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subtilis C-9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초

큰느타리버섯 폐배지에서 분리한 Xylanase 생성 Bacillus subtilis CS9 (Xylanase-producing Bacillus subtilis isolated from spent mushroom (Pleurotus eryngii) substrates)

  • 조지중;홍수영;하준;조용운;김홍출;갈상완;윤한대;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138-145
    • /
    • 2008
  • 경남지역의 큰느타리버섯재배사에서 채취한 버섯폐배지로부터 그람양성이며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간균을 분리하여 이를 CS9라 명명하였다. 분리균 CS9는 통성혐기성균으로 운동성이 있으며 xylanase를 생성하였다. 분리균의 최적 생육조건은 $40^{\circ}C$, pH 6.0이었고, 지방산 조성분석 결과 세포벽을 이루는 주요지방산은 anteiso-C15:0, anteiso-C17:0, iso-C17:0이었으며, DNA G+C함량은 45 mol%로 Bacillus 속의 G+C함량인 43-46 mol%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리균의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분리균 CS9은 Bacillus subtilis YB1 균주와 96.8%의 유사도를 나타내었고, Bacillus속의 다른 균주들과는 92-94%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생리적, 생화학적, 유전적 특성을 근거로 큰느타리버섯폐배지로부터 분리한 xylanase를 생성하는 CS9는 Bacillus subtilis CS9로 동정되었다.

  • PDF

Bacillus subtilis cx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from Bacillus subtilis cx 1)

  • 김수인;장지윤;김인철;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0-55
    • /
    • 2001
  • B. subtilis cx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BSCX1)을 부분 정제하고 특성을 규명하였다. BSCX1은 pH 안정성 실험에서 pH 2.5~9.5 구간에서도 안정되게 항균활성을 유지하였다. 각종 효소에 대한 안정성 실험에서는 protease, trypsin, proteinase K, 그리고 carboxypeptidase로 처리하였을 때는 완전히 항균활성이 사라졌고, $\alpha$-amylase, lipase, aminopeptidase는 항균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본 항균물질이 단백질계열의 물질이며 당이나 지질 결합은 항균활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열에는 불안정하여 $60^{\circ}C$이상에서는 15분 안에 완전히 그 항균활성을 상실하였으며 $50^{\circ}C$ 에서는 15분만에 역가의 50%가 실활 되었다. 이에 반하여 저온에서는 무척 안정하여 $-20^{\circ}C$$-70^{\circ}C$에서 수개월간 보관하여도 여전히 항균활성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Tricin-SDS-PAGE를 통하여 BSCX1의 분자량은 약 9,500 dalton으로 확인되었ekl. BSCX1은 pH2.5에서 9.5에 이르는 넓은 pH 영역에서 그 활성을 유지하므로, 기존에 개발된 nisin이나 유산균 유래의 항균물질이 pH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생물학적 식품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높이 시사하였다.

  • PDF

Bacillus subtilis ATCC6633이 Bacillus subtilis cx1의 박테리오신 생산에 미치는 유도효과 (Enhancement of Bacteriocin Production by Bacillus subtilis cx1 in the Presence of Bacillus subtilis ATCC6633)

  • 장미;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1-227
    • /
    • 2006
  • 박테리오신 BSCX1은 Bacillus subtilis cx1에 의해 생산되는 항균성 peptide이다. B. subtilis cx1의 박테리오신(BSCX1)은 Bacilius subtilis ATCC6633, Listeria monocytogenes KCTC3569를 포함한 그람양성균과 Salmonella typhi ATCC19430, Escherichia coli ATCC25922와 같은 그람음성균에 대해서도 비교적 넓은 항균활성 범위를 가진다. 박테리오신 생산균주인 B. subtilis cx1과 그것의 감수성 균주인 B. subtilis ATCC6633을 공동 배양한 결과, 박테리오신 BSCX1의 생산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는 박테리오신 생산균주 B. subtilis cx1의 성장 배지내에 박테리오신 감수성 균주가 존재함이 BSCX1 생산을 촉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감수성 균주의 박테리오신 유도 작용을 확인하였으므로 유도물질이 감수성 균주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 밝히기 위해 B. subtilis ATCC6633을 분획하여 실험한 결과 세포내 분획과 세포파쇄물에 모두 유도물질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BSCX1 유도물질의 유도활성은 pH 2.5에서 pH 9.5에 걸쳐 전 구간에서 유지되었으며, $50^{\circ}C$이상에서는 3시간 이내에 불활성화 되었다. 유도물질에 단백분해효소인 proteinase K를 처리한 결과 유도활성이 사라져 단백질성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대두단백질 분해균주 Bacillks subtilis EB464의 선발 및 분해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y protein-degrading Strain, Bacillus subtilis EB464)

  • 박찬수;민대규;안용선;이지훈;홍순광;김정환;강대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0-215
    • /
    • 2002
  • 동물사료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대두박의 이용성을 높히기 위한 방안으로서, 전통발효식품에서 대두단백질 분해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EB464로 명명하였다. 분리된 B. subtilis EB464를 대두박에 접종하여 고체배양할 경우, 단백질 분해효소의 최고활성은 배양 24시간 후에 300 PC/g에 달하였으며, 72시간 배양후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20.6%,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22.0%에 달하였다. B. subtilis EB464 균주가 분비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최적 pH는 9.0,최적 온도는 $50^{\circ}C$E.확인되었다. 본 효소는 $40^{\circ}C$에서는 안정하였으나 $50^{\circ}C$ 이상에서는 효소활성이 급격히 실활되었으며, pH 6.0에서 10.0가지의 광범위한 pH에서 상당히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Bacillus subtilis-SKm를 스타터로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품질 및 기능성 증진 효과 (Increas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Chungg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SKm)

  • 정연비;정지강;최혜선;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94-1699
    • /
    • 2011
  • B. subtilis-SKm, B. subtilis HJ18-4, B. subtilis KCCM 42923을 스타터로 이용하여 $40^{\circ}C$에서 72시간 발효시켜 청국장(BS-c, BH-c, BK-c)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자연 발효하여 제조한 청국장(NF-c)과 함께 발효 특성을 비교, 관찰하였다. pH는 BS-c, BK-c 및 NF-c에서 7.6으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BH-c가 5.9로 가장 낮았다. 호기성 균수는 BS-c, BK-c, NF-c에서 10.0 log cfu/g대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BH-c의 경우는 9.7 log cfu/g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아미노태 및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과 ${\gamma}$-GTP의 역가의 결과를 관찰한 결과, 모두 BS-c에서 높게 나타나 발효가 가장 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BH-c의 경우 발효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Protease와 ${\alpha}$-amylase 활성 역시 BS-c에서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4종의 청국장이 대체로 비슷한 기호도를 나타냈으나, 종합적인 맛과 종합적인 평가에서 BS-c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DPPH free radical 소거 효과와 HT-29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는 스타터를 이용하여 제조된 청국장인 BS-c, BH-c, BK-c가 NF-c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역시 BS-c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스타터의 종류에 따라 청국장의 품질 및 기능성에 차이가 나타나며, B. subtilis-SKm을 스타터로 이용할 경우 청국장의 품질 및 기능성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Production of Biosurfactant Lipopeptides Iturin A, Fengycin, and Surfactin A from Bacillus subtilis CMB32 for Control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 Kim, Pyoung-Il;Ryu, Jae-Won;Kim, Young-Hwan;Chi, Youn-T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호
    • /
    • pp.138-145
    • /
    • 2010
  • A bacterial strain isolated from soil for its potential to control the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was identified as a Bacillus subtilis. Bacillus subtilis CMB32 produced antifungal agents on M9 broth at $30^{\circ}C$. Biosurfactant lipopeptides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CMB32 were precipitated by adjusting to pH 2 and extracting using chloroform/methanol, and then were purified using column chromatography and reverse-phase HPLC. The molecular masses of the lipopeptides were estimated by MALDI-TOF mass spectrometry as (a) 1,080, (b) 1,486, and (c) 1,044 Da, respectively. They had cyclic structures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a) Pro, Asx, Ser, Tyr, Glx, (b) Glx, Tyr, Thr, Ala, Pro, lie, and (c) Glx, Leu, Val, Asx, respectively.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Bacillus subtilis CMB32 produced three antifungal lipopeptides: (a) iturin A, (b) fengycin, and (c) surfactin A.

다양한 유기물을 분해하는 Bacillus subtilis CK-2의 분리 (Isolation of Bacillus subtilis CK-2 Hydrolysing Various Organic Materials)

  • 김철호;이상협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716-1720
    • /
    • 2011
  • 섬유소를 비롯한 단백질, 지질, 녹말을 분해할 수 있는 세균을 된장으로부터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분류되었으며, Bacillus subtilis CK-2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주는 $40\sim45^{\circ}C$의 비교적 넓은 온도 범위와 pH 6~9의 넓은 pH 범위, 그리고 NaCl 0~3% 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높은 자가분해효소 활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 subtilis CK-2가 분비하는 가수분해효소들은 대부분 세균의 생장과 거의 비례적으로 세포외 활성을 나타내는 1차 대사산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B. subtilis CK-2는 농수임산물 폐기물이나 음식물 폐기물의 퇴비화, 사료 생산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 Lipopeptide Biosurfactant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C9 Selected through the Oil Film-collapsing Assay

  • Kim, Hee-Sik;Lee, Chang-Ho;Suh, Hyun-Hyo;Ahn, Keug-Hyun;Oh, Hee-Mock;Kwon, Gi-Seok;Yang, Ji-Won;Yoon, Byung-D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180-188
    • /
    • 1997
  • Bacillus subtilis C9 was selected by measuring the oil film-collapsing activity and produced biosurfactant in a medium containing glucose as a sole carbon source. The biosurfactant emulsified hydrocarbons, vegetable oils and crude oil, and lowered the surface tension of culture broth to 28 dyne/cm. A biosurfactant, C9-BS produced by B. subtilis C9 was purified by ultrafiltration, extraction with chloroform and methanol, adsorption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reversed phase HPLC. Structural analyses, IR spectroscopy, FAB mass spectroscopy, amino acid composition, and NMR analyses, demonstrated that C9-BS was a lipopeptide comprising a fatty acid tail and peptide moiety. The lipophilic part consisting of $C_{14}\;or\;C_{15}$ hydroxy fatty acid was linked to the hydrophilic peptide part, which contained seven amino acids (Glu-Leu-Leu-Val-Asp-Leu-Leu) with a lactone linkage.

  • PDF

Maillard 반응생성물이 Bacillus sp.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on Growth of Bacillus sp.)

  • 이기동;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09-313
    • /
    • 1997
  • Maillard 반응 중 생성된 Maillard 반응생성물(MRPs)에 대한 세균의 생육 패턴을 조사하고자 반응표면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세균의 생육배지에 MRPs를 첨가시 균의 생육에 대한 반응표면회귀식의 $R^{2}$는 Bacillus subtilis 및 Bacillus natto 균에서 각각 0.9544 및 0.9598였다(p<0.01). Bacillus subtilis의 생육에 관한 MRPs의 영향에서 Maillard 반응온도가 높고 반응시간이 긴 MRPs 첨가군은 생육이 감소하다가 반응시간이 $8{\sim}12\;hrs$ 범위 및 반응온도가 $150^{\circ}C$ 이상의 생성조건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Bacillus natto균에 대한 생육에서는 Maillard 반응시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고, $150^{\circ}C$보다 낮은 반응온도에서는 온도가 낮고 용매 pH가 낮아질수록 생성된 MRPs에 대한 균의 생육이 증가하였으나 $150^{\circ}C$ 이상에서는 pH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온도가 증가할수록 생성된 MRPs에 대한 균의 생육이 감소하였다. 능선분석에서 Bacillus subtills 균에 대한 생육은 $159.10^{\circ}C$, 9.69시간 및 용매 pH 12.21에서 생성된 MRPS가 가장 생육억제 효과가 컸으며, Bacillus natto균의 생육은 $169.94^{\circ}C$, 9.22시간 및 용매 pH 9.66에서 생성된 MRPs에 의해 가장 크게 억제되었다.

  • PDF

Bacillus subtil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및 Bacillus atrophaeus 포자의 열 저항성 비교 (Comparison of Heat Resistance of Bacillus subtil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and Bacillus atrophaeus spores)

  • 정은선 ;남주희 ;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56-36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강한 내열성을 가지는 비병원성 Bacillus atrophaeus, Bacillus subtil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포자의 열 저항성을 분석하여 레토르트 식품 제조 시 직접적인 멸균 여부 판정에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B. subtilis 포자의 D121-value는 2.9±0.1분이었으며, Zvalue는 43.0±1.4℃로 나타났다. G. stearothermophilus 포자의 D121-value는 4.3±0.1분이었으며, Z-value는 25.0±1.6℃로 나타났다. B. atrophaeus 포자의 D121-value는 3.7±0.1분이었으며, Z-value는 35.8±1.4℃로 나타났다. B. subtilis, G stearothermophilus와 B. atrophaeus 포자의 D121-value는 모두 레토르트 식품 멸균 확인에 사용되는 C. botulinum 포자의 D121-value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레토르트 식품 멸균 시 병원성 포자형성균인 C. botulinum 대신 B. subtilis, G. stearothermophilus, B. atrophaeus 포자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존 세균발육 실험에 소요되는 13일보다 단시간인 2-3일에 멸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