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for the housing vulnerable group living in public low-income housing in Seoul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의 사례관리자 경험

  • 민소영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소영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 Received : 2018.02.01
  • Accepted : 2018.03.22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for residents of low - income housing. The importance of the house for the vulnerable residents with homelessness is absolute, and case management that supports them to live as residents in the community is also very important. Nevertheless, the research so far has focused on the supply of affordable hous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nants, and the health, but there was a lack of interest in case management practic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by listening 10 case managers's experiences through FGI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ase manager's experience is divided into four themes: 'Dilemma of support for the independent housing life after the facilities', 'Role competition between rent management and case management', 'Lonely practice for linkage and cooperation with the mainstream community support system', 'Double employment relationship and poor working environment' respectively.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case management of rental housing.

본 연구는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에서 수행되는 사례관리자의 실천 경험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노숙경험이 있는 주거취약계층에게 집이 가지는 중요성은 절대적이며, 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주민으로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례 관리 역시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이제까지의 연구는 저렴주거 공급, 주거환경, 입주자의 삶의 질과 건강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사례관리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 사례관리자의 FGI를 통하여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자의 경험은 '시설 이후 독립주택생활 지원의 딜레마', '임대료 관리와 사례관리 사이의 역할 경합', '지역 연계와 협력을 향한 외로운 실천', '이중고용관계와 열악한 작업 환경'의 4가지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들의 경험을 토대로 매입임대주택 사례관리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ited by

  1. 지역환경이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 입주자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vol.71, pp.3, 2019, https://doi.org/10.20970/kasw.2019.71.3.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