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bst Oral Appliance for Obstructive Sleep Apnea When Uvulopalatopharyngoplasty and Nasal CPAP Failed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 및 지속적 기도 양압 공급치료에 실패하였으나 Herbst 구강내 장치로 효과를 보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1예

  • Moon, Hwa-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oi, Young-M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Myung-Lip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Park, Young-Hak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Young-Ky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Kwan-H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ong, Jeong-S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Park, Sung-Ha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문화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최영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명립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
  • 박영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김영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관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송정섭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성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4.30

Abstract

This report describes a 5-month follow-up of the efficacy of Herbst oral appliance(OA) in a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 who has failed with uvulopalatopharyngoplasty(UPPP) and was unable to tolerate to subsequent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CPAP) because of mouth air leak. The obstructive sleep apnea and daytime performance were markedly improved by regular home use of OA, and the patient still continues to use OA without complications. It is suggested that OA can be a successful alternative therapeutic modality in patients who are unable to tolerate to nasal CP AP, especially after UPPP.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의 치료를 위하여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uvulopalatopharyngoplasty) 시행하였으나 효과가 없었고, 수술후 시행한 비강을 통한 지속적 기도 양압 공급치료(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CPAP) 에서는 5cm$H_2O$의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효과적으로 소실되었으나 공기의 압력이 입으로 분산(mouth air leak)되어 숙면을 취할 수 없다는 이유로 CPAP의 적용을 거부하는 환자에서 저자들이 제작한 Herbst 구강내 장치(oral appliance)를 장착함으로써 매우 좋은 치료 효과를 보였다. 환자에게 구강내 장치를 가정에서 규칙적으로 장착하도록 지시한 후 5 개월간에 걸쳐 수변다원검사(polysomnography)와 수면설문지검사(sleep questionnaires)를 반복 실시함으로써 치료 효과와 부작용 발생 여부를 추적 관찰하였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과 여러 가지 임상 증상이 지속적으로 현저히 호전되었고, 구강내 장치의 장착으로 잠에서 깨어난 후 일시적인 측두하악관절의 불쾌감을 호소하였으나 약 1 개월 이후에는 소실되었으며, 현재까지 파손된 구강내 장치의 수리와 재조정을 제외하고는 다른 특기할 문제점 없이 규칙적인 사용을 계속하고 있다. 따라서 구강내 장치는 적응증이 되는 환자에서 적합한 형태를 선택하여 적절히 사용할 경우에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치료 효과가 없는 환자에서 지속적 기도 양압 공급치료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구강내 장치의 적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