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bliotherapy Study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9초

독서요법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정립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f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in Establishing Ego-Ident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 이희정;박옥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1-351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생 중 자아정체감이 가장 많이 발달하는 시기에 있는 대학생들에게 독서요법을 실시하여 자아정체감 정립에 독서가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대학생들에게 독서요법이 자아정체감 정립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았으며 둘째, 대학도서관에서 적극적인 참고봉사의 하나로서 독서지도가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 PDF

초등고학년의 독서부진아에 대한 독서치료 사례연구 (A Study of Bibliotherapy for the 'Low-reading achiever' on Reading Attitude in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 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03-318
    • /
    • 2003
  • 독서부진 즉 읽기를 통한 학습 부진의 요인은 신체적요인, 인지적 요인, 정의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고학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특징, 그들이 갖고 있는 스트레스, 독서지도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업성취도는 높으나 읽기부진으로 정독하지 못하고 자아중심적인 초등고학년 아동을 위한 독서치료 사례를 제시하였다.

독서치료프로그램 운영 사례 - 울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Operation on the Bibliotherapy Program: A Case Study of Public Libraries in Ulsan)

  • 김순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1-181
    • /
    • 2006
  • 이 연구는 울산지역 공공도서관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과 내용, 참여자의 반응, 문제점 등을 고찰하였으며, 단위 도서관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특히, 도서관 중심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유형은 사람의 상처와 아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참여자들이 직접 치유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체험형'을 강조하였다.

이용자의 인식과 요구를 통해 본 공공도서관 독서치료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Ways to Revitalize Bibliotherapy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User Perception and Need)

  • 김경숙;송정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49-37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울산, 경남 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 6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독서치료에 대한 인식, 공공도서관 독서치료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과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 비용, 환경과 공간, 홍보, 사서와 이용자, 적시성 측면에서 공공도서관 독서치료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생 행복지수 제고를 위한 독서치료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Bibliotherapy to Enhance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 이승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91-4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한 후에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1) 새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행복지수를 제고할 수 있었다. 세부적 요소별로 살펴보면 삶의 만족도 제고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 긍정적 감정 빈도의 제고는 비교적 힘든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감정 빈도의 감소 효과가 가장 확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행복지수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에 대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영향은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3) 종교 및 영성 자료에 대한 반응은 사람마다 편차가 상대적으로 크다.

중년여성들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집단 독서치료 (Group Bibliotherapy for Improving the Self-esteem of Middle-aged Women)

  • 이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09-132
    • /
    • 2017
  • 본 연구는 집단독서치료가 중년여성들의 자존감 향상에 초래하는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현상학적 방법인 Giorgi 연구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중년 후기 여성 6명을 대상으로 12회에 걸친 독서치료를 실시하고, 녹음파일 속의 참여자의 진술을 221개의 의미단위, 16개의 하위상황/주제, 6개 상황/주제, 3개의 그룹으로 분석 통합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가족 관계의 어려움으로 신경증적 증상을 경험하였으나 독서치료 경험 후 자존감, 가족, 인생관에 대한 태도가 변화되었다. 참여자간의 상호작용과 독서치료의 매개체인 그림책은 참여자들의 경험을 표현하는데 긍정적인 정서적, 심리적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중년여성들의 종교생활 참여는 마음의 상처 치유에 큰 역할을 했음을 발견하였다.

근거이론을 적용한 집단독서치료 참여자들의 변화경험과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hanges Experienced and Processes of the Participants in Group Bibliotherapy by Grounded Theory)

  • 박명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63-488
    • /
    • 2014
  • 본 연구는 집단독서치료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변화경험과 과정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료지명방법에 의해 가장 유능한 독서치료 전문가로 선정된 2인이 운영한 집단에 집단원으로 참여한 성인 14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독서치료 참여자들의 경험을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집단독서치료의 변화경험과 과정을 밝힘으로써 집단독서치료의 실체를 이해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bliotherapy Program's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a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Degree)

  • 이상애;조현양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1-12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 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정도와 발달적 집단적 접근으로서 청소년들에게 얼마나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는가를 파악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W중학교 2학년생 20명을 대상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60분씩 11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검사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시되었다. 각 집단 간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의 차이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증분석이 사용되었으며, 또한 사후점수에 대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공분산분석이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어교과서에 기초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ibliotherapy Program Based upon Literature Uni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on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 이희영;이정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43-5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bibliotherapy program based upon literature uni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o test it's effect on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Sixty-nin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rty-four studen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irty-five ones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Subjects completed Self-Esteem Inventory.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test and ANCOVA. The results of the analyses revealed that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elf-esteem than ones of control group. Based upon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bibliotherapy program based upon literature uni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독서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 Stress Cop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최선옥;한윤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23-248
    • /
    • 2006
  •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S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양식을 살펴보고. 독서치료를 통해 스트레스의 정도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양식을 이해하고 이들이 겪게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원만히 적응해 나가는 것을 돕기 위한 지도 방안으로서 독서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