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ellia sinensis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3초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ies of Partially Purified Substance(s) from Green Tea Seed

  • Choi, Jae-Hoon;Nam, Jung-Oak;Kim, Ji-Yeon;Kim, Jin-Man;Paik, Hyun-Dong;Kim, Chang-H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672-676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ie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partially purified substance(s) from green tea seed (Camellia sinensis L.).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ach fraction (non-adsorption fraction: F-1, fraction eluted with 40% methanol: F-2, and fraction eluted with 100% methanol: F-3) purified by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were, in the increasing order: F-1 (3.7 mg tannic acid equivalents, TAB/g) < F-3 (23.2 mg TAB/g) < seed extracts (26.2 mg TAB/g) < F-2 (42.7 mg TAB/g). The scavenging activities toward the 1,1-diphenyl-2-picyrylhydrazyl (DPPH) radical were, in decreasing order: F-2 (93.3%) >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89.8%) > ascorbic acid (89.3%) > leaf extracts (70.3%) > F-3 (15.9%) > seed extracts (15.8%) > F-1 (14.8%) at a 0.1% concentration. In studies on antimicrobial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owth of yeast (Candida albicans KCCM 11282 and Cryptococcus neoformans KCCM 50544) was inhibited more so than that of other fungi (Alternaria alternate KCTC 6005 and Rhizoctonia solani). In addition, it appears that the antitumor activities of the F-1, F-2, and F-3 fractions at a concentration of $50\;{\mu}g/mL$ showed 6, 7, and 23% growth inhibition of the HEC-1B cell line, 14, 11, 82% inhibition of the HEP-2 cell line, and 8, 16, and 81% inhibition of the SK-OV-3 cell line, respectively.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is greatest in the F-2 fraction, and the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ies are greatest in the F-3 fraction.

Diversity Analysis of Diazotrophic Bacteria Associated with the Roots of Tea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 Arvind, Gulati;Sood, Swati;Rahi, Praveen;Thakur, Rishu;Chauhan, Sunita;Nee Chadha, Isha Chawl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6호
    • /
    • pp.545-555
    • /
    • 2011
  • The diversity elucidation by amplified ribosomal DNA restriction analysis and 16S rDNA sequencing of 96 associative diazotrophs, isolated from the feeder roots of tea on enriched nitrogen-free semisolid media, revealed the predominance of Gram-positive over Gram-negative bacteria within the Kangra valley in Himachal Pradesh, India. The Gram-positive bacteria observed belong to two taxonomic groupings; Firmicutes, including the genera Bacillus and Paenibacillus; and Actinobacteria, represented by the genus Microbacterium. The Gram-negative bacteria included ${\alpha}$-Proteobacteria genera Brevundimonas, Rhizobium, and Mesorhizobium; ${\gamma}$-Proteobacteria genera Pseudomonas and Stenotrophomonas; and ${\beta}$-Proteobacteria genera Azospira, Burkholderia, Delftia, Herbaspirillum and Ralstonia. The low level of similarity of two isolates, with the type strains Paenibacillus xinjiangensis and Mesorhizobium albizia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raising species novum. The bacterial strains of different phylogenetic groups exhibited distinct carbon-source utilization patterns and fatty acid methyl ester profiles. The strains differed in their nitrogenase activities with relatively high activity seen in the Gramnegative strains exhibiting the highest similarity to Azospira oryzae, Delftia lacustris and Herbaspirillum huttiense.

Chemical Variability of Leaf Cuticular Waxes According to Leaf Position in Tea Tree

  • Kim, Kwan-Su;Song, Yeon-Sang;Moon, Youn-Ho;Park, Si-Hy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97-303
    • /
    • 2006
  • Cuticular waxes on tea (Camellia sinensis L.) loaves consisted mainly of alkanes, fatty acids, primary alcohols, triterpenes, and a group of unknown compounds, dominated by primary alcohols and triterpenes. Tea tree accessions used in this study were M-1, M-2, Sakimidori, and Yabukita. For all accessions, the alkane, fatty acid, and primary alcohol constituents consisted of a homologues series, and the major constituents of primary alcohol class were the C28 and C30 homologues. Triterpenes consisted of friedelin, $\beta-amyrin$, and three unidentified ones and friedelin was the most abundant. Leaf area and the total amounts of cuticular waxes per leaf increased with lower leaf position from the apical bud in Yabukita variety. With different leaf position, total wax amount per unit leaf area on the youngest leaves of P1 (the uppermost leaf position) showed the largest amount $(12.80{\mu}g/cm^2)$, and on mature loaves of P2 to P6 ranged from 7.08 to $7.77{\mu}g/cm^2$, and then on the oldest loaves of P7 (the lowest leaf position) remained at an increased level $(17.53{\mu}g/cm^2)$. During leaf development (lower leaf position), the amount of primary alcohols decreased from P1 to P6 and increased at P7, whereas that of triterpenes increased from P1 to P7. The percentage of each wax class in the total wax amount occurred a decrease in primary alcohol and an increase in triterpene, with leaf age.

The effect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flower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Dissanayake, Chanuri-Yashara;Moon, Hae-Hee;Yang, Kyeong-Mi;Lee, Younjae;Han, Chang-Hoo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65-72
    • /
    • 2018
  • The present study observed the effects of a green tea (Camellia sinensis) flower extract (GTFE)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GTFE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on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inhibited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GTFE significantly diminished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lpha}-MSH$) stimulated cellular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throughout the concentration range evaluated. Based on RNA sequencing analysis,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atterns observed in ${\alpha}-MSH$ 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were normalized by the addition of GTFE. In particular, the expression levels of melanoregulin and tyrosinase genes which are key regulating genes in melanin synthesis were up-regulated by 3.5 and 3 fold respectively by ${\alpha}-MSH$, and were normalized to control levels by the addition of GTFE. The results suggest that GTFE inhibits melanin synthesis in ${\alpha}-MSH$ 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by normalizing expression of genes that are essential for melanin synthesis.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GTFE could be applied in the development of a whitening agent for the treatment of dermal hyperpigmentation.

다(茶)나무 (Camellia sinensis L.) 삽목(揷木)시 발근솔(發根率) 향상(向上) (Rooting Promotion in Cutting Propagation of Tea)

  • 김정운;김태석;신길호;김주희;박장현;조경숙;최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95-199
    • /
    • 1995
  • 다(茶)나무 삽목(揷木)시 삽수(揷穗)의 종류(種類), 상토(床土)의 종류(種類),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등이 발근(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시험(試驗)을 수행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숙지삽(熟枝揷)보다 녹지삽(綠枝揷)에서 발근율(發根率)이 양호(良好)하며 최적(最適) 삽목시기(揷木時期)는 숙지삽(熟枝揷)의 경우 4월 10일경, 녹지삽(綠枝揷)의 경우 6월 10일경이었다. 2. 적정상토(適定床土)는 마사토(磨沙土)이며, 녹지삽(綠枝揷)과 숙지삽(熟枝揷)에서의 발근율(發根率)은 각각 71% , 87%였다. 3.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인 Oxyberon과 Rootone의 효과(效果)는 숙지삽(熟枝揷)의 경우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4{\sim}9%$의 발근율(發根率)을 향상(向上)시켰으나 녹지소(綠枝揷)에서 는 그 효과가 미미(微微)하였다.

  • PDF

녹차폴리페놀에 노출된 Salmonella typhimurium의 세포반응 (Cellular Responses of Salmonella typhimurium Exposed to Green Tea Polyphenols)

  • 최효경;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7-9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국산 녹차(Camellia sinensis L.)에서 추출한 차폴리페놀(tea polyphenols, TPP)에 노출된 Salmonella typhimurium의 여러 가지 세포반응을 조사하는 것이다. TPP는 S. typhimurium에 대하여 투여량에 비례한 살균효과를 보여주었다. TPP로 처리된 S. typhimurium 배양에서 세포막을 구성하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은 조성에서 상당한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에서 아치사 농도의 TPP로 처리된 세포는 세포표면에 구멍이 나고, 속이 움푹 패인 불규칙한 모양으로 관찰되었다. TPP에 노출된 S. typhimurium 배양의 수용성 단백질 부분에 대한 이차원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에서 16개의 단백질이 TPP 노출에 의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항산화 및 chaperons, 전사 및 결합단백질, 에너지 및 DNA 대사 등에 수반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이들 유도된 단백질은 MALDI-TOF를 사용한 peptide mass fingerprinting에 의해 동정되었다. 이들 결과는 S. typhimurium에 대한 TPP 유도스트레스와 세포독성의 기작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한국 전통 미생물발효차(청태전)의 미생물 군집분석 (The microbial diversity analysis of the Korea traditional post-fermented tea (Chungtaejeon))

  • 김병혁;장종옥;강시온;좌재호;문두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70-179
    • /
    • 2017
  • 차는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음료로 불발효차(녹차), 반발효차(우롱차), 완전발효차(홍차)와 흑차(미생물발효차 or 후발효차)를 포함하고 구분된다. 미생물발효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미생물 발효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삼국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청태전은 한국 남해안지역에서 제조되며 돈차 또는 떡차로 불리는 독창적인 한국의 미생물발효차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태전에 우점하는 미생물군집구조 분석을 위해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하였다. 청태전에 우점하는 미생물은 ${\gamma}$-proteobacteria에 속하는 Pantoea sp.와 Klebsiella oxytoca가 우점하였다. 미생물 군집크기 분석을 통해 청태전의 미생물 군집크기가 다른 미생물발효차와 비교해 가장 큰 것을 확인하였다.

Pseudomonas syringae pv. theae에 의한 차나무 갈색마름병 발생 (Occurrence of Brown Blight of Tea Plant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theae in Korea)

  • 최재을;차선경;육진아;최춘환;노일섭
    • 식물병연구
    • /
    • 제9권4호
    • /
    • pp.213-216
    • /
    • 2003
  • 2002년 봄, 순천시 비닐 하우스에서 육묘중인 차나무에 세균병이 발견되었다. 초기 병반은 신엽에 작은 수침상 병반이 나타났으며 갈색반점으로 변하였다. 이 병반은 점점 커졌으며, 중륵 또는 엽맥을 따라 신장하였으며 검은색으로 변하였고, 병든 잎은 쉽게 낙엽이 되었다. 병반으로부터 10균주를 분리하여 잎에 접종한 결과 자연 병반과 동일한 병징이 나타났다. 병원세균은 염색반응, 형태적 특성, colony 패턴, 생리적, 생화학적 반응에 따라 Pseudomonas syringae pv. theae로 동정되었다. 국내에서 이 균에 의한 차나무 세균병은 아직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병명을 차나무 갈색마름병(brown blight)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한국녹차 산업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Korean Green Tea Industry)

  • 오미정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2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1-11
    • /
    • 2012
  •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O.Kuntze)는 열대, 아열대, 온대지역에서 자라는 교목 또는 관목의 영년생 상록수이다. 차는 초기 약효에 의하여 이용하기 시작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 그 독특한 풍미로 인하여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음용하는 중요한 기호음료이다. 강우량이 많고 따듯한 곳에서 생육이 왕성한 차나무는 현재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의 온난지역,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및 러시아 등지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2,000년의 역사를 가지는 한국의 차산업은 주로 경남과 전남, 전북, 제주 등지에서 재배 생산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점차적으로 수요가 늘어나면서 생산량은 1970년 55톤에서 1993년 617톤, 2010년 3,586톤으로 약 65배 이상 증가하였다. 차산업은 찻잎을 원료로 한 생활용품 등 다양한 가공품의 생산과 문화산업, 관광산업까지 포함하는 고부가가치 작목으로 매년 재배 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재배면적의 급속한 증가와 수입확대, 소비환경의 변화로 산지 재고가 증가하는 등 녹차 재배 농가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향후 수급 불균형이 우려되고 있다. 세계의 차 무역량은 연간 약 160만 톤, 재배면적은 약 256만 ha, 생산량은 약 320만 톤에 달한다. 아직까지는 수입 녹차에 대한 높은 관세율(514%)의 보호 아래 있지만, 중국이나 일본 등에 비해 가격, 품질, 상품개발 면에서 뒤떨어져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는 다양한 차들이 소비자의 기호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향후 차시장의 전면적인 개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수출전략과 함께 국내 산업을 안정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전력을 모색해야한다. 주요 차생산국의 다원은 15도 이내의 경사지에 생성되어 있으나 30도 내외의 경사지도 다원 조성에 무리가 없다. 우리나라는 약 200만ha의 경사지를 포함하고 있어 차재배지 확대에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PDF

Proliferation, Accumulation of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allus from the 'Anji Baicha' Cultivar of Tea [Camellia sinensis (L.) O. Ktze.]

  • Liu, Mingfei;Wang, Junli;Tian, Birui;Huang, Jingjing;Zhang, Rongrong;Lin, Yuxing;Xiao, Zefe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252-264
    • /
    • 2017
  • Tea is one of the most consumed beverages worldwide and the relatively high levels polyphenols is benefit for health.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efficient system for proliferation of callus from 'Anji Baicha', a cultivar of tea (Camellia sinensis). Callus tissue was initially induced by culturing leaf explants on medium containing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s. For callus induction, thidiazuron (TDZ) was more effective than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alpha}-naphthalene$ acetic acid (NAA), and $N^6-benzyladenine$ (BA). The frequency of callus induction from leaf explants reached 90.21% on $1.0mg{\cdot}L^{-1}$ TDZ and the developed callus was reddish and friable. We also tested th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A, 2,4-D, indole 3-acetic acid (IAA), BA, and TDZ, alone and in combinations, on callus proliferation. Medium supplemented with TDZ in combination with IAA was suitable for callus proliferation and accumulation of tea polyphenols. The growth index value and tea polyphenol content of callus 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0.5mg{\cdot}L^{-1}$ TDZ and $1.0mg{\cdot}L^{-1}$ IAA was maximally 1,351% and 23.24%,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abundance of epicatechin was as high as 17.449%. We also measur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ll samples and the callus with the highest tea polyphenol content also exhibited high potential radical scavenging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