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d Community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2초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콘텐츠 특성, 동일시, 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ntent Trait, Identification, Loyalty on Online Brand Community)

  • 이종호;옥정원;윤대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85-396
    • /
    • 2011
  •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콘텐츠 동일시에 대한 개념적인 정의를 통해서, 콘텐츠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대학생을 상대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SPSS 14.0과 LISREL 8.3을 통해 가설검증을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품질은 콘텐츠 동일시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력성은 콘텐츠 동일시와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사성은 콘텐츠 동일시와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친밀감 또한 콘텐츠 동일시와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콘텐츠 동일시가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에 여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콘텐츠 동일시와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는 구매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방문 충성도를 통해 구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들 온라인 브랜드커뮤니티에 대한 동일시에 대해 연구한 반면에, 본 연구는 콘텐츠 특성에 따른 동일시의 차원을 콘텐츠 동일시와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로 세분화 하여 살펴 보았기 때문에 브랜드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기업에게 보다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고 판단된다.

확장된 TAM을 이용한 인터넷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 품질 특성과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tention of Usage on Internet Brand Community Site by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안운석;장형섭;오종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8권2호
    • /
    • pp.69-94
    • /
    • 2009
  • 본 연구는 인터넷 브랜드 커뮤니티 품질특성과 확장된 기술수용모형 변수 그리고 커뮤니티 방문자의 이용의도에 대한 전반적인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 이용자 행동 고찰과 브랜드 커뮤니티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의 검토후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브랜드 커뮤니티 이용자의 이용의도를 높이기 위해 브랜드 커뮤니티 품질 특성인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 정보품질에 대한 관리에 힘써야 한다. 특히 브랜드 커뮤니티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이용용이성, 유용성, 플로우, 즐거움, 사회적 상호작용성에 전체적으로 서비스품질과 정보품질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시스템품질의 개선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제공 서비스 개선과 정보의 정확성, 최신 정보의 제공에 보다 전략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이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적 측면과 관련 콘텐츠의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커뮤니티 이용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사회적 상호작용성과 플로우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 이용자와 운영자 모두에게 중요한 변수이다.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 간의 교류를 통해 그 활동에 빠져들게 되고 그로 인해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의 이용에 대한 태도가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두 변수의 효과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Impact of Consumer Ethnocentrism on Reasoned Action and Brand Equity: Empirical Evidence from Local Fashion Brands in Vietnam

  • VO, Minh Sang;NGUYEN, Mai Tran;LE, Tuong Vi;NGUYEN, Gia Bao;HO, My Duyen;PHAM, Thi Phuong Tha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5호
    • /
    • pp.87-98
    • /
    • 2022
  • Purpose: The 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consumer ethnocentrism on reasoned action and brand equity on Generation Z in Vietna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quantitative study was undertaken on 302 Generation Z members. The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using a Google Form-based questionnaire from December 2021 to January 2022.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among the data analysis techniques employed. The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 ethnocentrism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reasoned action (subjective norms and attitude toward domestic goods) as well as an indirect positive impact on brand equity, including brand awareness, brand quality, and brand image. Major finding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governments should continue to push propaganda and advocacy programs, call for national pride and encourage home consumers to support and use domestic goods. Domestic brands must strengthen their ties to the community and invest in community-oriented programs that promote domestic consumption. Vietnam's domestic fashion brands need to promote the exploitation of community-oriented and nationalistic content to call on domestic consumers to support them to consume domestic brands.

Customer Loyalty on Household Consumer Goods Distribution: A Survey among the Asian Parent Indonesia Community

  • NURAINY, Yeany;HIDAYAT, Z.;NANI, Robby Marcelinus;APRILINA, Riezca Kartika Dara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4호
    • /
    • pp.9-19
    • /
    • 2022
  • Purpose: Mothers determines all household requirements and decides almost all their related th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veral independent variables on customer loyalty among mothers in The Asian Parents Indonesia commun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advertising on Instagram, brand image, word-of-mouth, community cohesiveness, while the dependent variable is purchasing decis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quantitative study uses a survey method for the Asian Parents Indonesia community members, listed on its website. The population of this community was recorded at 1,310, with a sample of 135 respondents. Data processing is don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mart-PLS software. Results: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purchasing decisions and customer loyalty are word-of-mouth,summarized in a testimony, advertising on Instagram, and brand image. However, community cohesiveness does not affect customer loyalty to a bran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test propos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aby toiletries producers and customers through word-of-mouth testimonials and advertisements on Instagram while community cohesiveness in maintaining customer loyalty using a brand is not influential, but interactions that occur within the community become a reference for mothers to choose a baby toiletries product.

통합적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역할 (A Study on the role of Online Brand Community as an IMC Tool)

  • 강용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123-142
    • /
    • 2010
  • 온라인 브랜드커뮤니티는 그 내부에 광고, PR, 판매촉진, 판매촉진, 구전, 다이렉트마케팅을 다 담을 수 있는 중요한 마케팅 수단이다. 온라인 브랜드커뮤니티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가 어떻게 브랜드 충성도를 가져오는지를 직접적으로 연구한 것은 많지 않은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다양한 촉진도구로써의 특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메카니즘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몇 가지 중요한 실무적,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광고 유용성은 소비자의 긍정적인 감정(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하고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내에서 소비자 간의 구전에 대한 신뢰는 커뮤니티에 대한 충성도 및 브랜드 신뢰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었다. 특히 구전에 대한 신뢰는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체험지각과 거의 비슷한 강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브랜드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다른 소비자의 구전을 유도하고 보상하는 제도를 통해서 커뮤니티 충성도를 높이고 나아가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심을 수 있는 온라인 촉진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결국,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는 소비자의 긍정적인 체험지각을 통해 그리고 신뢰있는 구전을 통해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IMC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이 만족도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F1963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Brand Asset of Complex Cultural Space on Satisfaction Levels and Community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F1963 as a Subject)

  • 이찬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41-352
    • /
    • 2019
  • 최근 지역적으로 문화 사업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문화예술을 제공받을 수 있는 공간 또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에 소재하는 F1963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인식, 브랜드 품질에 대한 자각, 충성도 4가지 브랜드 자산 요인이 고객의 만족도와 지역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과 지역발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이 매개 효과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이용객들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이 있었다. 또한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지역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나타났다. 이용객들이 복합문화공간에서 얻은 만족감은 복합문화공간 자체가 가지는 브랜드 자산이 지역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 효과를 한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복합문화공간이 지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면서 지역사회 및 지자체에서는 문화예술 활동의 다양성을 통해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화를 할 필요가 있다.

Research on Brand Value Dimensions of Employers: Based on Online Reviews by the Employees

  • XU, Me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10호
    • /
    • pp.215-225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employees' online reviews, conducts in-depth text topic mining, effectively summarizes the dimensions of employer brand value, and seeks effective ways to build employer brands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his study employs samples of employer reviews, filter keywords according to word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builds a review network containing the same keywords, explore the community and summarize the theme dimensions. Simultaneously, it makes a dynamic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employer brand value dimension of different industries and enterprises. The study shows that the community exploration theme can be summarized into 11 dimensions of employer brand value, and the dimensions of employer brand valu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industries and among different enterprises within the industry. The attention to the employer brand value dimension has a significant time change. Various industries pay increasing attention to the dimension of work intensity and career development, while employers pay steady attention to the dimension of welfare benefi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eking the heterogeneity of employer brand resources from the multi-dimensional differences and changes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in the human capital market.

국외 항공사의 브랜드 개성이 서비스체험 만족도, 가격가치 만족도,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rand Personality on Service Experience Satisfaction, Price Valu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 서인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9-12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brand personality of foreign airlines and analyze which brand personality best influences service experience satisfaction, price-value satisfaction, and reusing intention. Moreover, it attempts to determin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service experience satisfaction, price-value satisfaction, and reusing intention according to brand personalit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621 consumers; of these, 1500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factor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brand personality, and three factors were identified: confidence/competence, sophistication, and dynamic. Second,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a brand personality has on service experience satisfaction, price-value satisfaction, and reusing intention. The confidence/competence of a brand personality showed the greatest influence on service experience satisfaction, price-value satisfaction, and reusing intention. Also, price sensitivity satisfaction had the greatest impact on reusing intentions.

Impact of Brand-Name Fast Food Service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School Lunch

  • Yoon, Ji-Hyun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7권4호
    • /
    • pp.201-20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offering brand-name fast food at schools on student participation in school lunch.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Indiana, USA. In the first study, daily participation rate of 42 Indiana schools were compared between the days when brand-name fast food were offered and when they were not offered. The impact of brand-name fast food service on school lunch particip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s of service offering brand-name fast food. Offering brand-name fast food solely as part of reimbursable meals or a-la-carte items was shown to induce students to the lunch option where brand-name fast food was offered. The second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brand-name fast food service to monthly participation rate by analyzing secondary data of 1,282 Indiana school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fering brand-name fast food was associated with monthly participation rate in school lunch only when schools offered them solely a-la-carte. Based on the results of two studies, it was concluded that offering brand-name fast food induced students from other lunch options to the options where brand-name fast food was offered on the day of service. However, increased or decreased participation in school lunch only on a few days could have not impacted average school lunch participation over a month. It is recommended that schools planning to offer brand-name fast food should make it available as part of reimbursable school lunches so that usual school lunch eaters would not be distracted to a-la-carte lines. (J Community Nutrition 7(4): $201\~206$, 2005)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어플리케이션 특성 요인에 관한 분석 : 백화점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Trait Factors of Smartphone Application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a Brand Image : Focusing on Department Store Applications)

  • 김예리;장은지;최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02-111
    • /
    • 2011
  • 본 논문은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어플리케이션 특성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백화점 브랜드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만족도와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콘텐츠, 사용용이성, 커뮤니티의 특성이 어플리케이션 사용만족도와 브랜드 이미지 향상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백화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본 스마트폰 사용자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통계 분석은 PLS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어플리케이션의 디자인과 콘텐츠는 만족도와 브랜드 이미지 향상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용용이성은 영향 요인으로 도출되지 않았다. 또한 커뮤니티 특성은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브랜드 이미지 향상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어플리케이션의 만족도 또한 브랜드 이미지 향상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