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PAP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6초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 및 지속적 기도 양압 공급치료에 실패하였으나 Herbst 구강내 장치로 효과를 보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1예 (Herbst Oral Appliance for Obstructive Sleep Apnea When Uvulopalatopharyngoplasty and Nasal CPAP Failed)

  • 문화식;최영미;김명립;박영학;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457-464
    • /
    • 1998
  •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의 치료를 위하여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uvulopalatopharyngoplasty) 시행하였으나 효과가 없었고, 수술후 시행한 비강을 통한 지속적 기도 양압 공급치료(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CPAP) 에서는 5cm$H_2O$의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효과적으로 소실되었으나 공기의 압력이 입으로 분산(mouth air leak)되어 숙면을 취할 수 없다는 이유로 CPAP의 적용을 거부하는 환자에서 저자들이 제작한 Herbst 구강내 장치(oral appliance)를 장착함으로써 매우 좋은 치료 효과를 보였다. 환자에게 구강내 장치를 가정에서 규칙적으로 장착하도록 지시한 후 5 개월간에 걸쳐 수변다원검사(polysomnography)와 수면설문지검사(sleep questionnaires)를 반복 실시함으로써 치료 효과와 부작용 발생 여부를 추적 관찰하였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과 여러 가지 임상 증상이 지속적으로 현저히 호전되었고, 구강내 장치의 장착으로 잠에서 깨어난 후 일시적인 측두하악관절의 불쾌감을 호소하였으나 약 1 개월 이후에는 소실되었으며, 현재까지 파손된 구강내 장치의 수리와 재조정을 제외하고는 다른 특기할 문제점 없이 규칙적인 사용을 계속하고 있다. 따라서 구강내 장치는 적응증이 되는 환자에서 적합한 형태를 선택하여 적절히 사용할 경우에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치료 효과가 없는 환자에서 지속적 기도 양압 공급치료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구강내 장치의 적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 임프란트를 이용한 하악골 전진술 (Microimplant mandibular advancement (MiMA)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 ;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5-126
    • /
    • 2010
  • 이 증례보고는 심한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된 환자로, 다른 구강 내 OSA치료 장치와 nCPAP치료에 적응을 못하는 66세 남자 환자였다. 하악골에 2개의 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를 식립한 후, 식립 2주 후부터 구강외 고정원인 개조된 안면마스크에서 마이크로 임프란트에 힘을 가하여 하악골을 전진시켰다. 마이크로 임프란트를 이용한 하악골전진술(MiMA)은 심한 수면 무호흡환자의 AHI (apnea-hypopnea index), 코골이 및 심한 수면 무호흡증상을 개선할 수 있었다.

조절성 전방이동형 코골이 방지장치의 효과 (Antisnoring Effects of Adjustable Anterior Positioner: Case Study)

  • 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213-219
    • /
    • 2012
  • 구강내 장치 요법은 가벼운 혹은 중간 정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일차 치료법이며 심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경우에도 CPAP 또는 수술요법에서 효과가 없을 때 좋은 대안적 치료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구강내 장치들마다 치료 효과가 다르며 또한 모든 환자들에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목젖입천장인두절제술(uvulopalatopharyngoplasty, UPPP) 을 받았으나 증상의 개선이 없는 심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obstructive sleep apnea, OSA) 환자에서 단국대 치대 구강내과에서 개발한 구강내 조절성 하악전방이동형 코골이 방지장치 (Adjustable Anterior Positioner, AAP)를 사용하여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 그에 대한 고찰을 한다.

Respiratory support with heated humidified high flow nasal cannula in preterm infants

  • Jeon, Ga W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10호
    • /
    • pp.389-394
    • /
    • 2016
  • The incidence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has not decreased over the last decade. The most important way to decrease BPD is by weaning the patient from the ventilator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reduce ventilator-induced lung injury that underlies BPD, and by using a noninvasive ventilator (NIV). Use of a heated, humidified, high flow nasal cannula (HHHFNC), which is the most recently introduced NIV mode for respiratory support in preterm infants, is rapidly increasing in many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due to the technical ease of use without sealing, and the attending physician's preference compared to other NIV modes.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nasal breakdown and neonatal complications were lower when using a HHHFNC than when using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nCPAP), or nasal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The rates of extubation failure during respiratory support were not different between patients who used HHHFNC and nCPAP. However, data from the use of HHHFNC as the initial respiratory support "after birth", particularly in extremely preterm infants, are lacking. Although the HHHFNC is efficacious and safe, larg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needed before the HHHFNC can be considered an NIV standard, particularly for extremely preterm infants.

코질환과 수면무호흡증 (Nasal Diseases and Its Impact on Sleep Apnea and Snoring)

  • 김창희;이재서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1호
    • /
    • pp.17-21
    • /
    • 2004
  • Nasal conges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symptoms of medical complaints. Snoring is caused by vibration of the uvula and the soft palate. Nasal obstruction may contribute not only to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but also impair application of continuous nasal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which is the most widely employed treatment for OSA. Total or near-total nasal obstruction leads to mouth breathing and has been shown to cause increased airway resistance. However, the exact role of the nasal airway in the pathogenesis of OSA is not clear and there is no consensus about the role of nasal obstruction in snoring and sleep apnea. Some reports have failed to demonstrate any correlation between snoring and nasal obstruction. On the other hand, opposing reports suggest that nasal disease may cause sleep disorders and that snoring can be improved after nasoseptal surgery. Reduced cross-sectional area causes increased nasal resistance and predisposes the patient to inspiratory collapse of the oropharynx, hypopharynx, or both. Discrete abnormalities of the nasal airway, such as septal deformities, nasal polyps, and choanal atresia and with certain mucosal conditions such as sinusitis, allergic rhinitis and inferior turbinate hypertrophy can cause snoring or OSA. Thus, these sources of nasal obstruction should be corrected medically or surgically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OSA and adjunctive for CPAP.

  • PDF

최근 4년간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인공 호흡기 치료율과 경과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Ventilator Care Rate and Outcome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During Last Four Years)

  • 정변경;김영주;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073-1079
    • /
    • 2003
  • 목 적 : 1,500 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호흡부전시 인공 호흡기 치료에만 의존하던 과거와는 달리 신생아 집중치료의 획기적 발전과 의료환경의 개선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인공 호흡기 치료의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 저자들은 1998년부터 기관내 삽관율과 인공 호흡기 치료기간, 합병증 등의 연도별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향후 인공 호흡기 치료 방향에 기초적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본원 출생아로서 1,500 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이며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입원 치료한 뒤 퇴원한 환아 2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아는 병력지를 기초로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을 분석하였고, 인공 호흡기 치료군에서 분만 방법과 임상 특징, 원인 질환, 인공 호흡기 설정시 초기 조건, 사용 방법, 기간, 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연도별 재태 주수에 따른 인공 호흡기 치료 빈도의 변화 : 27-29주 미숙아의 경우 최근 4년간 인공 호흡기 치료군은 큰 변화 없이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약 76.1%에 해당되었다. 30-33주 미숙아의 경우는 최근 4년간 인공 호흡기 치료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로 1998년, 1999년에 각각 61.9%, 52.9%에서 인공호흡기 의존도를 나타냈으나 2000년에는 48.6%였고, 2001년에는 37.5%에서만이 인공 호흡기의 의존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체 환아에서 1998년은 69.7%에서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았으나, 2001년은 42.5%로 감소하였다 2) 인공 호흡기 치료군에서 임상적 특징 : 평균 재태 연령, 출생 체중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4년간 모두 반 수 이상에서 남아이고, 분만 방식으로 제왕 절개술에 의한 분만이 60% 이상이었으며, 최근 증가하는 추세이다. 원인 질환으로 중등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단독인 경우가 60% 이상이었고,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과 동반된 가사 및 무호흡이 있었다 3) 인공 호흡기 치료군에서 동맥혈 가스 분석, 인공 호흡기 설정 및 호흡 지표의 변화 : $PaO_2$는 42.4-44.8 mmHg였고, 평균 기도압은 5.7-6.0 $cmH_2O$, 산소화 지수(OI)는 9.2-11.6이었으며, 인공 호흡기 치료 24-48시간 경과 후 시행한 동맥혈 가스 검사에서 $PaO_2$는 89.3-92.5 mmHg로 호전되었고, 평균 기도압은 4.4-4.7 $cmH_2O$로 낮아졌으며, 산소화 지수는 2.3-2.6 정도로 호전되었다. 4) 인공 호흡기 치료 평균 기간 : 인공 호흡기 치료 기간은 최근 4년간 뚜렷이 감소하는 추세로 7일 이상 장기간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은 환아는 1998년에 23.9%에서 2001년에는 6.4%로 감소하였고, 4일에서 6일 동안 치료를 받은 경우는 1998년에 76.1%에서 2001년에 9.7%로 감소하였다. 또한 3일 이하의 단기간 치료를 받은 군은 1999년에 28.1%이던 것이 2001년에는 83.9%로 증가하였다. 연도별 평균 치료 기간도 1998년, 1999년에 각각 6.0일, 5.5일에서 2000년, 2001년에 3.6일, 2.7일로 감소하였다. 5) 인공 호흡기 사용 방법과 주요 합병증 : 1998년에는 HFV와 IMV에 의한 인공 호흡기 치료가 주였고, 2000부터 비강내 CPAP을 활성화 하였으며, 2001년에는 HFV와 IMV, 비강내 CPAP의 병용 사용이 35.4%로 늘어났다.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은 환아들의 주요 합병증으로는 동맥관 개존이 가장 많았으며, 병기 3이상의 미숙아 망막증, grade III 이상의 뇌실내 출혈, 공기 누출 증후군, 만성 폐질환, 뇌실주위 백질연화증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 1,500 gm 미만의 원내 출생한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경우 중증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인공 호흡기 의존율과 치료 기간 역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다. 따라서 비강내 CPAP의 조기 사용으로 기도 삽관을 통한 침습적인 인공 호흡기 치료관리 기회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면무호흡 환자의 양압기 제품서비스디자인 개발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가 느끼는 디자인 컨셉 가치 비교연구 (Design Concept Value Competitive Research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Service Receiver)

  • 이성필;정주영;이상기;홍정표
    • 서비스연구
    • /
    • 제7권4호
    • /
    • pp.39-5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제공자(개발자)와 서비스 수혜자(고객)집단 간에 느끼는 디자인 컨셉 가치에 대한 비교연구로서 양압기(CPAP)를 중심으로 진행된 IoT기반 U-헬스케어 및 사용자 환경기반 서비스모델을 제시하여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더블다이아몬드(Double Diamond)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울산에 소재한 U병원 이비인후과와 공동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수면 무호흡 수면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부터 구매 후 사용까지 다양한 의미 있는 경험을 발췌하고 고객 유형별 차이점을 분류 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시한 13개의 서비스 시나리오 모델을 대상으로 고객은 카노(Kano)만족도와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PCSI)평가를 진행하였고 개발에 참여한 서비스제공자 집단을 대상으로 스코어모델(+-)평가와 컨셉포지션(Concept Position)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결과는 총 12가지 문항에서 7가지 문항은 수혜자와 공급자 사이에서의 가치적 견해의 일치가 나타났으며 이는 사용자 환경기반 서비스모델 속성 이었으며, 반대로 가치적 견해가 상의한 결과인 5가지 문항은 IoT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 모델 속성에 포함 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속적 양압공급치료로 임상적 호전을 보인 활동성 선단거대증에 동반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1예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in a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ssociated with Active Acromegaly)

  • 문화식;최영미;안석주;김치홍;권순석;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610-617
    • /
    • 1995
  • 저자들은 활동성 선단거대증과 이로 인하여 생긴 확장형 성근병증에 의한 울혈성 심부전과 중증의 심실성 부정맥이 있는 환자에 동반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하여 4개월간 지속적 영양공급치료를 시행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소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1례 (A Case of Childhoo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신홍범;이유진;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2호
    • /
    • pp.106-109
    • /
    • 2004
  • 소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흔히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비만, 두개 악안면 기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소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야뇨증, 사건 수면, 행동 장애 등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 그 원인이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증이면 수술적인 제거를 통해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비만 등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이라면 지속성 상기도양압술과 체중 감량 및 생활습관 변화를 통한 치료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편도 아데노이드 절제술 시행 후에도 심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지속되고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난 환아에서 상기도양압술로 무호흡 관련 증상 및 동반된 합병증의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 PDF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간질성 폐질환 (Obstructive Sleep Apnea in Interstitial Lung Disease)

  • 김신범;이상학;강현희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1호
    • /
    • pp.19-23
    • /
    • 2017
  • Obstructive sleep apnea is a common disorder in which respiratory flow decreases or disappears despite respiratory effort due to occlusion of the upper respiratory tract during sleep. Oxidative stress and systemic inflammatory reaction induced by the obstruction cause complications such as hypertension, coronary artery disease, and diabetes and increase cancer incidence. Furthermore,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 obstructive sleep apnea has a very high prevalence and is thought to have a close pathophysiological and clinical correlation. In other words, obstructive sleep apnea could be the cause or a complication of interstitial lung disease ; when these two afflictions coexist, the prognosis of the patient is worse.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CPAP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sleep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improved morbidity and mortality in a recent study.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 are very important, and additional studies designed to include patients with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as well as patients with advanced interstitial lung disease should be perfo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