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kdudaegan mountain rang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9초

Elevational distribution ranges of vascular plant species in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South Korea

  • Shin, Sookyung;Kim, Jung-Hyun;Dang, Ji-Hee;Seo, In-Soon;Lee, Byoung Yo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1호
    • /
    • pp.62-71
    • /
    • 2021
  • The climate is changing rapidly, and this may pose a major threat to global biodiversity. One of the most distinctive consequences of climate change is the poleward and/or upward shift of species distribution ranges associat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resulting in a change of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forest ecosystems.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connects most forests from the lowland to the subalpine zone in South Korea and is therefore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biodiversity hotspo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range of vascular plants along elevational gradients through field surveys in the six national parks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We identified the upper and lower distribution limits of a total of 873 taxa of vascular plants with 117 families, 418 genera, 793 species, 14 subspecies, 62 varieties, two forms, and two hybrids. A total of 12 conifers were recorded along the elevational gradient. The distribution ranges of Abies koreana, Picea jezoensis, Pinus pumila, and Thuja koraiensis were limited to over 1000 m above sea level. We also identified 21 broad-leaved trees in the subalpine zone. A total of 45 Korean endemic plant species were observed, and of these, 15 taxa (including Aconitum chiisanense and Hanabusaya asiatica) showed a narrow distribution range in the subalpine zone. Our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on the current elevational distribution ranges of vascular plants in the six national parks of South Korea, which could serve as a baseline for vertical shifts under future climate change.

백두대간지역의 산림훼손경향 분석 (Deforestation Patterns Analysis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 이동근;송원경;전성우;성현찬;손동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1-53
    • /
    • 2007
  •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s a backbone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carries special spiritual and sentimental signatures for Koreans as well as significant ecological values for diverse organisms. However, in spite of importance of this region, the forests of Baekdudaegan have been damaged in a variety of human activities by being used as highland vegetable grower, lumber region, grass land, and bare land, and are still undergoing destruction. The existing researches had determined the details of the damage through on-site and recent observations. Such methods cannot provide quantitative and integrated analysis therefore could not be utilized as objective data for the ecological conservation of Baekdudaegan forest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forest damage in the Baekdudaegan preservation region through land cover categorization and change detection techniques by using satellite images, which are 1980s, and 1990s Landsat TM, and 2000s Landsat ETM+. The analysis was executed by detecting land cover changed areas from forest to others and analyzing changed areas' spatial patterns. Through the change detection analysis based on land cover classification, we found out that the deforested areas were approximately three times larger after the 1990s than from the 1980s to the 1990s. These areas were related to various topographical and spatial elements, altitude, slope, the distance form road, and water system, etc.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as quantitative and integrated analysis about the Baekdudaegan preservation region since 1980s. These results could actually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forest conservation policies and the management of the Baekdudaegan preservation region.

백두대간 구룡령과 고직령의 나비군집 비교와 분포변화 (Comparison of Butterfly Communities between Guryongryeong and Gojigkyeong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and the Changes in Their Distribution)

  • 김도성;오기석;박성준;최승세;이승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33-245
    • /
    • 2015
  •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다양한 생물 서식지이며 동물의 이동통로로 새로운 서식지로의 이주와 재서식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2014년에 4월부터 9월까지 백두대간 구룡령(명계리)과 고직령(서벽리)의 나비군집을 모니터링 하고, 두 지역의 나비를 과거기록과 비교하여 분포지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명계리 65종 1098개체, 서벽리 63종 1161개체가 조사되었다. 두 지역의 비교에서 명계리에서만 출현한 종은 15종, 서벽리에서만 출현한 종은 13종으로 나타났다. 종 순위별 개체수에서는 명계리는 큰줄흰나비 127 (11.6%), 줄흰나비 100 (9.1%), 산제비나비 90 (8.2%), 서벽리는 뿔나비 146 (12.6%), 줄흰나비 134 (11.5%), 네발나비 69 (5.9%)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개체 이하를 보인 종은 명계리 24종, 서벽리 23종으로 나타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두 지역의 유사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적색목록의 나비가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출현종을 과거 분포자료와 비교한 결과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이에 백두대간의 나비는 아직까지 잘 보전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 거시적으로 백두대간의 서식지 경관이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Is the Baekdudaegan "the Southern Appalachians of the East"? A comparison between these mountain systems, focusing on their role as glacial refugia

  • Chung, Mi Yoon;Lopez-Pujol, Jordi;Chung, Myong G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37-347
    • /
    • 2016
  • Based on genetic studies and palaeoecological surveys, the main Korean mountain range, the so-called "Baekdudaegan" (BDDG), has been recently suggested to be a major glacial refugium at the Last Glacial Maximum (LGM) for the boreal and temperate flora of northeastern Asia. On the basis of its shared role as a glacial refugium, and on a series of striking similarities in floristic richness and orographic features, the BDDG would constitute a sort of "eastern counterpart" of the Southern Appalachians. Given its floristic, biogeographic, and cultural value, the BDDG merits high priority for conservation.

백두대간 인지도 조사를 통한 전통적 지리체계인식 확산을 위한 교육정책제안 연구 (A Study for Education Policy Suggestions through the Survey of Baekdudaegan Awareness)

  • 김차권;정태열;강기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8-45
    • /
    • 2018
  • 산과 물을 하나의 유기체로 인식한 우리나라의 전통적 지리체계인 백두대간은 산자분수령을 원리로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 중 남한에는 1대간 9정맥이 있으며, 본 연구는 남한의 백두대간 이용객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하여 2,519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전통적 지리체계를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5.1%로 매우 낮았으며, 백두대간을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39%, 정맥을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11.8%에 불과하였다. 백두대간의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고 있다'라고 판단한 응답률은 60%를 상회하여 비교적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백두대간의 홍보에 대한 방법은 교과과정에 편입하여 교육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는 초등학교때부터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현행 교육부의 교육과정에 대한 고시에는 전통적인 지리체계에 대한 교육의 내용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을 기반으로 교육부의 교과과정에 전통적 지리체계에 대한 교육과정을 정식으로 편성하여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이는 우리 국토와 환경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자연환경보전에 대한 기초적인 자질을 심어줄 것이다.

Chemotaxonomic Significance of Oregonin in Alnus japonica Native to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n Korea

  • Hyeondu Jang;Sunmin Park;Seong Gyeom Kim;Seung Bin Bae;Hee Jeong Min;Chan Ok Lee;Hee Kyu Kim;Jin-Kyu Kim;Sun Eun Cho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53-63
    • /
    • 2024
  • Alnus japonica is indigenous to korea and usually grows in wet lowlands and damp regions in the mountains. Oregonin,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compound of the diarylheptanoid mainly found in Alnus species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In this experiment, we conducted a study on the presence of orogonin in the native Alnus japonica from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n Korea. We collected a total of 30 samples from Chuncheon, Yangyang, and Jeongseon and conducted experiments. In the HPLC analysis, we confirmed that oregonin was detected in all samples. After the quantitative analysis, samples with the highest content from each region were selected and LC-MS/MS experiment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same molecular weight as oregonin, 477.2 m/z, was confirmed in all samples.

도로로부터 거리가 다른 지역에서 번식기 조류군집의 차이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Caused by Different Distance from the Road)

  • 허위행;임신재;이우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1호
    • /
    • pp.29-33
    • /
    • 2003
  • 도로의 건설로 인해 산림생태계의 단절이 발생한 백두대간의 진부령, 진고개, 삽당령, 백복령, 화방재, 이화령, 덕산재, 여원재 등 8개 국도 지역에서 번식기 조류군집을 대상으로 2002년 4월부터 6월까지의 기간동안 도로로부터 거리가 다른 지역별 번식기 조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도로로부터 가까운 지역보다 먼지역에서 관찰된 종수와 개체수가 많았다. 또한 길드 구조의 분석 결과 도로의 인접지역이 도로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보다 나무구멍 둥지자원과 수관층 먹이자원을 이용하는 조류의 종수와 개체수가 적었다. 이는 도로의 건설로 인해 조류의 서식지 환경이 변화하게 되고 그 결과 조류군집 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genetically healthy terrestrial orchid Liparis krameri on southern Korean Peninsula

  • CHUNG, Mi Yoon;CHUNG, Jae Min;SON, Sungwon;MAO, Kangshan;LOPEZ-PUJOL, Jordi;CHUNG, Myong G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4-333
    • /
    • 2019
  • Neutral genetic diversity found in plant species usually leaves an indelible footprint of historical events. Korea's main mountain range (referred to as the Baekdudaegan [BDDG]), is known to have served as a glacial refugium primarily for the boreal and temperate flora of northeastern Asia. In addition, life-history traits (life forms, geographic range, and breeding systems) influence the within- and among-population genetic diversity of seed plant species. For example, selfing species harbor significantly less within-population genetic variation than that of predominantly outcrossers. A previous study of two Liparis species (L. makinoana and L. kumokiri) emphasizes the role of the abovementioned factors shaping the levels of genetic diversity. Liparis makinoana, mainly occurring on the BDDG and self-incompatible, harbors high levels of within-population genetic diversity (expected heterozygosity, HeP = 0.319), whereas there is no allozyme variation (HeP = 0.000) in L. kumokiri, which is self-compatible and mainly occurs in lowland hilly areas. To determine if this trend is also found in other congeners, we sampled five populations of L. krameri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nvestigated the allozyme-based genetic diversity at 15 putative loci. The somewhat intermediate levels of within-population genetic variation (HeP = 0.145) found in L. krameri are most likely due to its occurrence in mountainous areas that, despite being outside of the main ridge of the BDDG, still served as refugia, and a self-incompatible breeding system. Management strategies are suggested for L. krameri and L. makinoana based on the levels and distribution of genetic diversity and inbreeding.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 개선방안 연구: 백두대간 보호활동의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Baekdudaegan Mountain Range Support Project for Resident Income: Focused on Citizen Participation in Baekdudaegan Protection Activities)

  • 전미리;강은지;김용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1호
    • /
    • pp.81-95
    • /
    • 2018
  • 2005년 9월 백두대간 보호지역 지정으로 지역경제 위축, 공동체 활동축소 등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림청에서는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을 시행해왔다. 그러나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은 백두대간 보호라는 근본적인 목적과 연계성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무분별한 사업신청 등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담당공무원 설문조사를 통해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주민을 백두대간 보호 및 관리의 주체로 육성하여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에 대한 책임의식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주민을 백두대간의 일부로 여기고 소득과 더불어 문화 및 공동체를 지킬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주민과 행정이 협력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백두대간의 체계적인 보호와 관리를 통한 지역 활성화를 실현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향후 백두대간을 보호하면서 개발제한구역의 주민과 지역발전을 이루는 사업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한남금북.금북정맥의 전통적 지리체계인식과 환경가치 추정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Geographic System Recognition and Environmental Value Estimate of Hannamkeumbuk-Keumbuk Mountai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Plan)

  • 강기래;김동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33
    • /
    • 2012
  • 본 연구는 산경표에 따른 전통적 지리체계인 백두대간 및 부속정맥을 한남금북 금북정맥 이용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인식의 정도와 이용 행태 등 기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우리 산줄기인 백두대간의 생태계 완충역할을 하는 2차 산맥이라고 할 수 있는 부속 산줄기 중 우리나라 중 남부를 구분하는 한남금북 금북정맥의 환경적 가치를 현재 통화액으로 추정하였다. 전통적인 산맥분류기준과 백두대간에 대한 인식여부에 대한 질문에서 응답자의 70% 이상이 들어보거나 알고 있다는 응답을 하였으나, 부속 산줄기인 한남금북 금북정맥에 대한 인식은 "모른다"는 응답이 66.8%를 보였다. 이는 백두대간에 대한 인지율은 높은 반면, 부속정맥의 인식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남금북 금북정맥의 환경적 가치에 대한 추정기법은 DBDC응답방식으로 환경재의 가치추정방법에 널리 사용되는 CVM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1인당 한남금북 금북정맥을 방문할 때 얻는 추가적인 효용은 5,813원으로 추정되었다. 이 금액은 평균방문비용인 51,984원에 비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자연성의 훼손, 등산로의 단조로움, 무분별한 환경파괴의 진행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백두대간과 부속정맥의 대국민홍보와 자원보전, 가치인식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것이며, 향후 한남금북 금북정맥 방문자들에게는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한남금북 금북정맥이 속한 지방자치단체에게는 가치상승과 보존을 위한 기본적 계획과 관리를 위한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를 통한 향후의 연구과제는 한남금북 금북정맥 관리 범위의 적절한 설정과 가치 상승을 위한 다양한 기관들과의 업무 분장과 관리의 틀을 만들어 가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