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6 glioma cell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1초

납의 신경독성에 대한 지금초 추출물의 독성경감 효과 (Alleviating Effects of Euphorbiae humifusae L. Extract on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Lead)

  • 이상희;서영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01-510
    • /
    • 2018
  • 본 연구는 배양 C6 glioma 세포를 대상으로 초산납(lead acetate, LA)의 신경독성을 알아보았으며, 또한 LA의 세포독성에 대한 지금초(Euphorbiae humifusae L., EH)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LA는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됨으로서 신경독성을 보였으며, $0{\sim}50{\mu}M$의 LA가 각각 포함된 배양액에서 72시간 동안 세포를 처리한 결과, $XTT_{50}$ 값은 $38.6{\mu}M$로 고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0{\sim}50{\mu}M$의 LA가 각각 포함된 배양액에서 72시간 동안 세포를 처리한 결과 $XTT_{50}$$38.6{\mu}M$에서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항산화제인 vitamin E의 처리에서 LA 독성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 생존율이 유의하게 증가함으로서 LA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편, EH 추출물은 지질과산화 저해능을 비롯하여 superoxide dismutase (SOD)-유사활성능 및 DPPH-라디칼 소거능과 같은 항산화능에 의하여 LA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이같은 항산화 효과는 gallic acid와 같은 폴리페놀이나 또는 flavonol이나 quercet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성분에 기인된 결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EH 추출물과 같은 천연 소재는 차후 납신경독성과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질환 치료를 위한 유용한 활용 인자로 사료된다.

미나리 발효액과 미나리 발효액을 이용한 식초의 특성 분석 및 glioma C6 세포에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Dropwort Extract and Vinegar Using Fermented Dropwort Extract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amage in Rat Glioma C6 Cells)

  • 김민주;이삼빈;최준혁;권승혁;김형대;방면호;양선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50-35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한 미나리 천연 식초 및 원료로 사용된 미나리 발효액의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미나리 식초의 뇌 기능 개선 관련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6 흰쥐 신경아교세포를 이용하여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검토하였다. 미나리 식초는 약 5%의 초산을 함유하였으며 glucose는 검출되지 않아 초산발효가 잘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높지 않았으나 그 중 aspartic acid, arginine 그리고 valine이 주요 유리 아미노산으로 나타났으며, 발효액에서는 aspartic acid, alanine, GABA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은 식초에서는 glutamic acid와 glutam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발효액의 경우 aspartic acid와 asparagine이 주요 총 아미노산으로 나타났다. 미나리 식초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초를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한 식초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발효액과 식초 모두 C6 세포에 대한 독성은 없었으며 t-BHP 및 $H_2O_2$에 의한 세포 생존율 저하를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치매유발제인 알루미늄에 대한 Rosmarinic Acid의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Rosmarinic Acid on the Aluminum of Dementia Inducer)

  • 정인주;서영미;제갈승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8-14
    • /
    • 2017
  • 치매유발제인 $AlCl_3$에 대한 rosmarinic acid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뇌세포종인 배양 C6 glioma 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생존율을 비롯한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SOD-유사활성(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및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AlCl_3$는 배양 세포에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을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또한, $AlCl_3$$XTT_{50}$값이 $142.2{\mu}M$에서 나타남으로 이는 Borenfreund와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의하여 중간독성(mid-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rosmarinic acid가 $AlCl_3$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40{\mu}M$ rosmarinic acid 처리에서는 $AlCl_3$만의 처리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AlCl_3$의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손상을 보호하였다. 또한 rosmarinic acid는 전자공여능을 비롯한 SOD-유사활성 및 지질과산화의 억제효과를 보임으로서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산화적 손상이 $AlCl_3$의 독성에 관여하고 있으며, rosmarinic acid는 항산화능에 의하여 $AlCl_3$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따라서, rosmarinic acid와 같은 천연성분은 치매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병변의 치료적 개선을 위한 천연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파킨슨씨병 유발물질인 황산철로 손상된 배양 신경아교세포에 대한 물매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Parnassia palustris L. Extract on Ferrous Sulfate-Induced Cellular Injury of Cultured C6 Glioma Cells)

  • 서영미;양승범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98-306
    • /
    • 2022
  • 본 연구는 배양 C6 glioma 세포를 재료로 파킨슨병의 유발 물질인 황산철(FeSO4)의 신경독성과 이에 대한 물매화(Parnassia palustria L., PP)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포생존율을 비롯한 슈퍼뮤타제(SOD)-유사능 및 과산소음이온 라디칼(SAR)-소거능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FeSO4는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XTT50값이 63.3 μM로 나타나 Borenfreund and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고독성 (highly-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의 일종인 quercetin은 FeSO4의 독성으로 손상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한편, PP 추출물은 FeSO4만을 처리한 것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동시에 SOD-유사 능과 SAR-소거능과 같은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eSO4의 세포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PP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FeSO4에 의한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결론적으로, 물매화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은 FeSO4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질환을 유발시키는 중금속화합물에 의한 독성을 개선 내지는 치료하는데 유용한 소재라고 생각된다.

치매유발제인 알루미늄으로 손상된 배양 C6 Glioma 세포에 대한 금은화 추출물의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Lonicerae flos Extract on Cultured C6 Glioma Cells Damaged by Aluminum of Dementia Inducer)

  • 정재윤;정인주;제갈승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71-278
    • /
    • 2017
  • 치매유발제인 염화알루미늄(aluminum chloride, $AlCl_3$)의 세포독성을 대뇌교종세포인 C6 glioma 세포를 대상으로 산화적 손상측면에서 조사하였으며, 또한 $AlCl_3$의 세포독성에 대한 금은화(Lonicerae flos, LF) 추출물의 영향을 세포생존율을 비롯한 DPPH-라디칼 소거능, superoxide anion-radical (SAR) 제거능 및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 LP) 억제능과 같은 항산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 배양 C6 glioma 세포에 $120{\sim}160{\mu}M$$AlCl_3$가 각각 포함된 배양액에서 처리한 결과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 때 $XTT_{50}$값은 $128.8{\mu}M$에서 나타나 중간독성(mid-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인 BHT는 $AlCl_3$의 세포독성을 유효하게 방어하였다. 한편, $AlCl_3$의 세포독성에 대한 금은화(LF) 추출물의 영향에 대한 조사에 있어서, LF 추출물은 $AlCl_3$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써 세포독성을 방어하였다. 이와 동시에, LF 추출물은 DPPH-라디칼 소거능을 비롯하여 SAR 제거능 및 LP 억제능을 보임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위의 결과로부터 $AlCl_3$의 세포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또한 LF 추출물은 $AlCl_3$의 독성을 항산화능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따라서, LF 추출물과 같은 천연성분은 알루미늄과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치매유발제의 독성을 방어함으로써 차후 치매와 같은 산화적 손상 관련의 질환 치료를 위한 항산화 물질로서의 개발적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환경오염원인 납의 신경독성에 대한 NMDA 수용체 길항제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NMDA Receptor Antagonist on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Lead as an Environmental Pollutant)

  • 손영우;임요섭;서영미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3-20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neurototoxicity of the environmental pollutant lead acetate(LA)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D-2-amino-5-phosphonovaleric acid(APV), N-methyl-D-aspartate(NMDA) receptor antagonist on LA-induced cytotoxicity in cultured C6 glioma cell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is study, cell viability in cultured C6 glioma cells was assessed by XTT assay and antioxidative effect, such as lactate dehydrogenase(LDH) activity, by LDH detection kit. Results: LA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XTT50 value was determined to be 33.3 uM of LA. The cytotoxicity of LA was deemed highly toxic according to Borenfreund and Puerner's toxic criteria. The vitamin E antioxidant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damaged by LA-induced cytotoxicity in these cultures. For the protective effect of APV on LA-induced cytotoxicity, APV significantly increased not only cell viability, but also inhibition of LDH activity.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oxidative stress is involved in the neurotoxicity of LA, and APV effectively protected against LA-induced cytotoxicity via an antioxidative effect as an inhibotory activity of LDH. Conclusions: Natural resources like APV may be putative therapeutic agents for the toxic diminut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s such as LA correlated with oxidative stress.

비자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뇌신경세포 보호효과 연구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from Torreyae Semen)

  • 이숭인;최찬헌;김정상;임성수;정현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1-48
    • /
    • 201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Torreyae Semen hot water extracts (TS). Methods : Torreyae Semen was extracted by hot water for 2 hours with a temperature of 105 degrees.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 were measured and LC-MS/MS was used to certificate anticipated antioxidative compound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S were measured as scavenging effect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Nitrite Oxides (NO).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rate was measured MTT assay. The toxicities to thymocytes and splenocytes were evaluated by the proliferation rate of primary cultured cells of 7 weeks, male Balb/c mic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S on C6 mouse glioma cells were measured by the analysis of total glutathione contents variation. The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es were measured by MTT assay. Results : Polyphenols of TS was $92.00{\pm}1.24{\mu}g/mg$, and total flavonoids was $0.36{\pm}0.14{\mu}g/mg$. TS includes 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ocatechin gallate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TS included 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o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gallate. TS showed DPPH and NO scavenging effects as dose-dependent manner at the concentrations of $0-10mg/m{\ell}$. In MTT assay, TS shows no significant toxicity to C6 cells, primary cultured thymocytes and splenocytes of Balb/c mice. TS increased the level of total glutathiones. TS increased cell viabilities of C6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es such as $H_2O_2$, sodium nitroprusside (SNP), Rotenone at the concentrations of $0-0.063mg/m{\ell}$. Conclusions : TS shows the antioxidant and neuroprotecitive effects in these experiments.

Decursin induces apoptosis in glioblastoma cells, but not in glial cells via a mitochondria-related caspase pathway

  • Oh, Seung Tack;Lee, Seongmi;Hua, Cai;Koo, Byung-Soo;Pak, Sok Cheon;Kim, Dong-Il;Jeon, Songhee;Shin, Boo Ah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3권1호
    • /
    • pp.29-35
    • /
    • 2019
  • Decursin is a major biological active componen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is known to induce apoptosis of metastatic prostatic cancer cells. Recently, other reports have been commissioned to examine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this plant.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nhibitory activity and related mechanism of action of decursin against glioblastoma cell line. Decursin demonstrated cytotoxic effects on U87 and C6 glioma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not in primary glial cells. Additionally, decursin increased apoptotic bodies and phosphorylated JNK and p38 in U87 cells. Decursin also down-regulated Bcl-2 as well as cell cycle dependent proteins, CDK-4 and cyclin D1. Furthermore, decursin-induced apoptosis was dependent on the caspase activation in U87 cells. Taken together, our data provide the evidence that decursin induces apoptosis in glioblastoma cells, making it a potential candidate as a chemotherapeutic drug against brain tumor.

치매유발물질인 염화알루미늄으로 손상된 C6 신경교종 세포주에서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Aster yomena (Kitm.) Extract on C6 Glioma Cell Line Damaged by AlCl3, Dementia Inducer)

  • 서영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08-416
    • /
    • 2020
  • 본 연구는 치매유발물질의 하나인 염화알루미늄(AlCl3)의 신경독성을 C6 glioma세포를 배양하여 조사하였으며, AlCl3의 독성에 대한 쑥부쟁이[Aster yomena (Kim.), AY]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세포생존율을 비롯하여 항산화능 분석인 XO 저해능과 SAR-소거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lCl3는 배양 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적으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 과정에서 XTT50값이 130.0 μM로 나타나 Borenfreund와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의하여 중간독성(mid-cytotoxic)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산화제인 QU는 AlCl3의 독성으로 손상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AlCl3의 독성에 대한 AY 추출물의 방어효과에 있어서, AY 추출물은 AlCl3만의 처리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와 동시에 XO 저해능과 SAR-소거능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Cl3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AY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AlCl3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따라서, AY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은 질환유발제인 AlCl3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이 있는 중금속화합물의 독성 완화나 질환의 치료적 개선을 위한 대체물질개발에 있어 유용한 소재인 것으로 생각된다.

Chemical Constituents of Impatiens balsamina Stem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 Kim, Dong Hyun;Lee, Tae Hyun;Subedi, Lalita;Kim, Sun Yeou;Lee, Kang R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5권2호
    • /
    • pp.130-135
    • /
    • 2019
  • The purification of the MeOH extract from Impatiens basamina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led to the isolation of one new tetrahydronaphthalene (1), together with eleven known compounds (2 - 12). The structure of the new compound (1) was determined by spectral data analysis ($^1H$ and $^{13}C$-NMR, $^1H-^1H$ COSY, HSQC, HMBC, NOESY, and HR-ESI-MS). Isolated compounds (1 - 12) were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on NO production in LPS-activated murine microglial BV-2 cells and their effects on NGF secretion from C6 glioma cells. Compounds 3, 7, and 10 reduced NO levels in LPS-activated murine microglial cells with $IC_{50}$ values of 26.89, 25.59, and $44.21{\mu}M$, respectively. Compounds 1, 5, and 9 upregulated NGF secretion to $153.09{\pm}4.66$, $156.88{\pm}8.86$, and $157.34{\pm}3.30%$,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