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8초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Da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도정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73-181
    • /
    • 2019
  • 본 연구는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수도권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무용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는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은 진로준비행동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평가적 지지를 제외한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총점은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진로 준비행동에 매우 긍정적으로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경험의 기회가 주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성미애;최성숙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80-118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students 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investigation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systematic career customized employment support program.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49 students from December 1 to 10 day 2016 in Yeongnam reg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t-test(One-way ANOVA), logistic regression by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epartment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major satisfied with 59.8%. Satisfaction wi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68.30{\pm}10.21$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Satisfaction was also foun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32.65{\pm}6.05$)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p<.05). Satisfactory scores were found to 1.306 times higher than the dissatisfied students i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goal setting. It was found that 8.423 times in satisfaction of career planning in career preparation. Conclusion. Considering the effec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ould be good if we could develop and use various program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ir majors.

영화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Cinema on Self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 on Probation)

  • 정인주;김수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4-172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cinema for the improving self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Methods: The subject were 36 (Experimental. 20, Control. 16) adolescents on probation who were referred to N mental health center in G city South Korea, but 2 of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complete the program. The program consisted of 8 sessions and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08 to February, 2009. The study variables were 'self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urvey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Self identity (t=-2.797, p=.005),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3.354, p=.001) changed more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 after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cinema.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cinema for adolescents on probation was especially effective in increasing self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교육서비스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진로성숙과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eaching self-efficacy and self-service resilient impa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stress)

  • 이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040-7050
    • /
    • 2014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 관계에서 진로성숙도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대학생의 진로성숙도는 5점 척도에서 중간점수인 3점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는 유의미하게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그 자체가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역시 취업스트레스를 낮추어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와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가 단일차원의 직접적 영향력만 다루었던 점과는 차별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 현혜순;김윤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major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307 students among fourth-year university nursing students in A and C cities from May 2017 to July 2017 using the SPSS 24.0 statistics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h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howed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with 52.7% of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This findi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o increas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their maj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diverse efforts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improve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청소년의 참여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th Participation Behavior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조성희;김웅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605-613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참여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J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 1,07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경로분석 방법을 통해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접적인 영향력과 참여행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과 참여행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시켜 주었으며, 특히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의 참여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융복합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 주관적 규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관계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Work Value, Subject Nor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in Agricultural Science Fields)

  • 박혜진;유병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4권3호
    • /
    • pp.211-22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griculture on the career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 by measuring the job value and the subjective norm of agriculture.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ubjective norm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career adaptability of agriculture major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belief that one can plan and practice career goals and the affirmation of career plans and decisions in the vicinity are important factors in career adaptability. Second, Self-Realization and social recogni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griculture. In other words, it can be judged that social recognition such as honor and honor of others in a career choi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ich is self-esteem in career selection. Lastly, An important variable for the subjective norms of agricultural college students was social recognition. This can be said that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people is very important as the value of social recognition is more important.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areer-interrupted Wome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 on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Lee, Sook-J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09-117
    • /
    • 2019
  •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진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여성취업지원기관에서 직업훈련에 참여하고 있거나 구직등록을 한 경력단절여성 22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들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설정과 직업정보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들을 대상으로 진로지도 시 기술적인 측면보다 심리적 측면을 더 중요하게 다루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과 유형별 특성 (Career decision profiles and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 정영미;정연이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0-169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areer decision profiles for nursing students and analyze their career barriers, preparation behaviors,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according to the career decision profile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content analysis. A total of 219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two private Korean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in person and via email between December 8 and 31, 2020. Results: The decidedness and comfort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undecided-uncomfortable, decided-uncomfortable, decided-comfortable, and undecided-comfortable. Most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decided-uncomfortable, followed by decided-comfortable, undecided-uncomfortable, and undecided-comfortable. The self efficacy scores were higher for the decision-comfortable profile than for the undecided-uncomfortable and decided-uncomfortable profiles. The mean adaptability scores were higher for the decision-comfortable profile than for the undecided-comfortable profile. Career barrie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paration behavio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while preparative behavi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aptability. The mean career barriers, preparation behaviors,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scores differed significantly across profiles. The mean career barrier score was higher for the undecided-uncomfortable than for the decided-comfortable profile; preparation behavior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Tailored career coaching and counseling programs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reas of interest are needed for freshmen and senior nursing students to reduce career barriers and to improve preparation behaviors,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대학생의 내·외적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f Relations among Inner and Outer Career Barrier,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Decision Status for College Student)

  • 고미나;박재황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259-27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내 외적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를 매개하여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충청지역, 전라지역, 경상지역별로 각각 4년제 대학을 선발하여 총 787명의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연구도구는 외적 진로장벽, 내적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AMOS 18.0, LISREL 8.53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로결정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던 내 외적 진로장벽은 내적 진로장벽만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를 매개하여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포부에 정적인 영향, 진로포부는 진로결정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적 진로장벽을 지각할수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낮아지고, 더불어 진로포부가 낮아진 상태에서 진로결정수준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