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choice factor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3초

제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가정과학’과목 선택 결정 요인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High School Students’ Choice of ’ The Science of Home-Economics’ Cour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최정화;장윤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7-170
    • /
    • 2000
  •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High School Students’Choice of ’The Science of Home-Economics’Cour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kind of factors make high school students decide to select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s one of the course among various in-depth elective courses in high school curriculum.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y administering a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to 463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ttend in a college-bound high school in Taegu.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hoice group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nd non-choice group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in learning motivation to 5 units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student’s perception of the traditional role and progressiv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mpress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mother’s academic career,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and mother’s request for selection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s an elective course. 2)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d students’selection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relatively were, in descending order, student’s perception of the progressiv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mpress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coeducational school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o the ‘food’unit. student’s attitude for sex-role,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and mother’s request for selection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s an elective course.

  • PDF

전공선택동기와 학업성취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jor Choice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Maturity)

  • 문은조;오지원;김용석;박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61-168
    • /
    • 2023
  • 이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개인적 동기, 사회적 동기),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C도 소재 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전공선택 개인적동기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는 전공선택 개인적동기(r=.417, p=.0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전공선택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은 전공선택 개인적 동기, 경제활동, 전공계열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24%이었다. 따라서 전공과 관련있는 분야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대학차원의 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보여지며 전공선택시 개인적동기가 중요한 만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체험이나 미래 직장체험등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여 전공선택시 개인적 동기를 높이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에서 나타난 부각요인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Procedures of Becoming a Scientist)

  • 장경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31-1142
    • /
    • 2004
  •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에서 드러난 부각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에서 면담자의 83%는 자신의 적성이나 능력을 파악하는 능력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과학자들은 진로선택과정에서 자신의 흥미와 관심을 중요시하였으며 동시에 왜 흥미를 느끼는지에 대한 이유를 명확히 진술하였다. 학교 성적은 87%의 과학자가 초 중 고등학교 전체 성적이 상위 10%이내에 들었다. 가정환경에서는 부모의 영향이 가장 부각되었는데, 특히 진로에 대해 조언을 한 아버지의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학교환경에서 가장 부각된 요인은 교사였다. 특히 과학교사의 수업과 대학 교수의 영향이 중요하게 언급되었다. 고등학교 3학년에 진로를 결정한 경우는 고등학교 과학 교사의 영향이, 대학교 1학년 이후에 진로를 결정한 경우는 대학교 교수의 영향이 부각되었다. 사회문화적 환경에서는 미래 직업 기회와 관련된 사회적인 전망이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연령이 젊을수록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하는 능력과 사회적인 전망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물리학자들은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하는 능력이, 화학자들은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하는 능력과 사회적인 전망이, 생물학자들은 사회문화적 환경의 다양한 요인들이, 공학자는 아버지의 조언과 사회적인 전망이 부각되었다. 그리고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 제도적으로 진로를 결정해야하는 고등학교 3학년과 대학교 1학년말에 진로를 결정하였다. 결론적으로 과학자들은 현재의 진로를 선택하면서 자신의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였다. 내부적 요인으로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중요하게 고려하도록 한 것에는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와 대학교수의 역할이 관련되었으며, 외부적 요인인 사회적인 전망은 아버지가 진로에 대해 조언한 것과 관련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수한 과학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할 기회, 과학자와 과학적 연구 활동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인 인식과 전망의 제시, 우수한 능력을 지닌 교사와 교수의 확보,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등이 이뤄질 수 있는 과학교육적 환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nfluence of the perceived educational environment on future career planning among nursing students in Egypt

  • El-Bahnasawy, Hanan T.;Al Hadid, Lourance;Fayed, Neanaa M.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86-94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ttitudes and knowledge regarding career planning after graduation, as well as the perceived educational environment of a pediatric clinical course, among nursing students at Menoufia University in Egypt.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educational environment on future career planning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used, with a 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that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ection that measured students' attitudes and knowledge toward their career planning, and the Dundee Ready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Scale (DREEM). Results: The mean total score for the DREEM scale was 109.61, and most students perceived many areas within the program as more positive than negative. However, they had low levels of knowledge regarding career planning.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r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stimulate students' interest in pediatric nursing, to integrate theoretical content with practice, and to improve their planning activities early during their study. It is important to engage students in discussions concerning their ideas and worries about factors they perceive as less enhancing and more threatening in clinical settings.

부모의 성취압력 및 진로지도가 아동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 최보윤;공윤정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67-78
    • /
    • 2009
  • 본 연구는 진로인식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 5학년 59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성취 압력 및 진로지도가 아동의 진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 과정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가 진로발달에 어떠한 설명력을 갖는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 진로지도와 아동의 진로발달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발달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발달의 하위 영역인 직업의 이해, 자기이해, 자율성과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진로지도와 아동의 진로발달역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모의 진로지도 하위 영역 중 정서적 지지를 제외한 영역들은 진로발 달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직업선택의 합리성, 직업적 성 편견, 자긍심에는 의미 있는 설명력을 보이지 못했지만, 진로발달 총점, 진로지향성, 직업의 이해, 자기이해, 자율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부모의 진로지도는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에 부모의 성취압력과 더불어 추가적인 설명력을 보였다. 하지만 진로지도의 하위 영역인 정서적 지지는 진로발달에 부적 상관을 보였다.

  • PDF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이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ployment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Career Decision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778-2788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이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시에 소재한 대학생 4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에 대하여 첫째,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 진로결정효능감은 성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 진로결정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 진로결정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은 진로결정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진로탐색과 진로선택에 있어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보여주며, 진로와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데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지도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이버대학 미용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인식 요인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Factors Affect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osmetology Education of a Cyber University)

  • 김민경;김귀정;리순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493-504
    • /
    • 2017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미용 교육 경험자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미용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미용 교육 인식 하위요인을 도출 및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용 교육 인식 요인으로 교육환경, 운영시스템, 수업내용, 수업관리 4개 예측 변인과 교육만족도 1개 요인을 도출하여 분석 도구로 이용하였다. 헤어 전공은 자격증 시험으로, 피부 전공은 이론 및 실기를 교육목적으로 하였고 경력별 관심 강좌에서 경력이 적을수록 헤어 강좌에, 많을수록 피부 강좌에 관심이 더 많았다(p<0.01). 교육 인식 4개 요인과 교육만족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었고(p<0.01) 그 중 수업 내용과 수업 관리가 교육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결과가 나타나 수업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미용 교육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산업협력활동, 진로 분석, 미용 수업, 학교가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미용교육에서 수업 중요성, 수업 어려움, 소통 어려움 등이 본 연구에서 확인되었고 향후 경력별, 단계별 교육 과정 개발, 소통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패션 전공 대학생의 취업정보 탐색과 취업관련 불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ocational Information Search and Vocational Choice Anxiety of Senior Fashion Students)

  • 최은영
    • 복식
    • /
    • 제61권8호
    • /
    • pp.127-14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regarding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ing system of senior fashion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contents of required vocational information and vocational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senior fashion students. And this study also intended to analyse vocational choice anxiety factors and its relationship with level of vocational information requir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261 senior fashion students at eleven universities in the n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dimensions of required vocational information of fashion students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judgement of eligibility to apply for the job & company, information of work environment, information of fashion company that has the potential to hire them, information of level of compensation, stability of employment and promotion, and information of kind of job & job roles in the fashion field. Second, the senior fashion students faced few obstacles obtaining vocational information such as insufficient online vocational information, difficulties in discovering the sources of vocational information and time restriction for job search & career indecision. Third, the fashion students perceived diverse anxieties about making vocational choices. The survey identified five categories of the anxieties; anxiety about adapting to new job environment & recruiting process of the fashion company, anxiety about too heavy workload, anxiety about stability of employment & level of compensation, anxiety about lack confidence of their ability to do the job and anxiety about ability in English & the qualification for application. An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choice anxiety and requirement level of vocational information. This result proved providing vocational information relieves anxiety about getting a job.

해사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 팀워크, 자기리더십이 진로계획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학년별 비교를 중심으로 - (Effects of Self-Efficacy, Teamwork, and Self-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s Mediated by Career Planning: by Year of College of Maritime Sciences)

  • 이창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54-762
    • /
    • 2021
  • 해사대학 학생들은 실무를 파악할 수 있는 1년간의 승선실습을 통해 향후 자신이 근무하게 될 직종에 대한 이해도 향상 및 장기승선을 기대할 수 있다. 해사대학 재학의 만족도는 졸업 후 해운업 종사에 대한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각 학년별 직무만족도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진로선택에 필요한 교육과정이나 요소를 분석하고 개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진로계획을 통해 해사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 팀워크, 자기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학년별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학생들이 매년 필요로 하는 요소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기효능감이였고, 팀워크와 자기리더십의 효과는 규모면에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학생진로구성검사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tudent Career Construct Inventory(K-SCCI))

  • 박지연;조경덕;심호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91-40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Savickas 등(2018)이 개발한 학생진로구성검사(Student Career Construct Inventory, SCCI)를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학생진로구성검사(K-SCCI)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5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항의 내용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준거타당도 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문항의 내용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K-SCCI는 4요인 모형과 18문항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요인은 직업적 자기개념 구체화, 직업탐색행동, 진로결정, 직업훈련으로 명명하였다. 4요인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관련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생진로구성은 취업불안과는 부적상관을 진로적응력과는 정적상관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