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ructural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Bogjeon Chongtong from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복전총통의 구조와 재료적 특징

  • Received : 2023.10.05
  • Accepted : 2023.11.21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Bogjeon chongtong, a military firearm from the Joseon Dynasty, remains undocumented with extant ones only discovered relatively recently.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bogjeon chongtong by comparing the specifications, shapes, inscriptions, and components of 12 pieces of bogjeon chongtong, which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to date. Bogjeon chongtong has certain set properties in terms of its specifications and shapes. This study also estimated the number of projectiles fired at once by comparing the specifications and records. In terms of design, the handle slot has an outline engraved in relief along with the name of the artifact. The inscribed outline is the most notable feature of the bogjeon chongtong that is not seen in other chongtong artifac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nscription techniques used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main ingredients of bogjeon chongtong are copper and tin, with a tin content of 6wt%. It was confirmed that this is highly similar to the average composition of bronze gunpowder weapons of the Joseon Dynasty as identified in prior research, and that it is also similar to the bronze gunmetal of medieval Europe. These conclusions were drawn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properties required for gunpowder weapons, which allows the inference that the materials used for firearms were selected by prioritizing functionality based on the alloy ratio.

조선시대 복전총통은 문헌 기록이 없고 비교적 근래 실물로 알려진 총통이다. 그간 상세하게 언급되지 못했던 복전총통 12점의 제원, 형태, 명문, 성분 등을 비교하여 복전총통의 구조와 재료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복전총통은 제원과 형태에 있어 일정한 규격을 가지고 있었고, 제원과 문헌자료를 비교하여 발사체의 수도 추정하였다. 모병부에는 총통 명칭과 함께 외곽선이 양각으로 새겨져 있는데, 명문 외곽선은 다른 총통에서 볼 수 없는 복전총통의 가장 큰 특징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제작 과정 속 시문 원리도 살펴보았다. 한편 복전총통의 재료는 구리와 주석이 주성분이며 주석의 함량은 6wt%였다. 기 조사된 조선 청동 화약 무기의 평균 성분과 매우 유사하며, 중세 유럽의 청동 화포(Gun-metal)와도 유사한 경향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화약 무기에 필요한 재료적 특성을 고려한 결과로 총통 재료는 합금 비율에 따른 기능을 우선한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Joseph Needham,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5 Chemistry and Chemical Technology; The Gunpowder Ep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86).
  2. 박재광, 화염조선:전통 비밀병기의 과학적 재발견, p19, 글항아리, 파주, (2009).
  3. 최보배, 이혜진, 김명훈, 정현진, 조선시대 금속제 탄환의 특징과 제작기법 검토, 박물관보존과학 28, p66, (2022).
  4. 국립진주박관, 조선무기 조사연구보고서I: 소형화약무기, 진주, (2020).
  5. 서윤희, 문헌 기록과 명문으로 본 14~16세기 소형총통류의 전개, p392-404, 조선무기 조사연구보고서I: 소형화약무기, 국립진주박물관, 진주, (2019).
  6. 허일권, 조선 청동제 소형 총통의 제작 기술,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7. 「세종실록」72권, 세종 18년 6월 6일(신축).
  8. 「국조오례의」 「병기도설」.
  9.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도량형, p10-27,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1997).
  10. 「문종실록」4권, 문종 즉위년 10월 5일(을해).
  11. 허일권, 김해솔, 조선시대 중완구의 제작 기술, 박물관보존과학 26, p161-182, (2021).
  12. 宋應星, 최주 역자, 천공개물, 전통문화사, 서울, (1997).
  13. 李圭景, 강신엽 역자, 조선의 무기I 훈국신조군기도설.훈국신조기계도설, 봉명, 서울, (2004).
  14. 李圭景, 최주 역자, 오주서종박물고변(五洲書種博物考辨), 학연문화사, 서울, (2008).
  15. 「세종실록」119권, 세종 30년 무진(1448)2월 10일(병인).
  16. Gordon R. Gilmore, Barbara S. Ottaway, Micro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Elements in Copper-based Metal Artifact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7(3), p241-254, (1980). https://doi.org/10.1016/S0305-4403(80)80027-6
  17. Helena Forshell, Bronze cannon analysis: alloy composition related to corrosion picture, Armemuseum, Stockholm, (1984).
  18. 강대일, 김선덕, 황진주, 안희균, 임선기, 麗川 海底 引揚 銃筒의 科學的 硏究, 보존과학연구 15, 국립문화재연구소, (1994).
  19. 이재성.백승희, 군기시터 유적 출토 금속 화기류 제작 기술 분석, 서울 군기시터 유적(본문), 한강문화재연구원, 서울, (2011).
  20. 이재성.백승희, 임진왜란기 화약 무기의 제작기술 검토-성분분석 및 미세조직 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고문화 82, p135-155, (2013).
  21. 황진주, 우리나라 청동문화재의 주성분 조성분포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2. 유혜선,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의 성분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 종합 조사연구,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서울, (2009).
  23. 허일권, 안송이, 선림원종의 재료 성분, 국립춘천박물관 소장품 조사연구보고서1: 선림원종.염거화상탑지, p70-79, 국립춘천박물관, 춘천, (2014).
  24. David A. Scott, Metallography and Microstructure of Ancient and Historic Metals,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L.A., (1991).
  25. 서윤희, 조선시대 소형총통의 명문 유형과 특징, 동원학술논문집 22, p80-84. (2021).
  26. 조수연, 문희권, 주조응고학(개정2판), 구민사, 서울, (2018).
  27. D. M. Stefanescu, AMS, ASM Handbook Volume 15: Casting(9th Edition), ASM International, (1988).
  28.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기류-, 2003년도 국립민속박물관 학술용역보고서, 국립민속박물관, p243, (2003).
  29. 한울문화재연구원, 발굴조사보고-서울세종로구역 2지구 유적, p461-462,72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