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ginning childhood teache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초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e Competency of Beginning Childhood Teacher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Future Society)

  • 김옥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67-2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직 중인 주임교사, 원감, 원장 252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협업, 의사소통, 자기관리 및 개발, 직업윤리, 감성지능 등 5개 역량의 7개 하위역량이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기관에서 현장중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초임 유아교사의 유아관찰 평가의 실천과 반성 (Child Observation Assessment Practice and Reflections of a First-year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 양정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59-170
    • /
    • 2020
  • 유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직 입문 과정에서 초임 유아교사들은 충분한 배경지식이나 실제적 지도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하여 한 초임 유아교사가 '유아관찰평가'에 대한 신념과 실제를 반성적으로 바라보고 실천적으로 개선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실행연구의 순환과정을 통해 참여교사는 유아관찰평가에 대한 자신의 신념과 접근방식을 반성적으로 들여다봄으로 스스로를 성장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임 유아교사의 교직 입문을 지원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협력적 실행 연구의 적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아반 초임보육교사의 전문성지원 교사교육프로그램이 전문성 및 자아존중감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ism Support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Charge of Toddler Classes on Self-respect, Efficacy in Teaching and Professionalism)

  • 강은영;김진욱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74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i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supports professionalism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is effective in professionalism, self-respect, and efficacy in teaching.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0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teaching in day 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wangmyeong Gyeonggi-do.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20 teachers) and a comparative group (20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pplied to the SPSS 22.0 program. To find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an intergroup difference, ANCOVA was conducted in the way of setting a pre-test score as a covariat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professionalism, self-respect, and efficacy in teaching.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gram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to become experts in their field.

일반유아교사와 장애전담교사 간 협력교수 유형 적용을 통한 역할인식 (A Study of Teachers' Role Perception of Cooperation Teaching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Handicapped Children)

  • 황미진;서현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3-17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inclusion class in M Inclusion Day Care Center in Busan. Thirteen sessions of cooperation teaching were applied in the inclusion clas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kinds of change occurred in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role on both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during cooperation teachi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ould be suggested that various types of teaching strategies need to be introduced to both teachers from the beginning of inclusion so that the general teacher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could understand each others roles and tasks, share opinions and ideas about daily activities, and experience the roles of the other teacher.

영유아 기관에서의 TV·비디오시청과 교사인식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at Early Childhood All-day Program Setting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

  • 서영숙;천혜정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321-334
    • /
    • 2005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of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ll-day program setting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 through the survey of 452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is used as a whole group activity during transition period and/or waiting time activity for children who come earlier in the morning and remain late until closing time. It means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at early childhood settings is mainly used as a group baby sitter or pacifier. Daily viewing time is about 44.02 minute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 low recognition of their role in children's viewing habits. Young children's viewing patterns and time are differed by teachers' variables so that young children of beginning teachers at small size settings appear more viewing time. Teachers show more negative recognition of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on young children when they are older and have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longer education experience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more teachers have positive recognition on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the more young children are exposed to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in their classes.

  • PDF

예비유아교사의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경험의 의미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Career Portfolio Produc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유수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129-156
    • /
    • 2012
  •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에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을 적용해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들이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커리어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K대학 3학년 1학기에 재학 중이면서 교직실무 교과목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23명에게 적용되었으며 연구자는 자료수집을 위해 프로그램이 적용되는 9주 동안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 Coaching Professor 프로그램 지도 보고서, 소그룹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주제별 약호화의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8개 하위영역 즉, '시간의 흐름 지각하기', '흩어진 경험 모으기', '혼돈 속에서 나 찾아가기', '함께임을 인식하기', '심리적 안녕감 형성하기', '유아교사로서 나의 모습 그리기', '발전하는 나 설계하기', '세상으로 나아가기' 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참여가 예비유아교사들이유아교사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가치 있는 경험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나타난 초임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An Analysis of No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 김유경;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7-51
    • /
    • 2012
  • 본 논문은 세 명의 초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수학내용지식, 학생이해지식, 교수법에 대한 지식이라는 측면에서 상세히 분석하였다. A교사는 부진아였던 학생 시절의 영향을 받아 구체물을 통한 개념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고자 하였고, B교사는 수학자처럼 자신만의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해보는 탐구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였으며, C교사는 실생활 중심 수업을 하였다. 세 명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구현하려고 하는 수업의 형태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본 논문은 세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초임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2-year-ol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a Child Care Teacher and Peer Play Process)

  • 신동주;김소영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 과정을 사례 연구를 통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가정 어린이집을 다니는 4명의 만 2세 영아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한 영아들은 애착 Q-set를 통해 측정한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에서 안정애착과 불안정애착을 형성한 영아 각각 2명이었다. 본 연구는 2018년 4월 12일부터 7월 19일까지 36회에 걸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참여관찰을 하였다. 비디오 촬영 전사본, 교사 면담 전사본, 보육계획안, 현장 일지 등이 분석과 해석에 활용되었다. 보육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를 놀이의 흐름에 따라 시작 전개 마무리 과정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또래놀이의 시작에서 영아가 또래를 놀이에 초대할 때, 안정애착영아는 적합한 놀이 파트너를 선정 하거나 구체적인 놀이 행동을 요구하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즉흥적으로 놀이 파트너를 선정하거나 불분명하고 미숙하게 또래를 놀이에 초대하며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또래가 진행 중인 놀이에 들어가기에서 안정애착영아는 놀이 맥락을 파악하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놀이 맥락에 대한 파악 없이 진행 중인 놀이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개에서 안정애착영아는 상호보완적으로 협조를 하고 놀잇감을 공유하며 놀이를 진행하였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협조를 하기 보다는 자신의 의사만 표현하고 또래와 놀잇감을 공유하는 것을 어려워할 뿐 아니라 또래갈등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보육교사의 중재를 필요로 하였다. 또래놀이의 마무리에서 안정애착영아는 또래와 공동의 끝맺음을 보였으나, 불안정애착영아는 또래와 함께 마무리를 하지 못하고 또래와의 갈등으로 인해 또래놀이가 단절되거나 보육교사와의 놀이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일부 남자 고등학생의 흡연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Male High School Students' Smoking Patterns)

  • 이기영
    • 대한간호
    • /
    • 제36권5호
    • /
    • pp.91-100
    • /
    • 1998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moking patterns in high school student and to give student smoker effective information. The sample of 250 male highschool students out of two different schools in Tae-Jon was questioned from July 10th to 15th. 1995. In analyzing these date. the statistics shows the realities by means of number of stud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to 17 items as follows. Regarding the level of smoking. 140 students out of 250 admit that they have ever smoked. 52.1% of smoking students say that the motivation of beginning smoking is mainly curiosity. The survey shows that 22.9% of smoking students feel very good when smoking. It also shows that 30.0% of smoking students began smoking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With regard to the volume of smoking per day. 41.4% of smoking students smoke variably. 42.1% drink when smoking. 15.0% spend more than W 70.000 a month. About the question who knows the fact of their smoking. 51.5% answer that their friends know the fact of their smoking. In regard to the resaltionship between smoking and school per-formance. 18.2% of non smoking students make poor grades as compared with 40% of smoking students. 9.3% of smoking students say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chool life. but 35.7% of them are not satisfied. Regarding the attitude to smoking teachers. 35% of smoking students state that they are affected by them. 69.3% of smoking students say that they will stop smoking. while the remaining 30.7% say that they will keep smoking. The reason of 63.9% to stop smoking is that smoking is bad for the health. The reason of 46. 5% to keep smoking is the acquired habit of smoking. 97.2% know the fact that the major element of cigarettes is nicotine and it is very harmful to the health. 40.8% recognize the harmful effect of smoking by TV and radio programs. 97.2% know that smoking could cause lung cancer. From the above results. I propose as follows We should make specific plan to keep smoking by simple curiosity from being developed into habitual smoking. We should teach them how harmful smoking is and make them stop smoking by themselves. It is very essential for family members and teachers to give continuous interest since childhood. As the teacher affect the students very much, they should give up smoking first. The incidence of smoking should be identified in each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s. smoking prohibition programs relevant to each school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local community should ban cigarette vending machines. Cigarettes should not be sold to adolescents. By setting every place where adolescents gather including schools nonsmoking area. we should decrease their impulse to smoke. then smoking opportunities. and harmful effects to them caused by passive smoking.

  • PDF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유치원 아동의 음악소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ic activitics using audition on Music Aptitude development for Kindergarten Children)

  • 노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권1호
    • /
    • pp.11-32
    • /
    • 2004
  • 에드윈 고든(Edwin E. Gordon)에 의하면 음악소질은 선천적인 자질과 후천적인 환경이라는 두 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결정되며 만 9세 이전에는 환경의 영향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하여 환경이 좋으면 발달되고 환경이 나빠지면 수그러드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또한 9세 이후에는 환경의 영향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고정음악소질의 시기에 놓인다. 본 연구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경험하는 풍부한 음악적 교육환경의 제공시기가 이를수록, 또한 교육의 제공기간이 길수록 소질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더욱 크다는 음악학습이론의 가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템플 대학의 음악학습이론 수업을 모델로 하여 설립된 유아음악감수성계발프로그램 "오디"가 계발한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음악소질에 미치는 교육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교육은 매주 30분 씩 연구자와 연구자 외 1인의 협력교사가 함께 아이들을 가르치는 Co-teaching 형식으로 음악지도의 형태가 아닌 음악안내의 교육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다양한 조성, 가사 없는 선율노래와 리듬노래, Free-Flowing Movement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동작, 개별적 반응활동인 패턴학습 등 음악학습이론의 원칙이 지켜졌으며 대그룹 수업을 위하여 오디가 발전시킨 새로운 수업전개방식과 기술이 적용되었다. 실험집단은 각각 1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과 만 4세 때부터 2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으로서 두 집단 모두 만 5세 때 고든의 오디에이션기초평가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Gordon, 1979)을 사용하여 학년초, 중, 학년말 등 3회에 걸쳐 음악소질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오디의 활동을 5세 동안 1년 교육받은 실험집단 1의 음악소질검사결과를 4세부터 2년 동안 교육받은 실험집단 2의 음악소질검사와 비교할 때 음감소질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리듬소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오디의 활동을 교육받은 실험집단과 오디의 음악수업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의 학기초 음악소질검사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기말 검사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