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Psychological Need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5초

일반운동애호가들의 기본심리욕구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eneral Exercise Enthusiast on Exercise Addiction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

  • 이승도;김영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51-26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운동애호가들의 기본심리욕구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생활체육을 하도록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0년 1월에 경남에 소재한 일반 운동애호가들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으로 표본 추출을 이용한 설문지로 시행하였다. 첫째,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실시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중독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의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중독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주일운동량에서 6일 참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는 운동중독(금단증세, 운동욕구, 감정적애착)에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모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는 운동중독(금단증세, 운동욕구, 감정적애착)에 높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업소진의 관계: 욕구지지적 교수행위와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perceived teacher's calling and academic burnout: Need-supportive teaching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s serial mediators)

  • 박상우;박희웅;이수란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3호
    • /
    • pp.399-423
    • /
    • 2021
  • 본 연구는 개인이 가진 소명의식이 타인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교사의 소명의식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학생 인식을 기반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소명의식이 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그러한 영향의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 대한민국 고등학생 298명을 대상으로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생의 학업 소진 간의 관계가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욕구지지적 교수행위 및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에 의해 매개되는지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생의 학업소진의 직접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욕구지지적 교수행위를 매개로 학생의 학업소진과 부적인 간접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욕구지지적 교수행위(매개변인 1) 및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매개변인 2)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학생의 학업소진과 부적인 간접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하였다.

남자 예비조종사의 코로나-19 시기 경험 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 기본 심리적 욕구, 그릿 연구 (A Study on Male Pilot Candidates' Life Satisfac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Grit by Experiencing COVID-19 Period)

  • 최진;김정운;신승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7-6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ale pilot candidates' life satisfac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grit by experiencing COVID-19 period for pilot literacy education. Participants were 1,249 male pilot candidates (COVID-19 before 613, during 636)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The data were gathered from totally 29 question's questionnaire at April 2018 and 2022. Statistical treatment was processed (by SPSS 21.0 for windows) as descriptive and two-way ANOVA for analyzing variables' interaction and main effects.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rocessed for analyzing each variable's relation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basic psychological needs' each variables'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tatistical significancy was set as p<.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ariables showed significances (p<.05~.01) by COVID-19 except life satisfaction and competence. Second, correlations showed higher R2 value in 2018 than 2022 and significances (p<.05~.01) among all variables, but, passion of grit need to be inspected in subsequent study. Third, multiple regressions showed significancies (p<.05) in all variables in 2018, but, relatedness was excluded in 2022. In conclusion, experiencing COVID-19 period affected pilot candidates' life and it need to be inspected the degree of effect of variables in subsequent study.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 요인이 학습만족과 학습전이를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MP Learner Basic Psychological Need factor on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Transfer)

  • 이은혜;권두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13-227
    • /
    • 2017
  • The recent entry into information society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universalization of the Internet through rapid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produced a new educational method called PMP learning. PMP learning overcomes restrictions of previous education methods in terms of time and space and allows the learners to customize their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ir leads, providing voluntary education that centers on the learner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in academic achievement of PMP learners through the theory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metastasi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 study model which applies perceived autonomy, perceived competence, and perceived relationship, which are major variables of the theory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was presented. For practical verification of the study model,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for students of R High School in Hamyang.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in PMP learning. It also plans to suggest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by supporting intrinsic motivation of learners.

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진성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Basic Pychological Need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Nurs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 조영문;장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19-32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 긍정심리자본, 진성리더십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기본심리욕구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진성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20년 4월부터 2020년 6월까지 M시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 간호사 18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기보고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Program과 SPSS PROCESS MACRO(모텔4번과 모텔 7번)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본심리욕구는 심리적 소진에 부적영향을 주었으며, 기본심리욕구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진성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사의 심리적 소진 감소를 위해서는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긍정심리자본의 향상이 필요하며, 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이 요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간호사의 심리적 소진 감소를 위해서는 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와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개발과 간호관리자의 진성리더십 개발을 위한 리더십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과 사랑의 구성요소 간의 남녀차이 영향연구: 연인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 Components of Love: Focusing on lovers)

  • 김병훈;정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29-540
    • /
    • 2021
  • 본 연구는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과 사랑의 구성 요소 간의 남녀 차이 검증이다. 연구의 필요성은 욕구와 사랑의 관련성을 검증해보는 연구의 필요성이다. 연구목적은 연인갈등과 사랑증진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경기의 수도권에 거주하는 미혼 연인 193쌍 총 3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와 사랑의 구성 요소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사용한 통계분석으로 t검증과 상관분석, 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에서 관계성은 남성보다 여성이 유의미(t=-3.528, p<.01)하게 더 높게 나왔고, 사랑의 구성요소에서 열정과 헌신은 여성보다 남성이 유의미(t=3.588, p<.001)하게 더 높게 나왔다. 그리고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에서 남성은 기본 심리적 욕구의 중요성과 사랑의 구성요소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기본 심리적 욕구의 중요성 중 관계성, 유능성만이 사랑의 요소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이 사랑의 요소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성의 관계성 욕구는 사랑의 요소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의 자율성 욕구는 사랑의 구성요소 중에 열정과 헌신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관계성 욕구가 사랑의 구성요소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은 남성과는 다르게 자율성 욕구는 사랑의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연인의 기본 심리적 욕구는 사랑 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변인들 간의 관계는 남녀차이를 보였다. 연인이 갈등이 생길 때 서로 다른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을 이해하고 충족된다면 갈등해소와 사랑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가 될 것이다.

요트참가자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참가동기 및 지속적 참여 의도의 구조모형 검증 (Structure-Model Verification of Yacht Participants' Motiv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Intentions of Persistent Participation)

  • 김미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423-431
    • /
    • 2009
  • 본 연구는 이론적 근거를 통해 요트참가자들의 운동참가동기와 기본심리욕구 및 운동에 대한 지속적 참여의도의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설정한 모형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에서 운동참가동기와 기본 심리욕구는 생활체육참가자의 활동지속의도에 매우 관여적인 변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를 위해 요트동호회 회원과 대학요트동아리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67부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과 AMOS 7.0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공변량구조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요트참가자들의 기본심리욕구, 참가동기 및 지속적 참여의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요트참가자의 기본 심리욕구는 지속적 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동시에 참가동기를 매개로 간접 영향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가동기는 지속적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트참가자의 운동참가동기와 기본심리욕구 및 지속적 참여의도의 구조방정식모델은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Exercise Adherence Model of Middle-Aged based on Theory of Self-determination

  • Lee, Mi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43-14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validate a middle - aged exercise adherence model. The model was designed based on self - determination theory. Participants were 215 middle-aged men and women aged 40-60 who had been exercising for more than six months. Data was collected from four big cities of Seoul, Busan, Gwangju and Daejeon in Korea,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trinsic motivation, social support, and exercise adherenc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9.0 and AMOS 20.0. Social support and exercise adherence of the questionnaire were partially revised and verifi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model's fit indices: GFI = .938, AGFI) = .915, NFI = .912, CFI = .941, and RMSEA = 0.041. The model satisfied the model fit of the structural model equation. This study model based on self - determination theory was confirm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intrinsic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were important factors for the middle - aged's exercise adherence.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intrinsic motiva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adherence of exercise, and social support indirectly influenced the exercise adherence through intrinsic motivation. Both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ocial support directly affected internal motivat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middle - aged's exercise adherence was intrinsic motivat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such as interest and fun is important for the middle - aged to continue the exercise. Also,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important for middle aged's exercise adh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restoring or maintaining health by continuing exercise. Strategies that enhance intrinsic motivation are needed when a chronic ill person needs to continue long-term exercising.

혈액투석환자의 질병 불확실성, 우울, 생리지표와 기본심리욕구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f Uncertainty, Depression, Physiologic Index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of Hemodialysis Patients)

  • 조영문;윤경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281-291
    • /
    • 2017
  •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질병 불확실성, 우울, 생리적 지표와 기본심리욕구 와의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연구대상자는 J도에 위치한 2 개의 대학부속병원과 2곳의 병원 투석센터에서 160명을 편의 추출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일대일 설문조사와 의무기록 자료를 통한 생리지표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프로그램으로 t-test와 ANOVA,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기본심리욕구는 불확실성 (r=-.464, p<.001)과 우울증 (r=-422, p<.001)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기본심리욕구의 하위 요인인 관계성은 질병불확실성, 우울, 생리지표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혈액투석환자의 기본심리욕구에 대하여 질병 불확실성(${\beta}=-.345$)과 우울(${\beta}=-.279$), 생리지표(${\beta}=-.117$)는 29%의 설명력을 보였다. 생리지표, 질병 불확실성 및 우울증은 혈액 투석 환자의 기본심리욕구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따라서 혈액투석환자의 불확실성을 인생관에 긍정적으로 통합시켜 삶을 재설정하고자 하는 심리적 지지와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 증진을 위한 간호전략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자기결정이론 기반 온라인 학습 참여도 향상에 관한 연구: 심리적 욕구충족 및 디지털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Research on Improving Online Learning Participa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Focusing on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Digital Interaction)

  • 하금택;왕강;민대환;이한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03-114
    • /
    • 2023
  • In the post-pandemic era, colleges and students keep passion for learning online sine its unique advantages. This study explores how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drawn from self-determination theory, connect to interaction, and learning engagement in the context of online learning. While prior research explored students' intentions, digital interactions, and engagement in online learning,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a united conceptual model drawing th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interaction and their effects on learning engagement. 178 response data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zed using PLS-SEM. Findings indicate that online learning interaction enhances intrinsic motivation, leading to higher learning engagement. Autonomy emerges as the most influential psychological need on learning engagement. This study integrates self-determination theory with online learning interactions and engagement and offers practical insights.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long-term outcomes and diverse student pop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