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atrophaeu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멧돼지 대장으로부터 Bacillus atrophaeus MPL-01의 분리 및 항진균 활성의 특성 (Isolation of Bacillus atrophaeus MPL-01 from A Wild Boar and Characterization of Its Antifungal Activity)

  • 윤성조;노재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5-199
    • /
    • 2013
  • 멧돼지 대장에서 MPL-01 균주를 분리하여 균주의 형태학적, 생리 생화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Bacillus임을 확인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서열 분석 결과 MPL-01 균주는 Bacillus atrophaeus와 거의 일치하므로(99.99%) B. atrophaeus MPL-01로 명명하였다. MPL-01 균주는 고추 탄저병을 일으키는 Colletotrichum acutatum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배양액의 ethyl acetate 추출액에서 항진균 활성은 물론이고 계면활성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B. atrophaeus MPL-01은 농작물 병원성 곰팡이 제어를 위한 bio-control 개발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Bacillus subtil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및 Bacillus atrophaeus 포자의 열 저항성 비교 (Comparison of Heat Resistance of Bacillus subtil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and Bacillus atrophaeus spores)

  • 정은선 ;남주희 ;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56-36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강한 내열성을 가지는 비병원성 Bacillus atrophaeus, Bacillus subtil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포자의 열 저항성을 분석하여 레토르트 식품 제조 시 직접적인 멸균 여부 판정에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B. subtilis 포자의 D121-value는 2.9±0.1분이었으며, Zvalue는 43.0±1.4℃로 나타났다. G. stearothermophilus 포자의 D121-value는 4.3±0.1분이었으며, Z-value는 25.0±1.6℃로 나타났다. B. atrophaeus 포자의 D121-value는 3.7±0.1분이었으며, Z-value는 35.8±1.4℃로 나타났다. B. subtilis, G stearothermophilus와 B. atrophaeus 포자의 D121-value는 모두 레토르트 식품 멸균 확인에 사용되는 C. botulinum 포자의 D121-value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레토르트 식품 멸균 시 병원성 포자형성균인 C. botulinum 대신 B. subtilis, G. stearothermophilus, B. atrophaeus 포자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존 세균발육 실험에 소요되는 13일보다 단시간인 2-3일에 멸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ver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stable chitinase from Bacillus atrophaeus SC081 in Escherichia coli

  • Cho, Eun-Kyung;Choi, In-Soon;Choi, Young-Ju
    • BMB Reports
    • /
    • 제44권3호
    • /
    • pp.193-198
    • /
    • 2011
  • The chitinase-producing strain SC081 wa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identified as Bacillus atrophaeus based on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16S rDNA sequence and a phenotypic analysis. A gene encoding chitinase from B. atrophaeus SC081 was cloned in Escherichia coli and was named SCChi-1 (GQ360078). The SCChi-1 nucleotide sequences were composed of 1788 base pairs and 596 amino acids, which were 92.6, 89.6, 89.3, and 78.9% identical to those of Bacillus subtilis (ABG57262), Bacillus pumilus (ABI15082), Bacillus amyloliquefaciens (ABO15008), and Bacillus licheniformis (ACF40833), respectively. A recombinant SCChi-1 containing a hexahistidine tag at the amino-terminus was constructed, overexpressed, and purified in E. coli to characterize SCChi-1. $H_6SCChi$-1 revealed a hydrolytic band on zymograms containing 0.1% glycol chitin and showed the highest lytic activity on colloidal chitin and acidic chitosan. The optimal temperature and pH for chitinolytic activity were $50^{\circ}C$ and pH 8.0, respectively.

Bacillus atrophaeus DYL-130이 생산하는 biosurfactant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surfactant from Bacillus atrophaeus DYL,-130)

  • 김선희;이상철;박인혜;유주순;주우홍;황철원;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79-684
    • /
    • 2005
  • 원유 분해능이 강력한 균주를 얻고자 덕유산의 토양으로부터 crude oil을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수십 종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 중 원유분해능 및 biosurfactant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하고 165 rDNA sequence와 』gyrA gene sequence를 통하여 Bacillus atrophaeus DYL-130으로 동정하였다. 동정된 균주 배양액의 표면장력은 최저 28 mN/m까지 감소되었다. 또한 Bacillus atrophaeus DYL-130이 생산하는 biosur-factant가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리 되었으며, 분리된 biosurfactant의 toluene 유화능 및 crude biosurfactant의 유화활성과 안정성이 시험 되었다. Crude biosurfactant의 유화활성은 kerosene에서 최대였으며, soybean oil에서도 높은 편이였으나 유화안정성의 경우 soybean oil을 기질로 하였을 경우가 kerosene을 기질로 하였을 때 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crude biosurfactant의 유화안정성을 합성계면활성제와 비교 한 결과 DYL-130이 생산하는 biosurfactant의 유화안정성이 합성계면활성제와 유사하거나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리된 biosurfactant는 drop-collapsing method에 의하여 surface-activity가 확인 되었으며 또한 toluene에 대한 유화력이 매우 뛰어난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DYL-130에서 추출한 biosurfactant는 합성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생물 계면활성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산업적으로 이 물질을 이용하기 위해서 Bacillus atrephaeus DYL-130이 생산하는 biosurfactant에 대한 구조분석과 물리 화학적 특성, 생분해도 및 환경독성 등의 조사를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Chitin 분해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inoloytic Strain, Bacillus atrophaeus CJ-3.)

  • 고보경;최인순;이상현;임채오;이성호;갈상완;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01-508
    • /
    • 2004
  • 전통발효 식품인 간장으로부터 chitinase활성이 높으면서 갈변반응을 일으키는 균주인 CJ-3를 분리하여 갈변반응생성물이 면역기능, 항산화력 및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생화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분리된 CJ-3 균주는 16S rDNA 염기서열분석에 의하여 Bacillus atrophaeus로 동정되었으며 분리된 균주의 분자량은 대략 31.0 kDa으로 colloidal chitin(0.5, 1.0, 2.0%)의 첨가에 의하여 chitinase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B. atrophaeus CJ-3에 의해서 유도되는 갈변반응물 200${\mu}\ell$ 첨가로 LPS에 의하여 유도되는 nitric oxide (NO) 활성을 45%까지 감소시켰다. MTT 분석을 통한 세포활성에서도 갈변반응물은 LPS에 의하여 세포활성을 정상수준으로 회복하였다. CJ-3. 균주의 DPPH 전자공여능법에 의한 항산화력은 갈변반응에 의하여 약 55% 증가하였다 . 이러한 결과들은 갈변반응생성물은 면역기능 및 세포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분리된 균주의 최적 생육조건은 최적온도 37$^{\circ}C$, 최적 pH 7.0 및 염 농도는 9% NaCl농도까지는 잘 생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리된 균주의 주요 intracellular 유리아미노산은 glutamate로 나타났다.

미강을 이용한 해양미생물 Bacillus atrophaeus LBH-18 유래의 carboxymethylcellulase 생산의 최적화 (Enhanced Production of Carboxymethylcellulase by a Newly Isolated Marine Microorganism Bacillus atrophaeus LBH-18 Using Rice Bran, a Byproduct from the Rice Processing Industry)

  • 김이준;고와;이유정;이상운;정정한;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295-1306
    • /
    • 2012
  • Carboxymethylcellul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해수에서 분리하여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계통 발생학 방법으로 비교한 결과, Bacillus atrophaeus로 확인되었다. 이 해양 미생물을 B. atrophaeus LBH-18로 명명하였으며 response surface method (RSM)를 사용하여 carboxymethylcellulase의 생산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이 균주의 생육에 최적인 미강, 펩톤 및 배지의 초기 pH는 68.1 g/l, 9.1 g/l 및 7.0이었으나, carboxymethylcellulase의 생산에 최적인 조건은 각각 55.2 g/l, 6.6 g/l 및 7.1이었다. 이 균주의 생육과 carboxymethylcellulase의 생산에 최적인 온도는 $30^{\circ}C$이었다. 이 균주의 생육에 최적인 생물배양기의 교반속도 및 통기량은 324 rpm 및 0.9 vvm이었으나, carboxymethylcellulase의 생산에 최적인 조건은 각각 343 rpm 및 0.6 vvm이었다. 파이롯트 규모의 생물배양기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이 균주의 생육과 carboxymethylcellulase의 생산에 최적인 내압은 0.06 MPa이었다. 최적 조건의 내압으로 배양한 결과, 이 균주의 carboxymethylcellulase의 생산성은 127.5 U/ml이었으며, 이 결과는 내압을 가하지 않고 배양한 경우에 비하여 1.32배 향상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쌀 도정 공정의 부산물인 미강을 기질로 개발하였으며 해양 미생물을 사용하여 carboxymethylcellulase의 생산기간을 7~10일에서 3일로 단축시켰다.

된장으로 부터 fibrin 용해 세균의 분리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solation of fibrinolytic bacteria from soybean paste)

  • 허석;주현규;송기방;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1호
    • /
    • pp.6-11
    • /
    • 1999
  • fibrin 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분비하는 균을 된장으로부터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된장으로부터 protein 분해능이 있는 균주를 분리하고 분리한 균주들 중에서 혈전용해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인 KDO-13을 선발하였다. 이 균주는 호기성으로 포자를 형성하는 Gram(+)균 이었으며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세포의 지방산 분석은 $C_{15:0}$ anteiso fatty acid가 47.7%, $C_{15:0}$ iso fatty acid가 13.5% 이었다. 이 균주는 생리, 생화학적 특성 및 세포지방산 분석을 통하여 57.7%의 similarity를 갖는 Bacillus atrophaeus로 잠정 동정되었다. Bacillus atrophaeus KDO-13의 fibrinolytic enzyme 생성을 위한 최적 배양 온도와 pH는 각각 $37^{\circ}$와 6.0 이었다.

  • PDF

Antagonistic Activities of Bacillus spp. Strains Isolated from Tidal Flat Sediment Towards Anthracnose Pathogens Colletotrichum acutatum and C. gloeosporioides in South Korea

  • Han, Joon-Hee;Shim, Hongsik;Shin, Jong-Hwan;Kim, Kyoung S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165-175
    • /
    • 2015
  • Anthracnose is a fungal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ecies that is detrimental to numerous plant species. Anthracnose control with fungicides has both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safety implications. Despite increasing public concerns, fungicide use will continue in the absence of viable alternatives. There have been relatively less efforts to search antagonistic bacteria from mudflats harboring microbial diversity. A total of 420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mudflats near the western sea of South Korea. Five bacterial strains, LB01, LB14, HM03, HM17, and LB15, were characterized as having antifungal properties in the presence of C. acutatum and C. gloeosporioides. The three Bacillus atrophaeus strains, LB14, HM03, and HM17, produced large quantities of chitinase and protease enzymes, whereas the B. amyloliquefaciens strain LB01 produced protease and cellulase enzymes. Two important antagonistic traits, siderophore production and solubilization of insoluble phosphate, were observed in the three B. atrophaeus strains. Analyses of disease suppression revealed that LB14 was most effective for suppressing the incidence of anthracnose symptoms on pepper fruits. LB14 produced antagonistic compounds and suppressed conidial germination of C. acutatum and C. gloeosporioide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a reliable alternative to fungicides for anthracnose control.

Food waste treatment using 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food wastes and production of air-dried Bacillus cell starters

  • An, Byungryul;Park, Mi-Kyung;Oh, Jun-Hy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58-264
    • /
    • 2018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1) isolate and identify thermophilic bacteria for food waste treatment; 2) investigate the capability of food waste treatment using Bacillus species; and 3) develop air-dried Bacillus starters for food waste treatment. Five Bacillus species were isolated from food wastes and identified as Bacillus licheniformis (B. licheniformis) G1, Bacillus circulans C2,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E1, Bacillus vanillea F1, and Bacillus atrophaeus G2 based on 16S rDNA sequencing. Each identified Bacillus and the mixture of Bacillus species were cultivated in the standard food waste at $45^{\circ}C$ for 8 d. Changes in cell count, solid contents, and pH of the food waste were monitored during cultivation. Air-dried Bacillus cell powders were prepared using wheat flour and lactomil as excipients, and the cell count and survival rate were determined. The cell count of B. licheniformis G1 exhibited the highest number among the tested Bacillus (${\sim}10^8CFU/mL$). The greatest reduction in solid contents of food waste was achieved by B. subtilis E1 (22.6%). The mixture of B. licheniformis G1 and B. subtilis E1 exhibited a synergistic effect on the reduction of solid contents. Lactomil was determined as better excipient than wheat flour based on the greatest survival rate of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