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Career Portfolio Produc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Yoo, Soo Kyung (거제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8, no.5, 2012 , pp. 129-15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divers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a career portfolio production program. A career portfolio production program was implemented during a nine-week period of time, and data were gathere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in that process, which involved their journals, the report of their coaching professor and small- group interview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encod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their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categories: perceiving the flow of time, gathering scattered experiences, finding oneself amid chaos, being aware of being together, building psychological wellbeing, imagining one's own futur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mapping out one's future and making one's way to the world.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were reclassified into three stages: beginning, development and wrapping-up stages, in which there were two, four and two meanings respectively.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y were mostly cognizant of the meaning of their own experiences of producing career portfolio while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tep by step.
Keyword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career portfolio;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희명(2012).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인희, 정순목(1976). 한국 문화와 교육. 서울: 천풍문화사
3 김정랑, 최창훈(2012). 초등학생 진로의식성숙을 위한 e - 포트폴리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1), 143-150.
4 김헌수, 장기명, 이난(004).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질로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8(1), 261-278.
5 김정순(2006).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혜숙(2003). 교원 전문성과 질 개념 및 개선전략 탐색. 교육학연구, 41(2), 93-114.
7 류혜숙(2007).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유아교육 입문경험의 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박은미(2008).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관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학회, 12(4), 71-89.
9 박은혜(2009).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10 박중길, 정주혁(2010).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공동체 의식, 협력학습 및 내적동기와의 관계. 한국스포츠 심리학회지, 21(1), 49-67.
11 백순근(2000). 수행평가의 원리. 서울: 교육과학사.
12 신경숙(2009). 예비유아교사의 학과적응, 진로결정도 및 종교활동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교사교육연구, 48(2), 1-20.
13 신임선(2012). 커리어포트폴리오형 및 수업 중심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오영희, 이춘희, 김혜자, 이성세, 최미숙(2008).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2), 381-400.
15 오욱환(2010). 교사 전문성. 서울: 교육과학사
16 오채선(2011). 유아교육 보육정책 변화에 따른 유아교사 전문성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5), 249-277.
17 유수경(2010).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유수경(2011).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545-577.
19 유수경(2011).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23-252.
20 윤성혜(2006).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이병래, 김진호, 강정원(2005). 영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기준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방향 모색 - 영유아교사의 덕목에 관한 현직교사의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9(1), 53-79.
22 이용숙, 김영천(1999).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23 이종호, 김종운(2009).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진로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12(1), 1-15.
24 이태곤(2009). e - 커리어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5 최애경(2005). 커리어 e - 포트폴리오의 비서학 도입에 관한 연구. 비서학논총, 14(2), 105-123.
26 Anna G W, Karen J., H., Milton S.(2005). Creating Your Career Portfolio. New Jersey: Prentice Hall Press.
27 Diener, E., Emmon.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stin, 95, 542-575.   DOI
28 Deci, L E., & Ryan, M. R.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29 Irby, B. J., & Brown, G. (2000). The career Advancement Portfolio. California: Corwin Press.
30 Frank, S., & Dorsi, G. (2003). The Career Portfolio Workbook. New York: Mcgraw-Hill.
31 Lacey, C. A., & Merseth, K. (1983). Cases Hypermedia andcomputer networks: Three curricular innovations for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 543-551.
32 MeDowell, I., & Newell, C.(1990).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Oxford.
33 Ryan, M, R., & Deci, L. E. (2000). Self determination ab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well-being. American Pstchologist, 55, 68-78.   DOI
34 Overbaugh, R. (2004). An Overview of Jerome Bruner his Theory of Constructivism,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ECI 761.
35 Pierson, S. L. (1990). A comparison of two approaches to preparing preservice teachers to manage classroom : Generic vs. content specific. A thesi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36 Rovai, A. P. (2002). Development of an instnument to measure classroom community. Internet and Higler Education, 5, 197-211.   DOI   ScienceOn
37 Samders, S. (1986). Development of tool to Measure Subjective Time Experience. Nursing Reserach, 35(3), 178-182.
38 Schmiedinger, E., Wege, J., Brunner, I. (2007). Mit dem portfolio zum Schulprogram. Hohengehren: Schneider Verlag.
39 Wolf, K. (1991). The school Teacher's Portfolios : issues in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Phi Delta kappan, 73(2), 129- 136.
40 Wood, R. & Bandura, A. (1989). Social cognitive theory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cad Manage Rev. 14(3), 361-384.
41 Zeichner, K. Gore, J. (1990). Teacher socialization. In W. R. Houston(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ion, N.Y: Macmil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