로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례 관리 역시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이제까지의 연구는 저렴주거 공급, 주거환경, 입주자의 삶의 질과 건강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사례관리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 사례관리자의 FGI를 통하여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자의 경험은 '시설 이후 독립주택생활 지원의 딜레마', '임대료 관리와 사례관리 사이의 역할 경합', '지역 연계와 협력을 향한 외로운 실천', '이중고용관계와 열악한 작업 환경'의 4가지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들의 경험을 토대로 매입임대주택 사례관리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컴포넌트 기반 개발을 위한 CASE 도구의 기능적 요구사항 및 개발관리 도구 (Functional Requirements about CASE Tools for Component Based Development and a Development Management Tool)

  • 김영희;정기원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9-144
    • /
    • 2004
  • 컴포넌트 기반 개발에 사용되는 CASE 도구는 기본적으로 모델링 기능, 프로젝트 관리 기능, 그리고 구현 및 테스트 지원 기능 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 시에 사용되는 CASE 도구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기 존재하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 도구들로부터 도구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분석/설계, 프로젝트 관리, 구현 및 테스트, 기타 기능 지원 등으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개발관리 기능을 추가하여 컴포넌트 기반 개발을 위한 CASE 도구를 제안한다.

  • PDF

고혈압 대상자의 방문간호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Case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 for Registered Clients with Home Health Care of Hypertension)

  • 오숙희;김용순;박지원;유문숙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8-35
    • /
    • 2010
  • Purpose: The study compared the hypertension care efficacy of a case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 for registered clients. Methods: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volved 53 registered hypertensive patients of a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in S-city(n=28 experimental group, n=25 control group). Data collection and case management intervention were carried out from April to July, 2009.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x home visits and two phone calls, and the control group had two home visits during the 8-week period. Outcome variables for test hypotheses were changes in physiologic index (blood pressure and total cholesterol) and degree of self-management performance and confidence. Results: Repeated measure ANOVA and t-test of mean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program for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self-management performance and confide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erning total cholesterol. Conclusion: A case management program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blood pressure control and self management. However, research is needed to create a more effective case management for vulnerable patient populations.

  • PDF

행위별 수가 지불제도 하에서의 사례관리시스템 개발 및 경제성 분석 (Development of Case Management System and Analysis of Economic Feasibility under the Fee-For-Service Reimbursement)

  • 최미영;채영문;탁관철;김인숙;천자혜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6-60
    • /
    • 2004
  • Background :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various changes in the healthcare environment. Healthcare organizations are facing a financial crisis due to more competitive relationships among themselves as well with low health insurance fees.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were: (1) to develop a data warehouse-based system for evaluating and monitoring the case management activities, and (2) to measure and analyze its effects. Methods :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for the study, the database on discharged patients was utilized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from June 1, 2002 through December 31, 2002. Initially, a data warehouse was built for the case management system. The case management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ed methodology to establish the case management system. Result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case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to make it possible to monitor of healthcare quality and resource utilization. The Case management System included monitoring functions regarding utilization reviews, critical pathways, and clinical indicators. (2) Utilizing the case management system, unplanned readmissions were documented among total discharged patients during two months from November 1, 2002 through December 31, 2002. The unplanned readmission rate was 2.3%(276 patients) in total of 11,960 discharged patients. Among them 81 patients(0.7% of total discharges, 29.3% of unplanned readmission) were readmitted to the same physician in charge under the same diagnos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ge among the patients. (3) After implementing the case management system, 2.9% of average length of stay reduced. Applying cost-benefit analysis, the 2.9% reduction of length of stay represents net profit of ${\backslash}$ 279,592,000 in the year of 2004. In addition, applying value acceleration analysis, cumulative net benefit of ${\backslash}$ 1,481,000,000 was expected by the year of 2007. Also we were able to expect ${\backslash}$ 247,800,000 of cumulative benefit for the prospective 5 years in value linkage analysis. It represents average ${\backslash}$ 787,700,000 of pure net benefit a year. Conclusion : The value of present study would be not only implementing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to the existing case management activities, but also evaluating its effects and estimating its financial benefi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ase management system would be a supportive tool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healthcare, and a cost-effective tool for increment of healthcare organization's financial benefit.

  • PDF

Foucault의 계보학을 활용한 사례관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The Genealogical Analysis of Case Management in the Modern Society)

  • 최명민;정병오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301-324
    • /
    • 2015
  • 최근 사례관리가 사회복지실천의 주류 실천방식이자 전달체계의 하나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정작 그 수행주체인 사례관리자들은 계속 혼란과 스트레스를 호소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의 근원적 이유를 탐색하기 위하여 Foucault의 계보학을 이용하여 사례관리의 발생지점에 대한 역사적 미분을 시도함으로써 존재론, 주체론, 방법론 측면에서 사례관리에 내재된 본질적 특성들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20세기 후반 사회적 필요에 따라 인력과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기제로 출현한 사례관리의 태생적 속성들과 이를 신자유주의적 방식으로 제도화하려는 시도들이 사회복지실천 고유의 지향이나 정체성과 충돌하면서 혼란과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실천 본연의 정체성을 실현해 가기 위해서는 사례관리에 배태된 통제성과 관리성을 인식하고 사례의 주인공인 인간성을 강화하며 과도한 관리성을 견제하려는 지속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PDF

Concept mapping을 통한 지역사회 사례관리서비스와 지역사례관리협의체 성과 분석 (Local community case management service and regional case management council performance analysis through concept mapping)

  • 장유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37-44
    • /
    • 2022
  • 본 연구는 지역사회사례관리협의체가 협의체 활동의 정체성과 활동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참여주체들이 기대하고 있는 협의체와 사례관리 서비스 성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컨셉트 맵핑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총 12명의 참여기관의 실무자들이 지역사회사례관리협의체와 사례관리서비스 성과에 대해 브래인스토밍 방식으로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공유하여, 총 42개의 서술문을 생산해 냈다. 유사성에 근거하여 서술문을 분류화하였고, 이를 42×42 유사성 매트릭스로 전환하여 다차원척도법을 실시하였다. 사례관리협의체의 협의체 조직과 사례관리 서비스의 성과를 논의하는 의사결정과정도 합리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컨셉트 맵핑이라는 도구를 활용하였다. 컨셉트 맵핑을 통하여 참여자들이 의사결정과정에서 임파워링되었으며, 그들의 의견이 소외되지 않고, 모두 수용되어 합리적으로 처리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의사결정과정에서 참여자들이 동등한 위치에서 논의되도록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례관리협의체와 사례관리서비스의 성과에 대한 합의도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졌으며 이후 활동에 대한 방향성이 명확하게 설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자활사업에서의 사례관리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The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to the Self-support Program)

  • 홍선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2호
    • /
    • pp.311-326
    • /
    • 2004
  • 본 연구는 자활사업의 개입모델로서 사례관리를 제안하며 그 실천적 적용가능성을 살펴본다. 근로빈곤층을 대상으로 한 자활사업이 궁극적으로 탈빈곤의 효과와 함께 지역사회에서의 자립된 삶을 얻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자리제공을 통한 경제적 자활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사회적 위험요인들에 대한 지지적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활이 갖는 실천적 의미와 사례관리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이에 적절한 사례관리의 유형과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살펴본다. 또한, 자활사업에 필요한 사례관리의 개입방향-상황중심적 사고를 통한 통합적인 사례관리체계의 구성, 역량강화적 접근에 기초한 주체적인 참여와 자율적인 운영, 사회망 개발과 연대적 노력을 통한 포괄적인 사례관리 프로그램으로의 발전-을 제안함으로써 고용과 복지가 통합적으로 고려되는 자활사업의 틀을 구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자활사업대상자와 기관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천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적 차원에 그치던 자활사업에 관한 논의를 서비스제공 차원에서 구체화시킨다는 의의가 있다.

  • PDF

IT Infrastructure Library(ITIL) 서비스관리 시스템 구축과 효과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An Exploratory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IT Infrastructure Library(ITIL) Service Management System)

  • 안준모;함유근;김현명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5권4호
    • /
    • pp.1-20
    • /
    • 2008
  • Increasing number of corporations applies IT service management systems to optimize IT service delivery and support processes. For this reason, implementation experiences and effect of IT service management system are growing concerns for IT managers and researchers. This case study analyzes implementation experiences on an ITIL based service management systems in an medium sized corporation. The exploratory case analysis revealed that systems and service quality were improved from the implement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T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developing a research model of IT service management process.

  • PDF

재가 노인을 위한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 연구 - 팀접근 모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eam Approach In Case Management Service for the Elderly in Puchon : A Pretest-Posttest Study)

  • 정순돌;고미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273-29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하고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재가노인의 욕구충족을 위해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사례관리모델은 팀접근 모델이며, 이는 사례관리팀을 이루어 그 안에서 수퍼비전을 제공하고, 인력활용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수퍼비전은 지역 사회 내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로 조직된 팀에서 제공하고, 서비스는 주요사례관리자와 준전문가로 구성된 활동가팀에서 담당하였다. 준전문가는 1주일에 한 번 노인클라이언트의 가정에 방문하여 노인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주요사례관리자는 상담 제공과 지역사회 자원을 연결하였다. 비동일 통제집단설계를 사용해 6개월간 제공된 팀접근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는데, 사용된 도구는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였다. 실험집단 노인 30명에게 사례관리 서비스를 실시한 결과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사전사후 점수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팀접근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비교집단의 노인 28명은 일상적인 재가복지서비스를 받게 하였으며, 사전사후 점수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팀접근 사례관리 서비스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강유역의 간흡충 감염양성자를 위한 사례관리 적용효과 (The Effects of Case Management for Clients with Clonorchiasis in Riverside Areas)

  • 김춘미;김희걸;전경자;김숙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27-437
    • /
    • 2012
  • Purpose: In order to lower the infection rate and the reinfection rate of Clonorchiasis in high-risk areas, we performed and analyzed a case management on people with chlonorchisi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2010 to March 2011. A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was selected as a case manager based on our training program. The intervention group had 58 participants with three months of case management and the control group had 144 participants handled with traditional methods. Results: the pre and post-test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us improved knowledge of Clonorchiasis,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eating freshwater fish. The results of post-test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except a hand-washing category. However, one year after a case manag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ilure rate of treatment. Conclusion: The case management was effective for people infected with Clornorchiasis near riverside areas; however, in order to lower the rates of reinfection and treatment failu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continuous monitoring and regular eval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