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decision attitude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7초

대학생의 직업희망과 진로태도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Relations among Work Hop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Korean College Students)

  • 김현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497-50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직업희망과 진로태도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영남, 호남, 강원, 충청권에 소재한 8개 대학교에서 수집된 299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업희망과 진로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각 하위요인 간에는 r=.64~.73의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성별, 학년, 전공계열 따른 직업희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공계열별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희망은 경로사고였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는 경로사고, 주도사고, 목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직업희망 척도를 활용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nd career maturity amongst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 김영희;김경은;최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23-123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의식성숙정도를 파악하고,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에서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진로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23명이다.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서 합리적 의사결정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직관적 의사결정, 의존적 의사결정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식성숙에서 스스로 진로를 정하는 진로독립성, 진로관여성은 높은데 비해 직업선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진로타협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에서는 2, 3학년에 비해 1, 4학년이 진로결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에서도 상류층은 하류층에 비해 진로결정성이 높았으나 진로독립성은 낮았다.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에서는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집단이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집단에 비해 진로독립성이 높고 직업 선택의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의 차이를 보여 진로지도에서 의사결정유형의 중요성을 인식시켰으며, 더불어 대학교 취업교육현장에서 진로의식성숙을 함양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Study on Nursing College Students' Subjectivity in Their Attitude Toward Jobs

  • Kim Yoon Soak;Kim Boon Han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80-685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ategorize nursing students' subjectivity in their attitude toward their jobs, and thereby understand the differences among these attitude types. Methods. The study used a Q-method to measure nursing students' attitude toward jobs identity types. In-depth and objective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 formed Q sample. The P sample consisted of 25 nursing student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nursing student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ir attitudes toward their jobs. The firs type, 'interest-oriented' students, strongly disagree to the follow-ing: giving priority to job over marriage, standing unfair treatment in the workplace, the importance of pro-motion opportunity, irresponsibility, and uncertainty. The 'reward-oriented' students, on the other hand, strongly disagree to the following: indifference to career prospects, employment-related relocation of residence, irresponsibility, standing difficulties, and compromises with others. The third type of nursing students is the possession-oriented students, who strongly disapprove of irresponsibility, refusal to compromise with reality, standing unfair job allocation or promotion and career uncertainty. Conclusions. The study on nursing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their jobs is meaningful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study clarifies nursing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ir job by categorizing it. Second, the study confirms the changing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toward jobs with the change of times and calls for proper educational programs to foster healthy career attitudes. Third, proper decision-making as regards jobs and job allocation for nurses, or their career attitudes, is beneficial to individuals, the medical industry, and society.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 예측모형 탐색 (Exploring The Career Attitude Prediction Model Of Multicultural Youth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 오정아;이영주;김평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99-105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태도 주요 변인을 예측하고 다문화청소년의 진로발달을 위한 정책 마련의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구축한 다문화청소년패널을 활용하였고, SPSS 23.0 프로그램의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 예측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 예측요인을 살펴본 결과, 여학생의 경우 삶의 만족이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자아존중감, 어머니 진로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은 자아존중감이 진로태도의 주요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발달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담았다.

비주얼 씽킹과 SNS를 활용한 진로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eer Education through Visual Thinking and Social Network Service)

  • 송기정;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75-284
    • /
    • 2018
  • 본 연구는 비주얼 씽킹과 SNS를 활용한 진로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진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부모들의 자녀의 진로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며,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인 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는 진로교육을 통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알맞은 진로를 탐색하도록 하였다. 비교 연구 결과 실험반이 '진로에 대한 의견 및 태도', '정보탐색 및 합리적인 의사결정', '직업에 대한 지식' 전 영역에서 비교반에 비해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연구 결과 비주얼 씽킹과 SNS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학생들의 진로 인식을 고취하고 진로 탐색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복무 후 제대한 복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on College Adaptation after Military Service)

  • 김현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513-52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군복무 후 제대한 복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북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군복무 후에 복학한 남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과 자아탄력성의 낙관적태도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의 사회적응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과 자아탄력성의 낙관적태도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의 개인-정서적응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자기평가와 자아탄력성의 자신감 간에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보다 대학생활적응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복무 후 복학한 남학생만의 자료 수집을 통해 밝힌 본 연구의 의의와 더불어서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약대생의 약료에 대한 인식과 실무실습-진로선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Pharmacy Students' Attitudes Toward Pharmaceutical Care and Career Choices Following Interdisciplinary Inpatient Clerkships)

  • 신수영;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0-89
    • /
    • 2014
  • The study objectives were to investigate the attitude of Ajou University pharmacy students toward pharmaceutical care and to identify their perceived barriers to its provision. Secondarily, their career choices and influential factors for career decision were assessed. Method: A cross-sectional survey of Ajou University pharmacy students in all professional years was conducted in May 2014. Results: Over 2 weeks, a total of 12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100% response rate). All respondents agreed that pharmaceutical care is the right direction for the provision to be headed and that pharmaceutical care will improve patient health. However, professional year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positive attitude toward pharmaceutical care. Highly perceived barriers to pharmaceutical care included poor image of pharmacist's role in society (67%) and lack of access to the patient medical record in the pharmacy (65%). Work environment, benefits, and salary were top three influential factors for career plans, and $6^{th}$ year students considered salary most important. Patient-oriented practices (hospital and community pharmacy) were the most preferred career choices among $6^{th}$ year students. Conclusion: Pharmacy clerkships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choices of those students. Efforts should be exerted to improve pharmacy clerkships and to promote pharmaceutical care.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이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n Career Maturity in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597-61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of influence of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n career maturity in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Research subjects and region were sophomore students of each one of Meister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Gwangju region. The sample(N=481) was drawn from 2 high school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using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Levene's test. Items of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were used test items developed in 2012. Career maturity test in Careernet site was used test items developed in 2001 which was made up 3 domains such as attitude, ability and action and 8 sub-regions such as planning, attitude on the vocation, independence, self-understanding, rational decision-making, explore of information, knowledge of hope vo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of action, and constituted 64 it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ndings of the analysi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emonstrated the positive results of rational decision-making and explore of information in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Comparing career maturity influence on Meister high school with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bout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score were more high grade tha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grade.

기술$\cdot$가정 9학년"진로의 선택과직업윤리"단원에서 학생활동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 Activity Centered Career Explor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Level in the Unit "The Choice of Career and Job Morals" of the 9th Grade Technology and Borne Economics)

  • 이영미;김행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9-2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9학년 기술 $\cdot$ 가정 교과서에 있는 $\ulcorner$진로 탐색과 직업윤리$\lrcorner$ 단원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하여 학생활동 중심의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그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그 프로그램의 내용은 진로탐색 시기에 있는 중학생들이 스스로 뚜렷한 삶의 목표를 정하고,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진로 탐색 과정을 거친 후에 비로소 진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소재의 중학교 3학년 4개 학급 13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천학급 2학급과 통제학급 2학급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절차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14회의 진로탐색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기술 가정 9학년 교과서의$\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 단원에 적용한 학생활동 중심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태도 영역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지를 사후 검사하고 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이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요인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단원에 적용한 학생활동 중심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능력 영역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사후 검사를 하고 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역시 실험집단이 직업에 대한 지식. 정보탐색, 자기이해 요인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단원에 적용한 학생 활동 중심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 태도영역의 독립성과 능력영역의 의사결정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진로탐색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 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본다. 다만 진로탐색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 검사의 독립 표본 t-검정 결과 독립성 요인과 의사결정 요인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적었다. 따라서 본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단원에 적용할 때, 자기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하는 독립성 요인과 의사결정 요인의 활동을 좀 더 보강하여 실시할 것을 권한다.

  • PDF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웹기반 진로안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Career Guidance System Applied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 민항기;이재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49-358
    • /
    • 2007
  • 본 연구는 개인의 일생에서 중요한 의사결정의 하나인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한 웹기반 진로안내 시스템을 개발 하는 것이다.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직업선택에 필요한 초보적인 지식, 일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와 가치관의 형성이 목적이므로 개인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한 다양한 직업의 종류에 대한 안내가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검사결과를 알려주는 수준에 머물려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잠정적 진로선택 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적합한 진로발달검사를 실시하고, 결과에 맞는 직업의 종류를 안내하는 웹기반 진로안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진로안내시스템은 검사결과를 알려주는 것에서 발전하여 검사결과 값을 우수지능 3개로 제시하여 검사자의 학습욕구를 자극하였다. 그리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우수한 지능영역을 알고 이 지능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와 하는 일에 대해 효율적으로 학습하고, 자신의 진로에 대한 인식과 진로선택의 바른 자세를 배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