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ID-19 stress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어판 대학생용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의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COVID-19 Student Stress Questionnaire)

  • 김용석;박명신;강수향;이윤호;권도국;문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517-526
    • /
    • 2022
  • 대학생용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대학생만이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 유발상황과 그에 대한 반응을 측정한다. 본 연구는 이 척도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척도의 한국어판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생이 자주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설문지를 탑재하여 대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설문조사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총 293명의 학부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한국어판 대학생용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는 원척도의 7개 문항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모두 양호하였다. 다만 원척도는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나 한국어판은 단일 요인 척도로 나타났다. 한국어판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를 토대로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의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대학생용 팬데믹 스트레스 척도가 개발되길 바란다.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 장혜림;이래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651-65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에서 구축한 2020년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 여부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질문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89명의 조손가정 청소년 중 39%가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를 경험했다. 또한 가정경제 악화를 경험한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불안과 스트레스의 점수가 높았고, 우울과 자살생각의 경험 비율이 높았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조손가정 청소년의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의 경험은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limate and Self-Resilience on Employee Performa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 Empirical Study in Indonesia

  • SURATMAN, Andriyastuti;SUHARTINI, Suhartini;PALUPI, Majang;DIHAN, Fereshti Nurdiana;MUHLISON, Muhammad Bakr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5호
    • /
    • pp.1019-1029
    • /
    • 2021
  •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limate, self-resilie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OCB) and job stress on employee performance during Covid-19 pandemic. This paper also attempts to find out the mediating role of OCB and job stress in this context. A confirmatory survey was conducted on 316 employees of several institutions in Indonesia who worked from home during Covid-19 for a minimum period of 2 months. The research revealed that 1) PC has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OCB and performance; 2) Self resilience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performance; 3) PC and self-resilience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job stress; 4) there are in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on OCB; OCB and job stress on performance; 5) PC and self-resilience have no indirect influence on performance through OCB and job str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organizations expected to have strategic approach in order to handle Covid-19 pandemic in different work patterns that are required to carry out routine office tasks from home, including handling stress as a fast adaptation for both employees and organizations that have a routine task from home.

COVID-19 상황에서 직무불안정성,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시설 종사자의 조직지원인식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Instability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ports Facility Worke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최승국;노용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83-20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instability and job str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sports facility workers in the COVID-19 situation,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ethods: This study surveyed service workers working at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North Chungcheong Province, South Korea. The multi-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all of the factors constituting job instability (organizational, job, and personal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actors constituting job stress (job characteristic, roll-related, and human relationship factors), except for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ctor and rol-related factor. Job characteristic and roll-related factors constituting job stress significantly affected turnover intention of sports facility workers. Also,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 factors of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Although the COVID-19 created an environment with very high job instability, the negative impacts of job instability and job stress can be minimized through consideration and support for service workers of the organization, reducing turnover intention.

COVID-19 유행시기에 병원간호사의 외상후스트레스와 정서적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in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정주희;송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3-20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in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3 nurses working at a hospital in Daegu from October 16 to 30, 2020, in the middle of the COVID-19 pandemic. Participants conducted self-reported surveys of post-traumatic stress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Korean version), emotional exhaustion (Maslach Burnout Inventory), and resilience (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t-tests, Mann-Whitney U tests, Kruskal-Wallis tes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Baron and Kenny method and Sobel test. Results: The mean scores for post-traumatic stress, resilience, and emotional exhaustion were 16.18±16.18, 183.41±18.29, and 32.64±9.66, respectively. A higher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was associated with lower resilience (r=-.20, p=.004) and with higher emotional exhaustion (r=.33, p<.001). A higher level of resilience was associated with lower emotional exhaustion (r=-.35, p<.001). The resilience was confirm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verified by the Sobel test (Z=2.31, p=.02). Conclusion: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Thus, nurses should develop individual strengths to reduce emotional exhaustion, and managers should also make efforts to increase the nurses' resilience.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strengthen nurses' resilience.

일터 영성이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지식, 수행과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Infection Control Knowledge, Performance, and Job Stress of Dental Hygienists in the COVID-19 Pandemic)

  • 김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231-238
    • /
    • 2022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일터 영성이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해 융복합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2-3월 동안 치과위생사 1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하였다. 일터 영성은 감염관리 수행 팬데믹 상황에서 일터영성은 감염관리 수행력을 높이고 직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이 높은 집단은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2년 이하 경력자는 관계갈등, 3-5년 경력자는 직무 불안정, 조직체계, 보상 부적절, 직장 문화가 높게 조사되었으며 6년 이상 경력자가 직무 자율성 결여 인식이 가장 높았다. 팬데믹 상황에서 일터영성은 감염관리 수행력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어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여 전인적이고 체계적인 조직운영을 위한 의료의 질을 향상안이 요구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디지털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Digital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 우진주;서은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17-124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디지털중독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개 도시의 대학교 간호학과 1~2학년 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는 대인관계능력(β =.21, p =.015)과 디지털중독(β =.20, p =.003)에 대해 유의한 직접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아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디지털중독 사이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 =.07, p =.314).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디지털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디지털중독의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Impact of the Coronavirus Disease Pandemic on Mental Health Among School Students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Youngsoo Jang;Hye-mi Cho;Young-Eun Mok;Su-hyuk Chi;Changsu Han;Hyun-suk Yi;Moon-Soo Lee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2호
    • /
    • pp.63-68
    • /
    • 2023
  • Objectives: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has had various effects on mankind, especially children and adolescents. Because children and adolescents spend a lot of time at school, COVID-19 has had a great impact on school mental healt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olonged COVID-19 on school mental health. Methods: We prepa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depression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xiety (Korean version of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for Childre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7, GAD-7), and post-traumatic stress (Primary Car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C-PTSD) for administering to students aged between 7 and 18 years, recruited by a COVID-19 psychological prevention support group in the Gwangmyeong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for 2 years, in 2020 and 2021. Results: For children aged 7-12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years 2020 and 2021 in the assessment of depression, anxiety, and post-traumatic stress. Conversely, for adolescents aged 13-18 year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cale scores (CDI, PC-PTSD, and GAD-7). Conclusion: Prolonged COVID-19 might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ho spent a lot of time at school. When comparing the years 2020 and 202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affected by COVID-19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코로나 블루와 여가 활동 :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Corona Blue and Leisure Activities : Focusing on Korean Case)

  • 사혜지;이원상;이봉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09-121
    • /
    • 2021
  •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코로나19와 우울감(blue)이 합쳐진 코로나 블루(Corona Blue)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전과 후의 스트레스와 여가활동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스트레스에 따른 여가활동의 도움에 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토픽모델링방법을 통한 코로나 블루 뉴스기사 분석과 설문조사의 2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첫째, 코로나19가 "경계"단계로 격상된 2020년 1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까지 강화된 9월까지의 신문 기사를 토대로 총363건의 뉴스 기사를 토픽모델링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28개의 토픽이 추출되었으며, 비슷한 주제끼리 멘탈데믹(mentaldemic), 세대확산, 우울증 가속 원인, 피로감 증가, 장기전에 대처하는 자세, 소비변화, 우울 극복을 위한 노력 총 7개로 그룹화하였다. 둘째,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코로나19 전, 후 여가활동에 따른 스트레스 변화수준과 여가활동에 따른 주된 도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전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 평균 차이가 코로나19 후 보다 큰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코로나19 후에도 여가활동은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19전 여가활동에 따른 주된 도움이 신체적, 사회적 활동을 통한 기분전환, 재충전의 의미였다면, 코로나19 후에는 자연, 야외 활동, 지적 활동을 통한 기분전환, 잠깐 잊음과 같은 심리적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코로나 블루 현황 파악과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가 대처를 통해 완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코로나 블루 극복을 위한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여가 정책 및 대응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oT 스마트 스트레스 케어를 위한 생체신호 기반의 실시간 HRV 측정 (Development of Real-time HRV measurement Application based on vital signs for IoT smart stress care)

  • 송호준;박도영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40-45
    • /
    • 2021
  •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하여 우리의 일상은 많은 변화를 가지고 왔다. 이로 인한 사회적거리두기와 같은 공중보건 조치로 인하여 COVID-19의 확장을 줄이는 데는 필수적이나, 동시에 우울증, 불안장애, 우울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등에 노출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한 Smart Watch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ECG와 PPG 측정을 통하여 HRV 데이터 및 스트레스 지수 확인이 가능한 Application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Application의 경우 실시간으로 Heart Rate를 측정하여 표시 하였으며, 걸음 수와 칼로리, 총 운동 거리를 측정하여 기본적인 운동정보를 전달하였고, 측정하기 프로그램으로 혈압, 심박수, HRV 데이터를 블루투스 기반으로 원활히 전달 하였다. 이를 통해 스스로 정신건강 관리를 할 수 있는 IoT 스마트 스트레스 케어 Application이 스트레스 및 우울 외상 장애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