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7초

국립부산과학관 전시물과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분석 - 핵심역량과 3~6학년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Exhibitions in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Key Competencies and the 3rd-6th Grades -)

  • 정해련;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4호
    • /
    • pp.352-362
    • /
    • 2018
  •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ducational innovation focusing on the key competencies is occurring in the whole world. In September 2015, the Ministry of Education suggested six key competencies such as self-management competency,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aesthetic sensibility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community competency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lso, this era requires for diverse lessons like subject integrated/converged lesson and intramural/extramural education.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analyze exhibitions of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as extramural educational institute and to relate betwe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xhibitions of science museum. First, the exhibitions of permanent exhibition hall in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were researched/analyzed. It analyzed the current status, display type, and explained contents of exhibitions. Second, it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contents of the exhibition and key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r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3rd and 6th grade related to the selected exhibition contents was analyzed. The analysis on the exhibition contents performed by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follow-up researches connected to exhibitions of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국립부산과학관 천문교육과 행사 (Astronomy Education and Public Events of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 박혁;최준영
    • 천문학회보
    • /
    • 제41권2호
    • /
    • pp.45.3-45.3
    • /
    • 2016
  • 2015년 12월에 개관한 국립부산과학관은 동남권 유일의 종합과학관으로 천문교육을 위한 천체관측소와 천체투영관을 보유하고 있다. 천체관측소에는 국내 최대규모의 구경 350mm 굴절망원경을 포함 다양한 천체관측 및 교육장비를 갖추고 있고, 천체투영관에는 디지털식 투영기와 직경 17m의 돔스크린, 133석 규모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천문시설은 일반개인관람, 학교단체교육, 학교 및 가족이 참여하는 1박 2일 캠프프로그램, 천문행사 등에 활용되고 있다. 개관 1주년을 바라보고 있는 시점에서 지속적인 천문 교육수요 창출을 위해 보다 효율적인 운영방법모색 및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2021년 부산에서 개최되는 제31차 국제천문연맹총회(IAUGA)에서의 국립부산과학관의 역할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이번 발표에서는 국립부산과학관의 천문시설의 활용 현황을 소개하고 타 기관의 우수 사례를 공유하여 국립부산과학관 뿐만 아니라 전국 천문교육의 지속적인 발전 방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과학관 전시체험관에 대한 관람자 행동유형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al patterns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exhibition in science museum)

  • 박혜정;이석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5-195
    • /
    • 2013
  •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various exhibition in Ulsan Museum of Science which was opened in March 2011 and found out the connec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its curriculum. In addition, this study has pointed out how visitors' behavioral patterns chang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The Study has also examined the visitors'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facilities and environment of the museum and aimed to seek ways to revitalize and improve the general conditions of exhibition rooms which is essential for Ulsan Museum of Scienc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form exhibition showed that 31.7% were in a passive form and the other 68.2% were in active form which was 43 out of 63 exhibition. After analyzing the visitors behavioral patterns, the majority of exhibition with higher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were active-type exhibition and especially the experience-type exhibition takes the large portion. Based on the survey, we found out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present high expectations of pleasure through active experience. They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s on the number of exhibition, guide facilities, inside temperature and accessibility of Ulsan Museum of Science.

생태 박물관 전시물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영재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the Communication on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ith Gifted Students)

  • 이용섭;김순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283-1291
    • /
    • 2010
  •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applicable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For this study, we chose 60 gifted students attending U Institut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classified these students into two groups, then applied newly developed program to the 30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nd applied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o the 30 comparative group students. Below are the study result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as much effective in increas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gifted students as compared to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eco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as much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willingness to environmental act for gifted students as compared to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ird, the satisfaction of the gifted students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as higher than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6.25 전쟁기 국립박물관 소장품의 국외반출 과정에 대한 신고찰 (Reevaluating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Evacuation and Exhibition Projects in the 1950s)

  • 김현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198-216
    • /
    • 2024
  • 1950년대 국립박물관의 대표적 성과는 6.25전쟁기 소장품의 부산 피난과 1957년 미국순회전시인 '한국국보전'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이 두 사건을 개별적 사안으로 다루었다. 하지만 최근 새로운 사료들이 발굴되면서, 이 두 사건은 1950년대 국립박물관을 관통하는 하나의 사안이라는 점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도 두 사건이 어떤 전개 과정을 통해 하나의 사안으로 이어지는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국립박물관의 피난을 1950년 12월부터 1951년 5월 사이에 단행된 4차례의 소장품 이전으로만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부산 피난은 국립박물관 전체 피난사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부산 피난 이후 전개된 미국 본토로의 반출 계획과 뒤이은 하와이 호놀룰루로 반출 추진이 문화재 피난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1950년 12월의 부산 피난은 중국군 개입으로 인한 긴급대피이면서 미국으로 이송하기 위한 선행 조치였다. 부산 도착 직후 미국반출 논의가 상당히 진척되었으나, 미국 정부의 반대로 중단되었다. 그렇지만 1951년 3월부터는 미국 본토가 아닌 하와이 호놀룰루로 반출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피난 문화재의 국외 반출 문제는 종결이 아니라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정부가 하와이의 사립 기관인 호놀룰루미술관으로 피난 문화재 반출을 도모하면서부터 문화재 피난의 성격은 모호해졌다. 처음에는 피난 문화재 전량을 호놀룰루미술관에 보관 즉 소개(疏開)하려 했다. 그러나 여론의 거센 반대에 부딪히게 되자, 소개 개념을 완전히 제거하고 국가 홍보를 위한 미국 순회전시로 반출목적을 변경해가며 3차례에 걸쳐 국회에 동의를 요청했다. 정부는 호놀룰루미술관으로 반출이 '국보파동'이라는 비난을 들으면서도 중단하지 않았다. 그런데 어렵게 국회의 승인을 받은 이후 문화재 국외 반출 성격이 급변하였다. 그동안은 문화재 국외 반출 문제의 중심에는 늘 호놀룰루미술관장 그리핑이 있었다. 그런데 제 3차 국회동의요청안이 통과된 피난 문화재 국외반출은 그리핑이 아닌 미 국무부가 주도하는 미국의 대한문화정책 차원에서 전개되었다. 이때부터는 국외반출의 목적에서 '소개' 개념이 완전히 지워지고 오로지 전시로서 개념화된 것이다. 그 결과가 바로 1957년 개최된 한국국보전이었다. 지금까지는 호놀룰루로의 반출문제가 거의 연구되지 않아 1950년 부산 피난과 1957년 한국국보전 사이에는 오랜 시간적 공백 혹은 단절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래서 두 사건은 마치 별개의 사건으로 인식되어 왔다. 호놀룰루로 반출 문제는 국립박물관의 문화재 피난사 전모를 보여주는 사건이면서, 국립박물관의 부산 피난이 한국국보전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핵심 내용이다.

조선시대 복전총통의 구조와 재료적 특징 (The Structural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Bogjeon Chongtong from the Joseon Dynasty)

  • 이지현;허일권;문지은;신수정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30권
    • /
    • pp.101-126
    • /
    • 2023
  • 조선시대 복전총통은 문헌 기록이 없고 비교적 근래 실물로 알려진 총통이다. 그간 상세하게 언급되지 못했던 복전총통 12점의 제원, 형태, 명문, 성분 등을 비교하여 복전총통의 구조와 재료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복전총통은 제원과 형태에 있어 일정한 규격을 가지고 있었고, 제원과 문헌자료를 비교하여 발사체의 수도 추정하였다. 모병부에는 총통 명칭과 함께 외곽선이 양각으로 새겨져 있는데, 명문 외곽선은 다른 총통에서 볼 수 없는 복전총통의 가장 큰 특징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제작 과정 속 시문 원리도 살펴보았다. 한편 복전총통의 재료는 구리와 주석이 주성분이며 주석의 함량은 6wt%였다. 기 조사된 조선 청동 화약 무기의 평균 성분과 매우 유사하며, 중세 유럽의 청동 화포(Gun-metal)와도 유사한 경향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화약 무기에 필요한 재료적 특성을 고려한 결과로 총통 재료는 합금 비율에 따른 기능을 우선한다고 볼 수 있다.

Sr 동위원소비를 이용한 한반도 흑요석의 분류 연구 (Classification of Obsidian Artifact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Sr isotope ratio)

  • 조남철;강형태;정광용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268-271
    • /
    • 2005
  • Sixty-four obsidian artifact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characterised by a study of their minor elements and Sr isotope ratio. The artifacts are from the following locations: Yondaedo Island; Yokjido Island; Sangnodaedo Island, Tongyeong, Gyeongnam; Dongsamdong, Busan; Songdo Island, Yeosu, Jeonnam; Suyanggae, Danyang, Chungbuk; Sangmuyongri, Yanggu, Gangwondo; Paektusan Mountain; Kyushu region, Japan. The study of minor elements and Sr isotope ratio recognised three distinct major group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are no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groups whose provenances are different. But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using Sr isotope ratio, obsidian artifacts fou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classified two groups within C group. This research will furnish scientific datum to be able to mutual comparison of obsidians excavated from other site.

  • PDF

해양동물 보전을 위한 서식지외 보전기관에 대한 대중의 인식조사에 관한 연구 - 국립해양박물관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Public Perception of the Ex-suit Conservation Institution for Conserving Marine Animals: Case of the Korea National Maritime Museum)

  • 이범석;권석재;김태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475-482
    • /
    • 2019
  • 해양에 대한 인간의 이용과 활동의 증가는 해양오염, 해양생태계 및 서식지 파괴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 특히 생애주기가 길고 개체수가 적은 해양동물은 멸종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정부는 2010년부터 수족관이나 해양박물관과 같이 인공적인 서식장소 11개를 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지정하여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생물들을 보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생물의 보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식지외 보전기관에 대한 중요성과 그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해양동물의 보호와 증식을 위한 관리방안인 서식지외 보전기관의 운영정책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정량적 지지도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푸른바다거북의 보전을 위해 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운영되고 국립해양박물관의 해양동물 보전역할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서식지외 보전기관과 같은 비시장재인 공공재에 대한 대표적인 가치추정법인 조건부가치추정법을 적용하여 추정된 서식지외 보전기관(국립해양박물관)의 경제적 가치는 약 418억원에서 최대 약 781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해양동물관리 정책자들에게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동물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 updated list of mosses of Korea

  • Kim, Wonhee;Higuchi, Masanobu;Yamaguchi, Tomi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4호
    • /
    • pp.377-412
    • /
    • 2020
  • Cardot(1904) first reported 98 Korean mosses, which were collected from Busan, Gangwon Province, Mokpo, Seoul, Wonsan and Pyongyang by Father Faurie in 1901. Thirty-four of these species were new species to the world. However, eight of these species have been not listed to the moss checklist of Korea before this study. Thus, this study complies the literature including Korean mosses, and lists all the species there. As the result, the moss list of Korea is updated as including 775 taxa (728 species, 7 subspecies, 38 varieties, 2 forma) arranged into 56 families and 250 genera. This list include species that have been newly recorded since 1980. Brachythecium is the largest genus in Korea, and Fissidens, Sphagnum, Dicranum and Entodon are relatively large. Additionally, this study cites specimens collected from Jeju Island, Samcheok, Gangwon Province, and Socheong Island,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distribution of 338 species in Korea.

A SUPER-JUPITER MICROLENS PLANET CHARACTERIZED BY HIGH-CADENCE KMTNET MICROLENSING SURVEY OBSERVATIONS OF OGLE-2015-BLG-0954

  • SHIN, I.-G.;RYU, Y.-H.;UDALSKI, A.;ALBROW, M.;CHA, S.-M.;CHOI, J.-Y.;CHUNG, S.-J.;HAN, C.;HWANG, K.-H.;JUNG, Y.K.;KIM, D.-J.;KIM, S.-L.;LEE, C.-U.;LEE, Y.;PARK, B.-G.;PARK, H.;POGGE, R.W.;YEE, J.C.;PIETRUKOWICZ, P.;MROZ, P.;KOZLOWSKI, S.;POLESKI, R.;SKOWRON, J.;SOSZYNSKI, I.;SZYMANSKI, M.K.;ULACZYK, K.;WYRZYKOWSKI, L.;PAWLAK, M.;GOULD, A.
    • 천문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73-81
    • /
    • 2016
  • We report the characterization of a massive (mp = 3.9±1.4Mjup) microlensing planet (OGLE-2015-BLG-0954Lb) orbiting an M dwarf host (M = 0.33 ± 0.12M) at a distance toward the Galactic bulge of $0.6^{+0.4}_{-0.2}kpc$, which is extremely nearby by microlensing standards. The planet-host projected separation is a⊥ ~ 1.2AU. The characterization was made possible by the wide-field (4 deg2) high cadence (Γ = 6 hr–1) monitoring of the 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KMTNet), which had two of its three telescopes in commissioning operations at the time of the planetary anomaly. The source crossing time t* = 16 min is among the shortest ever published. The high-cadence, wide-field observations that are the hallmark of KMTNet are the only way to routinely capture such short crossings. High-cadence resolution of short caustic crossings will preferentially lead to mass and distance measurements for the lens. This is because the short crossing time typically implies a nearby lens, which enables the measurement of additional effects (bright lens and/or microlens parallax). When combined with the measured crossing time, these effects can yield planet/host masses and d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