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illary electrophoresis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3초

Forensic STR Analysis of Mixed Chimerism after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 Eom, Yong-B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196
    • /
    • 2010
  • Multiplex PCR-based short tandem repeat (STR) analysis is considered as a good tool for monitoring bone marrow engraftment after sex-mismatched allogeneic transplantation and provides a sensitive and accurate assessment of the contribution of both donor and/or recipient cells in post-transplantation specimens. Forensic STR analysis and quantitative real time PCR are use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donor versus recipient each contained within the total DNA. The STR markers were co-amplified in a single reaction by using commercial $PowerPlex^{(R)}$ 16 system and $AmpFISTR^{(R)}$ $Identifiler^{(R)}$ / $Yfiler^{(R)}$ PCR amplification kits. Separation of the PCR products and fluorescence detection were performed by ABI $PRIS^{(R)}$ 3100 Genetic Analyzer with capillary electrophoresis. The $GeneMapper^{TM}$ ID software were used for size calling and analysis of STR profiles. Extracted DNA was quantified by the $Quantifiler^{TM}$ Human DNA / Y Human Male DNA Quantification Kit The intent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atio of donor versus recipient cells in the post-transplant peripheral blood, spleen, lung and kidney specimens. Specimens were taken from the traffic accident male victim who had been engrafted from bone marrow female donor. Blood and spleen specimens displayed female donor DNA profile. Kidney specimen showed male recipient DNA profile. Interestingly, lung tissue showed mixed profi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forensic STR analysis using fluorescence labeling PCR combined with capillary electrophoresis is quick and reliable enough to assess the ratio of donor versus recipient cells and to monitor the mixed chimeric patterns.

LOC 형광검출 소자를 위한 광 다이오드의 제작 및 특성 평가 (Development of Photo-diode for LOC fluorescence detector)

  • 김주환;신경식;김용국;김상식;주병권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디스플레이 광소자분야
    • /
    • pp.100-103
    • /
    • 2003
  • Signal detection technologies such as fluorescence, charge and electrochemical detection used in the monolithic 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to convert the biochemical reaction into the electrical signal. The fluorescence detection using photodiodes that measure fluorescence emitted from eluting molecules is widely used for the monolithic 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In this paper, in order to fabricate a photosensor has the increased sensitivity, we investigated on the sensitivity of general type and p-i-n type diode. The p-i-n diode has higher sensitivity than photodiode. Considering these results, we fabricated p-i-n diodes on the high resistive$(4k{\Omega}{\cdot}cm)$ wafer into rectangle and finger pattern and compared internal resistance of each pattern. The internal resistance of p-i-n diode can be decreased by the application of finger pattern has parallel resistance structure from $571{\Omega}$ to $393{\Omega}$.

  • PDF

Determination of Stability Constants of the Inclusion Complexes of ${\beta}$-Blockers in Heptakis (2,3-Dimethyl-6-Sulfato)- ${\beta}$-Cyclodextrin

  • Phuong, Nuyen Thi;Lee, Kyung-Ah;Kim, Kyung-Ho;Choi, Jung-Kap;Kim, Jong-Moon;Kang , Jong-Se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12호
    • /
    • pp.1290-1294
    • /
    • 2004
  • The ${\beta}$-blockers possess at least one chiral center and the S(-)-enantiomer shows higher affinity for binding to the ${\beta}$-adrenergic receptors than antipode. The stability constants of acebutolol, celiprolol, propranolol and terbutaline in the inclusion complexes with single-isomer heptakis (2,3-dimethyl-6-sulfato)- ${\beta}$-cyclodextrin (HDMS-${\beta}$-CD) were determined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The approximation and linear double reciprocal methods were adapted with comparable results. Among the ${\beta}$-blockers studied, propranolol had the lowest stability constant but the highest enantioselectivity, indicating that the magnitudes of the stability constants carried little information about enantioseparation. The magnitudes of enantioselectivities between the enantiomer pair were in the order of propranolol > celiprolol > terbutaline > acebutolol.

모세관 전기영동 분석에서 계면 동전기 주입에 미치는 공존 이온의 영향 (Effect of Coexisting Ions on Electrokinetic Injection in Capillary Electrophoresis Analysis)

  • 이광우;전지영;이광필
    • 분석과학
    • /
    • 제9권1호
    • /
    • pp.35-42
    • /
    • 1996
  • 원자력 발전소의 배관 부식 등의 방지를 위하여 초순수에 첨가되는 고순도 시약 중의 미량 음이온 성분올 모세관 전기영동법에 의하여 정량하는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전해질은 5mM 크롬산염(pH=8.0)을, 캐필러리는 내경이 50 또는 $75{\mu}m$인 석영 캐필러리 내부를 염화 삼메틸 실란으로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기타 기기 조건은 전압 20kV, 검출은 254nm에서 간접 자외흡수법을 사용하였고 주요 정량 성분은 $Cl^-$, $NO{_3}^-$, $SO{_4}^{2-}$, $N{_3}^-$, $PO{_4}^{3-}$등이며, 시료 주입은 시료 농도가 1ppm 이상일 때는 유체역학적 주입법으로, 1ppm 이하는 계면 동전기 주입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시료 주입시 공존 이온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유체역학적으로 시료를 주입할 때는 시료 내 공존하는 음이온의 영향이 크게 없었으나, 계면 동전기적인 시료 주입시에는 공존하는 이온량과 전기영동적 이동도에 따라 분석 이온의 신호 크기가 크게 변함을 확인하였으며, 각 분석 성분 주입량, 즉 신호 크기는 시료 용액의 저항에 비례하였다. 따라서, 분석 이온보다 과량의 공존 이온 존재하에 계면 동전기 주입법으로 분석할 경우 시료 용액과 표준 용액의 전기 전도도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표준물 첨가법 또는 내부 표준물법 등의 적절한 방법을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 PDF

모세관 전기영동법을 이용한 1,2,4-트리메틸벤젠 대사체의 분석 (Analysis of the Metabolites of 1,2,4-Trimethylbenzene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 강종성;홍정희;임정미;이용문;장재연
    • 분석과학
    • /
    • 제12권4호
    • /
    • pp.326-331
    • /
    • 1999
  • 방향족 탄화수소인 trimethylbenzene (TMB)은 그 사용량이 늘어갈 뿐 아니라 직업적으로 폭로되는 양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생물학적 모니터링 및 흡수, 대사, 배설에 관한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TMB는 간의 산화효소에 의해 하나의 메틸기가 산화되고 이것이 glycine과 포합되어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1,2,4-TMB의 대사체를 합성하고, 모세관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모세관 전기영동법으로 흰쥐의 뇨 중에서 1,2,4-TMB의 대사체인 3,4-, 2,4-, 2,5-dimethylbenzoic acid 및 3,4-, 2,4-, 2,5-dimethylhippuric acid를 분석하기 위하여 내경 $75{\mu}m$, 총길이 36cm (검출기까지 29cm)인 용융실리카 모세관을 $15^{\circ}C$로 유지하면서 양단에 10㎸의 전압을 걸어주고, 전해질로는 15mM ${\beta}-CD$, 3% 2-프로판올을 포함하는 0.1M 인산완충액 (pH 7)을 사용하였으며, 검출신호는 UV 210nm와 254nm에서 동시에 모니터링하였다. 뇨 시료의 분석 결과 배설된 1,2,4-TMB의 대사체의 상대량은 3,4-이성질체가 56.7%, 2,4-이성질체가 30.5%, 2,5-이성질체가 12.8%였다. 이 방법은 노동자의 뇨 분석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모세관 전기 영동을 이용한 퀴놀린계 항생제의 광학 이성질체 분석 (Chiral Separation of Quinolone Antibacterial Agent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 강대천;조승일;정두수;최규성;김용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412-429
    • /
    • 2002
  • (+)(18crown6)-tetracarboxylic acid ($18C6H_4$)를 퀴놀린계 항생제인 gemifloxacin을 모세관 전기영동법으로 키랄 분리하였다. Body fluid에서 퀴놀린계 항생제인 gemifloxacin의 직접적인 분석은 빠른 분석 시간, 다성분 분석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Body fluid내의 높은 농도의 나트륨 이온은 $18C6H_4$와 강한 전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gemifoxacin과 $18C6H_4$의 상호작용을 방해한다. 키랄 선택제와 나트륨 이온 사이의 상호 작용을 줄이기 위해 완충 용액에 킬레이트 리간드 EDTA를 첨가하였다. 시료 용액에 150mM의 나트륨 이온이 존재 할 때에도 분리 효율의 향상과 이동 시간의 감소를 관찰 할 수 이었다.

Enantioselective electrophoretic behavior of lipoic acid in single and dual cyclodextrin systems

  • Le, Thi-Anh-Tuyet;Nguyen, Bao-Tan;Phan, Thanh Dung;Kang, Jong-Seong;Kim, Kyeong Ho
    • 분석과학
    • /
    • 제34권4호
    • /
    • pp.143-152
    • /
    • 2021
  • Capillary electrophoresis (CE) is an effective technique to study chiral recognition because it offers flexibility in adjusting vital factors. Currently, various available cyclodextrins (CDs) can be employed for the chiral separation of numerous analytes. Herein, we investigate the enantioseparation behavior of lipoic acid enantiomers in various types of single and dual CD systems through CE. Additionally, several impacted CE parameters were optimized through the systematic investigation based on the design of experiment (DoE) concept for a single system comprising a heptakis (2,3,6-tri-O-methyl)-β-CD and a dual system cont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single CD with a sulfated-β-CD. Consequently, absolute enantioresolution was obtained within 15 min on a common standard bare fused-silica capillary (64.5/56 cm in total/effective length, 50/365 ㎛ inner/outer diameter), maintained at 15 ℃ and at an applied voltage of 24 kV. The optimal background electrolyte consisted of 6 mM heptakis (2,3,6-tri-O-methyl)-β-CD dissolved in the solution of 58 mM borate buffer at pH 10. Furthermore, the results of apparent binding constant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S-enantiomer-heptakis (2,3,6-tri-O-methyl)-β-CD complex exhibited a stronger affinity than its R-enantiomer counterpart. The obtained electrophoretic mobility values could be utilized to interpret the resolution achieved at various CD concentrations and the mobility behavior of the complexes elucidated the migration order of the enantiomers in an electropherogram.

Capillary electrophoresis 및 근적외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한 황기의 원산지 판별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Astragalus Root (Astragalus membranaceus)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Near-Infrared Spectroscopy)

  • 김은영;김정현;이남윤;김수정;류미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18-824
    • /
    • 2003
  • 외국농산물의 국내 유입증가와 이에 따른 신속한 원산지 판별법 확립이 요구되는 가운데 최근 수입이 급증한 품목 중 하나인 황기를 선택, CE 및 NIRS를 이용하여 분석조건을 확립하고 원산지판별에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CE를 이용하여 분석 시 추출은 methanol: 0.1M phosphate buffer(pH 2.5)(3:7)를 사용하였으며 uncoated fused silica capillary$(50\;{\mu}m\;I.D.{\times}27cm)$를 이용하여 $45^{\circ}C$, 14 kV로 분석, 200 nm에서 검출하였다. 분석 buffer는 0.1 M phosphate buffer(pH 2.5)에 20% methoxy ethanol과 40 mM HSA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8초간 pressure injection 하였다. Peak의 재현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시료 주입 전 분석 buffer를 1분간 분석 시와 같은 방향으로(F) 흘려주고 0.1 M phosphoric acid와 1 M sodium hydroxide는 각각 4분, 5분간 반대방향으로(R) 홀려주었다. 증류수를 다시 1분간 흘려주고(R) 분석 buffer로 2분간 평형화(F) 시킨 후 시료를 주입하였다. 이상의 조건으로 국내산(97점)과 수입(113점) 황기를 분석한 결과 전체 peak의 양상은 유사하였으나 약 $11{\sim}13$분에 용출되는 2개의 peak(peak am-1, am-2)의 면적 비율에서 차이가 나타나 국산은 peak am-2가 peak am-1의 약 4배인 반면, 수입 산은 10배로 나타나 원산지 판별이 가능하였으며, 약 80%의 편별율을 나타내었다. NIRS는 국산 및 수입산 황기 raw 스펙트럼의 2차 미분 스펙트럼 R값이 0.915로 비교적 안정된 값을 얻을 수 있었고, SEP는 약 14.3%로 나타났다. 이를 국산과 수입산 황기에 적용 시 전체 판별율이 약 97%로 비교적 높은 판별율을 보였다. 또한 NIRS로 판별이 불가능한 시료가 CE로는 판별이 가능하여 이 두 기기를 함께 사용 시 상호보완하여 신속 정확한 원산지 판별법의 개발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Fast Microchip Electrophoresis Using Field Strength Gradients fo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dentification of Cattle Breeds

  • Oh, Doo-Ri;Cheong, Il-Cheong;Lee, Hee-Gu;Eo, Seong-Kug;Kang, Seong-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7호
    • /
    • pp.1902-1906
    • /
    • 2010
  • A microchip electrophoresis (ME) method was developed using a programmed field strength gradients (PFSG) for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based fast identification of cattle breeds. Four different Korean cattle (Hanwoo) and Holstein SNP markers amplified by allele-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were separated in a glass microchip filled with 0.5% poly(ethyleneoxide) ($M_r$ = 8 000 000) by PFSG as follows: 750 V/cm for 0 - 14 s, 166.7 V/cm for 14 - 31 s, 83.3 V/cm for 31 - 46 s, and 750 V/cm for 46 - 100 s. The cattle breeds were clearly distinguished within 45 s. The ME-PFSG method was 7 times and 5 times faster than the constant electric field ME method and the capillary electrophoresis- PFSG method, respectively, with a high resolving power ($R_s$ = 5.05 - 9.98). The proposed methodology could be a powerful tool for the fast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NP markers for various cattle breeds with high accuracy.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카테킨, (-)-에피카테킨의 모세관 전기영동법에 의한 분석 (Capillary Electrophoret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atechin, (-)-Epicatechin in Grape Seed Ethanol Extract)

  • 최원균;정양섭;정하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13-518
    • /
    • 2005
  • 포도종실추출물에 함유되어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인 proanthocyanin의 구성 성분이면서 에피머인 (+)-catechin과 (-)-epicatechin을 CE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E법을 이용한 catechin류 분석의 최적 조건은 fused silica capillary$(20cm{\times}50{\mu}m)$, current $56{\mu}A$, voltage 10 kV, phosphate/borate buffer(pH 6.0), 온도 $20^{\circ}C$로서 (+)-catechin과 (-)-epicatechin을 6분 이내에 매트릭스의 방해없이 분석할 수 있었다. 비색법, HPLC법과 CE분석법의 특징을 비교해 보면 비색법은 (+)-catechin과 (-)-epicatechin합한 총 함량은 알 수 있으나 두성분의 분리는 할 수 없었다. 또한 HPLC방법은 표준품은 두 성분이 잘 분리되었으나 시료 분석 시 proanthocyanin을 가수분해하기 위해 첨가한 산으로 인해 시료가 강산성을 띠어 컬럼 손상되는 문제가 있어 직접 분석이 불가능하여 시료를 희석해야 했으며, 희석을 하여 분석할 경우에도 많은 잡 피크들로 정량적인 결과를 얻기에 용이하지 않았다. 한편 CE법의 경우 산 가수분해한 시료를 별다른 처리 없이도 다른 성분의 방해 없이 분석할 수 있었다. 분석소요시간의 경우 비색법은 실험단계가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걸렸으며 HPLC는 15분 그리고 CE는 6분 이내에 분석이 가능하였다. 재현성과 직선성을 보면 HPLC와 CE의 방법이 모두 양호하였고 검출한계에 있어서는 CE법이 0.035mg/L로서 검출감도가 매우 우수하였다. 이와 같이 CE법은 포도종실에 존재하는 (+)-catechin과 (-)-epicatechln을 분석하는데 방법의 용이성, 분석결과의 정확성에 있어서 기존 방법인 비색법과 HPLC 방법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