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surveying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7초

공간데이터 구축의 공종분류체계 표준화 - 기본측량을 중심으로 - (Standardization of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Spatial Data Construction - Laying Stress on the Basic Surveying -)

  • 최병길;조광희;김성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9-7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데이터 구측의 공종분류체계를 표준화하는데 있다. 공종분류체계는 지리정보 구축시 발생되는 제반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기본틀이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수행되는 기본측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량 업체의 기본측량 실무공정과 국토지리정보원의 규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공간데이터 구축사업의 종류, 사업별 공종 및 공종별 성과물 체계를 표준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리정보 공종분류체계를 국가 표준에 반영하고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론으로 발전시킨다면, 지리정보 제작 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선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논문 목록 검색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및 국내 측량 관련 논문 목록의 최신화 (Study on Development of a Search Program for Surveying Related Papers in Korea and the Renewal of their List)

  • 김병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9-228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측량관련 논문과 저서의 제목을 조사하고 정리하여 기구축된 논문-저서 제목의 목록을 최신화하였으며, 이 논문-저서 제목 목록의 관리와 효율적인 검색을 위하여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그에 따른 측량관련 논문 전문 검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표된 측량관련 논문-저서는 총 971편이며 분야별로는 일반측량 206편, 사진측량 218편, 원격탐사 183편, 측지 및 GPS 127편 그리고 수치지형 및 GIS 237편이다. 측량관련 논문 전문 검색 프로그램은 윈도우즈 환경에서 운용될 수 있도록 Visual Basic 3.0 for Windows 3.1을 사용하여 개발하였으며, 구조적 질의어(SQL:Structured Query Language)를 이용하여 자료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지적재조사사업 측량 장비의 성능 기준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Standard of Surveying Equipments for Cadastral Re-survey Project)

  • 홍성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470-347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행 지적측량 관련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적측량에 대한 성과인정 범위와 적용 장비 규정, 관련 규정에서의 정확도와 적용 규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적측량의 성과인정 범위에 적합한 지적측량 장비의 성능 기준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적용 장비의 성능과 성과인정 범위에 대해 현행 법률과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규정의 비교를 통해 지적재조사사업시 장비의 성능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기초측량과 세부측량으로 구분하여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지적재조사사업을 위한 기본계획수립시 측량 장비 수급 계획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측량계산용 기본 소프트웨어의 개발 (Development of a Basic Software for Land-surveying Computations)

  • 김병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9-208
    • /
    • 1994
  • 측량에서의 기본적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작성하였다. 수평측량망과 수준망의 최소제곱법에 의한 조정을 주기능으로 하여, 트래버스와 교회법에 의한 각종 계산을 가능하게 하였다. 아울러 좌표변환의 기능도 포함하였다. 측점좌표와 관측치의 자료기반을 구축하여 소프트웨어 내에서의 자료의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한 편집의 기능도 구현하였다.

  • PDF

탄성파측양에 의한 지하저장시설의 지하구조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Underground Storage Cavern by Seismic Surveying)

  • 유복모;권현;김준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4-45
    • /
    • 1984
  • 국토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지하저장시설의 기초조동에 물리탐사방법중 탄성파측량을 이용하여 지하암반 조건을 규명하고 공동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반의 탄성파속도 및 저속도대의 분포를 분석하여 암반 연약대를 파악하므로써 지하시설물 설치의 타당성 결정에 한 기법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 PDF

웹기반의 공간데이터 구축공정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Spatial Data Construction)

  • 최병길;김성수;조광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3-7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의 공간데이터 구축공정 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본측량 공종을 표준화하고, 품질관리 요소를 정립하였다. 기본측량인 GPS에 의한 기준점 측량, 수준측량, 창공사진촬영, 수치지도제작, 지형도 제작, 수차표고자료 제작, 항공사진 DB 구축, 정사영상지도 제작 공정 및 공종분류체계를 표준화하였다. 또한 기본측량 사업별 성과품 및 품질검사 업무 현황과 성과품 유형별 품질검사 요소 및 데이터 포맷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세스 설계 단계를 거쳐 공정관리, 품질관리,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관리로 구성된 웹 기반의 공정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항만계획에 있어서 등대부지측량의 고찰 (Consideration of Surveying the Site for Lighthouse in Harbor Plan)

  • 장용구;이중우;강인준;이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25-233
    • /
    • 1999
  • Harbor design and construction plan in Korea becomes the most hot issue both in the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Office and in the related port industries. Production of the plane and cross section maps together with the profile map for harbor project is done firstly and is important in all procedure because it is the most basic datum in counting the constructional expense for determination of the area and capacity. As the expense assigned on surveying part among the total expenses of harbor planning and construction in Korea is very small, it is difficult to make exact maps. Moveover, because the method used to make such maps is mostly traditional surveying such as plane table surveying , offset surveying, stadia surveying and level surveying, etc, it is difficult to get precise three dimensional maps. Therefore, for making more precise map in the harbor project, we have to use the newest surveying equipment. This study discusses the method of old surveying and recent surveying used for the three dimensional map of the site for lighthouse which gives navigational aids for the in-and out-bound ships. The authors are proposing a method for more precise three dimensional positioning in this study.

지적측량 성과검사의 제도적 재선방안에 대한 연구 -성남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oposal for Systematic Development of the Inspection of Cadastral Surveying Value -the Case of Sungnam City-)

  • 김욱남;박희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3-138
    • /
    • 1998
  • 한국의 지적측량 성과검사는 지적법에 근거를 두고 시행되며 토지소유자나 국가의 신청에 의해 토지 이동 정리를 소관청이 최종 지적측량검사를 실시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지적공부 정리전 소관청은 측량성과를 검측해서 측량오차가 허용오차내에 있는가를 확인하여 그 범위내에 있을 때 그 결과치에 준해 지적공부를 정리할 의무를 갖는다. 본 연구는 성남시 3개구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해 연도별 토지이동상황을 조사 분석하고 소관청의 지적측랑 성과검사 현황과 지적측량 관련 인원 및 장비 현황을 분석해서 그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지적측량 검사시 효율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국가행정의 능률을 높이고자 한다.

  • PDF

Accuracy Analysis of Road Surveying and Construction Inspection of Underpass Section using Mobile Mapping System

  • Park, Joon Kyu;Um, Dae Yo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3-111
    • /
    • 2021
  • MMS (Mobile Mapping System) is being used for HD (High Definition) map construction because it enables fast and accurate data construction, and it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However, research on the use of MMS in the construction field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road surveying and inspection of construction structures were performed using MMS. Through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using MMS, point cloud data for the study site was created, and the accuracy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traditional surveying methods. The accuracy analysis results showed a maximum of 0.096m, 0.091m, and 0.093m in the X, Y, and H directions, respectively. Each RMSE was 0.012m, 0.015m, and 0.006m. These result satisfy the accuracy of topographic surveying in the general survey work regulation, indicating that construction surveying using MMS is possible. In addition, a 3D model was created using the design data for the underpass road, and the inspection was performed by comparing it with the MMS data. Through inspection results, deviations in construc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for the entire underground roadway. The traditional method takes 6 hours for the 4.5km section of the target area, but MMS can significantly shorten the data acquisition time to 0.5 hours. Accurate 3D data is essential data as basic data for future smart construction. With MMS, you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sites with fast data collection and accuracy.

RTK GPS에 의한 하천현황측량 (Hydrographic Surveying in River by RTK GPS)

  • 이석배;최보용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7-275
    • /
    • 2007
  • 오늘날 수자원관리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는 가운데 하천측량기술은 하천현황의 기본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술이다. 또한 GPS는 그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측지계를 기준으로 하는 시대에는 활용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GPS의 RTK측량방법을 이용하여 거창 황강에서 하천현황측량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존의 주요한 하천측량기술이었던 토탈스테이션에 의한 측량결과와 비교한 연구로, 횡단면도는 Hec-Ras 수문해석프로그램과 CAD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시간은 15.3%가 절감되고, 작업량은 42.5%가 늘어났으며, RTK측량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 실시여부의 표준오차는 2.1cm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천현황측량에 있어서 RTK GPS에 의한 측량방법이 토탈스테이션에 의한 방법보다 더욱 효율적인 측량방법이란 것을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