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anthe discolor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7초

Intraspecific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Korean Calanthe

  • Cho, Dong-Hoon;Chung, Mi-Young;Jee, Sun-Ok;Kim, Chang-Kil;Chung, Jae-Dong;Kim, Kyung-Mi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41-549
    • /
    • 2010
  • The present study research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genetic diversity by using RAPD in Calanthe species, native plant in Jeju, Korea. Twenty-six samples were selected by flower color, and 19 horticultural traits were investigated to stud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 discolor had the smallest leaf, the length and width of dorsal sepal, lateral sepal, petal, central lip, lateral lip, and flower stalk length were shortest and/or smallest except the spur and ovary length in Calanthe species, but those of Calanthe discolor for. sieboldii (Dence.) Ohwi (Calanthe discolor for. sieboldii) were the largest and/or biggest, and those of variants were the intermediate between C. discolor and C. discolor for. sieboldii, but spur length was the longest in C. discolor, the shortest in C. discolor for. sieboldii, and intermediate in the variants. Ovary length in C. discolor was shortest and C. discolor for. sieboldii and variants were similar with each other. The flower colors of C. discolor were brownish red, the value of CIE Lab was between 40 and 50. The flower color of C. discolor for. sieboldii was yellowish; the value of CIE Lab was between 110 and 130. And variants had various colors between 50 and 70 in the value of CIE Lab. After analyzing multiple band patterns of PCR products, 154 bands were selected as polymorphic RAPD markers. The analysis of Genetic distance of Calanthe species using RAPD showed that C. discolor and C. discolor for. sieboldii are more distant from each other than variants, and demonstrated the fact that genetic position of variants is between the other two species.

새우난초(Calanthe discolor Lindley)의 대량증식 시스템 확립 및 이용 (Establishment and Using of mass propagation system for Calanthe discolor Lindle)

  • 서병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1-226
    • /
    • 2002
  • 새우난초의 대량 증식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하여 새우난초 종자 무균파종 및 순화 방법에 따른 생육특성 을 조사하였다. 발아율은 MS배지 에서 65% 이상이었고 유묘의 대량증식이 가능하였다. 계대배양한 유묘의 증식은 고체배지 보다는 액체배지에서 생육상태 가 더 양호한 경향을 보였다. 순화실험 결과, 70%차광조건에서 플라스틱 멀칭으로 습도를 80% 이상 유지하였을 때 100% 순화 생존하였다. 기내 육성된 배양묘는 백태로 뿌리를 감싸 심었을 때 발근이 가장 잘 이루어졌으나 순화과정 중에서 백태 대신에 질석과 펄라이트를 1:1 부피비로 이용한 경우에도 88%의 비교적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제주 자생 새우란, 금새우란, 왕새우란의 분포와 외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stribution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alanthe discolor, C. sieboldii, and C. bicolor Native to Cheju Province)

  • 현명력;최지용;서정남;소인섭;이종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4호
    • /
    • pp.497-499
    • /
    • 1999
  • 한라산을 중심으로 새우란(Calanthe discolor)은 해발 120~600m 범위에서, 금새우란(C. sieboldii)은 300~600m에서 분포하였고, 왕새우란(C. bicolor)은 해발 300~400m의 범위에서 새우란과 금새우란이 동시에 분포하는 지역에서만 분포하였다. 엽(葉)과 화기(花器)의 형태적인 면에서 새우란이 가장 작았고 금새우란이 가장컸으며, 왕새우란은 그 중간형태를 나타내었다. 화색(花色)에서는 새우란은 적갈색 계통의 꽃잎과 흰색의 설판과 같은 단순한 색상을 나타내었고, 금새우란은 노란색계통만을 나타내었다. 반면 왕새우란은 두 종의 색이 혼합된 다양한 화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왕새우란은 새우란과 금새우란의 자연 교잡에 의해 출현된 새로운 종으로 사료된다.

  • PDF

새우난초(Calanthe discolor Lindl.)와 금새우난초[C. discolor for. sieboldii (Decne.) Ohwi]의 종간교배에 의한 1대잡종 종자의 기내무균 발아 (Aseptic Germination of F1 Hybrid Seed by Inter-species Pollination of Calanthe discolor Lindl. and C. discolor for. Sieboldii (Decne.) Ohwi)

  • 김광수;김종선;박종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1-345
    • /
    • 2008
  • 원예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왕새우난초($C.{\times}bicolor$)의 기내 대량증식법을 확립하기 위해 새우난초(C. discolor)와 금새우난초(C. discolor for. sieboldii)를 4월 중순에 종간 인공 교배하여 같은 해 10월 중순에 F1 잡종 종자를 획득하여 종자의 전처리 및 여러 가지 배양환경에 따른 발아율 및 기타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파종 시 종자의 전처리에 따른 F1 종자의 기내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종자의 흡습처리와 초음파 처리가 종자의 발아율과 원괴체 형성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원괴체의 형성기간도 단축되었다. 또한 파종 후 암배양하는 것이 종자의 발아율 및 원괴체의 형성율이 높았다. 발아 배지에 NAA와 BA 등의 호르몬 첨가는 발아율과 원괴체의 형성율을 촉진하였지만 비정상적 인 유묘가 많이 발생하여 건강한 유묘의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유묘는 활성탄을 $0.5g/L^{-1}$를 첨가한 H3P4배지에 계대배양하여 건강한 새우난초 유식물체를 생산하였으며, 화분에서 성공적으로 순화하여 새우난초와 금새우난초의 인공교배를 통하여 원예성이 높은 왕새우난초을 육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LP에 의한 한국산 새우난초속 식물과 그의 수종 돌연변이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y of Korean Calanthe species and few of its mutants based on AFLP data)

  • 스리칸스;구자춘;구자정;최경;박광우;소순구;최용국;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5-221
    • /
    • 2012
  • 5개의 한국산 새우난초류 즉 새우난초, 한라새우난초, 금새우난초, 여름새우난초, 신한새우난초의 분류학적 및 유전적 유연관계가 증폭길이다형성(AFLP) 자료를 근거로 조사되었다. 위의 5개 분류군 및 노란색에 흰 설엽을 갖는 몇몇 돌엽변이체 등 16 개체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AFLP를 통해서 50개의 분자마커가 동정되었다. 다변량분석의 결과는 유전적 다양성이 종내에서 보다 종간에 크게 나타났다. 유전적 비유사성은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YW 돌연변이체들 간에 가장 낮았고, 여름새우난초 개체들 간에 가장 높았다. 돌연변이체들은 주된 유집군의 밖에 유집되었다. 한라새우난초는 새우난초와 먼저 유집되어 유전적 구성이 다른 종보다 새우난초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한라새우난초가 새우난초와 금새우난초의 자연잡종에 의해 기원되었다고 하여도 분자 마커, 유집분석 그리고 비유사도 자료를 통해서 유전자이입이 새우난초 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한국산 새우난초류는 유전적 다양성이 있고, 한라새우난초는 새우난초 쪽으로 유전자이입이 있으며, YW 돌연변이체들은 유전적으로 금새우난초에 보다 가깝다.

새우난초(Calanthe discolor)와 금새우난초(C. sieboldii)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토양특성 (Vegetation Structures and Soil Properties of Calanthe discolor and C. sieboldii Population)

  • 박혜림;김무열;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3-7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 and ordination between Calanthe discolor and C. sieboldii population, Jeju Island. The C. discolor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Cryptomeria japonica dominant population, Miscanthus sinensis dominant population, and C. discolor typical population. The C. discolor population was located in elevation of 156m to 430m, and C. sieboldii was located in elevation of 424m to 604m in Jeju Island.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nitrogen,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30.05~53.58%, 0.74~1.64%, 0.80~1.95cmol$^+$/kg, 4.35~22.53cmol$^+$/kg, 4.00~6.63cmol$^+$/kg, 25.60~51.33cmol$^+$/kg, and 4.83~5.70, respectively. C. discolor population was found in the low elevation and steep sloped area that has less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than C. sieboldii population. C. discolor typical population was found in the high elevation area that has more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in the C. discolor. Miscanthus sinensis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shade of west direction of japanese black pine. C. sieboldii was found in a high elevation and a gentle sloped area that has high percentage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Asymbiotic seed germination and in vitro propagation condition in Calanthe discolor Lindl.

  • Kwon, Huyk Joon;Shin, So Lim;Bae, Kee Hwa;Kim, Soo-You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68-75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dium hypochlorite (NaOCl) and culture medium on embryo swelling and germination of Calanthe discolor Lindl., and establishe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swelling and protocorm formation of C. discolor seeds via in vitro examination of immature seeds. Treatment of immature seeds with NaOCl greatly enhanced the extent of embryo swelling and protocorm formation of immature zygote embryos compared to seeds without NaOCl treatment. The effects of the culture media were also evaluated with regard to embryo swelling and protocorm formation of in vitro cultured seeds with and without NaOCl treatment. Additionally, the effects of white fluorescent light and red and blue LEDs lights on seedling growth in in vitro culture were examined. The most suitable condition for seedling growth after 12 weeks of culture was the red LEDs light with POM medium. These results show effective asymbiotic germination and growth of C. discolor.

새우난초와 은대난초 뿌리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Associated with Roots of Calanthe discolor and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in Korea)

  • 이봉형;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27-43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충남, 제주, 경남, 충북 등에서 새우난초(Calanthe discolor)와 은대난초(Cephalanthera longibracteata)의 뿌리를 채취하여 표면살균한 후 내생균을 순수분리 하였다. 분리된 내생균의 형태학 특징을 관찰하고 internaltranscribed spacer (ITS) rDNA영역의 염기서열을 ITS1F와 ITS4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서로 다른 지역에서 채집한 새우난초와 은대난초이지만, 공통적으로 Leptodontidium orchidcola가 높은 상대수도와 빈도를 나타냈으며, 내생균류의 군집차이를 분석할 결과, 지역적 차이보다는 숙주에 의한 차이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위효소와 RAPD 법을 이용한 제주 자생 새우란, 금새우란, 왕새우란의 근연관계 분석 (Isozyme and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for Genetic Relationship among Calanthe discolor, C. sieboldii, and C. bicolor Native to Cheju Island)

  • 현명력;최지용;서정남;소인섭;이종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2호
    • /
    • pp.141-143
    • /
    • 1999
  • 제주 자생 새우란, 금새우란, 왕새우란의 분류를 위한 동위효소 분석과 RAPD법을 이용한 유전적 근연관계 조사 결과, peroxidase와 esterase의 동위효소(isozyme)분석에서 왕새우란의 밴드양상은 새우란과 금새우란이 동시에 나타나는 밴드에서만 밴드가 나타났다. RAPD를 이용한 유전적인 근연관계에서 왕새우란은 새우란과 금새우란 모두와 비교적 가까웠지만 새우란과 금새우란의 상호간 근연관계는 가장 멀었다. 즉, 왕새우란은 유전적인 근연관계에서 새우란과 금새우란의 중간적인 위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왕새우란은 새우란과 금새우란의 자연적인 교잡으로 출현된 새로운 종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韓國) 자생(自生) 새우난초 종자(種子)의 무균발아(無菌發芽) (Asymbiotic Germination of Korean Native Calanthe Species)

  • 김창길;정재동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5권
    • /
    • pp.47-52
    • /
    • 1997
  • 새우난초, 금새우난초 및 이들 교잡종자(交雜種子)의 기내(機內) 무균발아(無菌發芽)에 적합(適合)한 기내(機內) 배양조건(培養條件)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수분후(受粉後) 일수(日數), 기본배지(基本培地), 초음파(超音波) 처리효과(處理效果)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수분후(受粉後) 100일(日)된 새우란 종자(種子)를 MS배지에 파종(播種)하였을 때 발아율(發芽率)이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초음파(超音波) 처리시간별(處理時間別)로는 10분간(分間) 처리(處理)한 다음 파종(播種)하였을 때 발아소요일수(發芽所要日數)는 단축(短縮)되고 발아후(發芽後) 유묘(幼苗)의 생육(生育)도 양호(良好)한 경향(傾向)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