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M 가이드라인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6초

지상레이저스캐너(TLS) 측량과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Terrestrial Laser Scanner(TLS) Surveying and its Guideline)

  • 김진우;정운식;이영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5-64
    • /
    • 2021
  • 이 연구는 지상레이저스캐너(TLS)측량에 대한 관측실험과 분석을 통해 TLS 위치정확도와 운용방안을 분석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TLS 관측실험에서는 TS/GPS 기준점측량 기반으로 지상기준점과 TLS점을 설치하고 목제 목표판을 설계·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TLS 스캔 데이터의 RMSE는 축척 1/250의 지형도 제작과 레벨 1/100의 BIM에 활용이 가능하며, 드론영상데이터와 상호보완이 가능하다. 그리고 실험과정과 결과의 분석을 통해 TLS측량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시설물 공간관리를 위한 개방형 BIM 데이터 구축 방안 (Development Method of Open BIM Data for Facility Space Management)

  • 조근하;주기범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321-322
    • /
    • 2015
  • 본 연구는 BIM의 최종 모델(As-built Model)이 BIM기반 유지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에 활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유지관리 분야 중 공간관리 분야에서 활용되는 BIM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최종 결과물인 BIM 유지관리 가이드라인은 향후 BIM 발주 지침에 반영되어 건설과정에서 구축된 BIM 정보를 유지관리 단계까지 지속적으로 활용하도록 유도할 것이라 기대한다.

  • PDF

BIM 기반 협업을 위한 BIM Planning 체계 개발 - 가상건설 연구단의 CPLM 시스템 중심으로 (A Development of BIM Planning Framework for BIM Based Collaboration)

  • 윤수원;김성아;진상윤;최철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69-374
    • /
    • 2010
  • 최근 건설 산업에서 BIM이 각광 받으면서, BIM 기반의 다양한 엔지니어링 기술 도입 및 프로세스 적용이 시도 되고 있다. 이중 BIM 기반의 프로젝트 운영을 위해서는 BIM의 데이터의 저장, 수정, 배포뿐만 아니라, 관련 주체간의 협업이 가능한 환경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구축을 위해 제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PDM(Project Data Management) 또는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시스템을 벤치마킹한 CPLM (Construction Project Life-cycle Management)과 같은 BIM 기반 협업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러한 협업 시스템의 경우, 건설 프로젝트가 가지는 다양한 계약 방식, 관리 단계, 관련 정보의 체계 등에 대한 종합적 계획 없이 프로젝트의 각 참여 주체들의 기존 관리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당초 BIM 기술을 도입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원활한 협업 환경을 구축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BIM 가이드라인의 도입 등에서 시도되고 있는 BIM Planning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BIM 기반 협업 시스템의 구축 이전에 BIM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구조, 방식, 데이터 체계 등을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이를 시스템에 반영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BIM 기반 협업 환경이 구축될 수 있는 체계를 제안하였다.

  • PDF

건설산업의 BIM 적용능력 제고를 위한 BIM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BIM Process for Improvement of the BIM Application Abil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 김지원;이민철;최정민;옥종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38-743
    • /
    • 2008
  • 최근들어 BIM 기술은 건설프로젝트의 전 생애주기동안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활용되고 있는 바, 건설의 각 분야에서 적용함에 있어 프로젝트 별 (간섭체크용, 모델해석용, 공정 및 물량산출용, 공사현장용, 협업용 등) BIM 프로세스의 정립은 필수적 요소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프로젝트 별 BIM 프로세스가 정립되어 있는 사례 및 해당 연구는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 초기단계에서의 BIM 어플리케이션 설정 방법, BIM 팀구성 방법, 패밀리설정 방법, 모델링방법 연구를 통하여 BIM 프로세스 구축을 제안하고, Pilot Study 모델을 통한 기초설정 및 모델링 작업, 물량검토, 중립적인 포맷방식인 IFC $2{\times}3$ 버전을 활용한 정보교환 등을 실시하여 정립된 BIM 프로세스의 적용능력을 검토하여 국내 BIM 가이드라인 구축의 초석을 마련하고자한다.

  • PDF

설계 프로세스를 반영한 BIM 작성 기준(LOD)에 대한 연구 (A Study of LOD(Level of Detail) for BIM Model applied the Design Process)

  • 조현정;김연수;마영균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10
    • /
    • 2013
  •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ordering manuals and guidelines are diffused with the recent BIM activation. However, it is causing drawbacks such as an increase of work at each design stage and a decline of BIM application level that the standard of making up and managing BIM is vague and it includes comprehensive mea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cure BIM work standard by establishing BIM making-out standard based on LOD(Level of Detail) classification considering domestic design process. It compared each definition of LOD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BIM guideline examples, and figured out insufficiency of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design process and BIM guidelines. Moreover, it drew architects' work articles for promoting the progression of the efficient design process, and analyzed BIM requirements on design process, dividing BIM application scale by field. Through this analyzing process, it finally established BIM making-out standard classified by design process. The effects of establishing BIM making-out standard would include improving a division of labor and cooperation environment by creating integrated BIM model on design stages, advancing work efficiency by preventing a repetition and an increase of work, and upgrading project completeness and design quality. Besides, it can secure BIM work standard by clarifying responsibility for working steps. BIM making-out standard established b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future BIM work standard document and BIM guideline as a data base.

발주단계에서 SLA를 활용한 BIM 서비스 적용 수준에 관한 연구 (Guidelin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Service Application Level using Service Level Agreement(SLA) in the Procurement Phase)

  • 김지윤;윤석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3-90
    • /
    • 2017
  • 최근 건설 산업은 BIM 도입을 의무화 하는 정책과 클라우딩 시스템, 각종 센서기술, 3D 스캐닝 및 프린팅 기술 등의 ICT기술들과 융합으로 BIM이 더욱 활성화 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따른 표현 수준이 다양해지면서 하나의 BIM 프로젝트 내에서 계획,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등 각 분야마다 서로 다르게 적용되어 일관성을 갖기 어렵다. 따라서 BIM 적용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고 발주처의 입장에서 사업초기 단계에 적절한 BIM의 수준을 결정하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IT 분야에서 사용하는 SLA을 활용하여 발주단계에서 사업에 적합한 BIM의 목표수준을 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철도인프라 BIM 성과관리를 위한 업무 및 성과기록 표준 템플릿 개발 (Development of Business and Performance Record Standard Template for Rail Infrastructure BIM Performance Management)

  • 신민호;김환용;최영우;한상천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0-59
    • /
    • 2020
  • Recently, the government has actively promoted the introduction of BIM at the national level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private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BIM has also increased. However, despite the large amount of references and information,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in quantitative ways to accurately measure the performance of BIM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erformance measurement cases using ROI, investment effect analysis, and queue model analysis using domestic and overseas BIM guideline research and to present standard templates that can quantitatively measure BIM performance records according to domestic conditions based on this. Performance measurement trends and cas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BIM were analyzed, and nine quantification elements were derived from this, and based on this, a performance measurement data collection template at the BIM life cycle stage was prepared. Detailed items and contents were prepared for the nine quantification elements, and the final template consisted of a total of 43 questions, divided into the entire stage (15), the beginning (8), the middle (8), and the latter (12) areas. It is expected that by using the standard template of railway BIM performance record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BIM design stage will be diagnosed and the deficiencies will be supplemented, which will be the basic data for measuring actual quantitative performance in all life cycle performance of future BIM projects.

스마트 건설에서 디지털 측량정보의 활용 (Using Survey information of BIM-applied Project - Construction Industry Specialist Interview -)

  • 조재희;최영우;이지우;김환용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3-42
    • /
    • 2020
  • Recently, in the smart construction fiel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spatial information of 3D data base quickly and accurately using drones, LiDARs and ARs,. Most public ordering institutions are pushing for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work through establishing and announcing road maps and guidelines for utilizing BIM for the entire life cycle of construction. However, in most policies, the impact of 3D data on the entire life cycle is limited by only partially constructing and utilizing 3D data or by being mentioned. In addition, many public institutions, construction companies and planning companies did not actively utilize survey information during the actual construction phase, despite the possibility of using 3D survey information. In order to confirm the utilization of survey information, a total of eight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by experts. The analysis shows that most of companies lack the performance of drone measurements or have a lack of awareness of advantages, and among them, construction companies are relatively active. Based on these opinions, this study examined the usability of surveying information and examined measures to expand the utilization of survey information in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technology development aspects and industrial development.

BIM기반 사회기반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표준화 가이드라인 연구 (A Study on Standardization Guidelines for BIM-based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ivil Infrastructures)

  • 지승구;김지원;서종원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53-161
    • /
    • 2013
  • 본 논문은 토목 시설물의 유지관리 분야에서 BIM을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표준화 항목과 그 추진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관한 가치사슬과 BIM의 기술적 특성을 분석하여 가치사슬 상에서 최초로 수행되는 손상정보의 기록 방식이 BIM의 정보운용 방식과 매우 유사함을 밝혔다. 또한 시설물 유지관리 가치사슬 단계별로 수행되는 업무에 부합되는 BIM 데이터를 생산하고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화 항목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표준화 항목은 시설물의 전 생애주기에서 공통으로 적용되는 표준과 시설물 유지관리 목적에 맞추어 특화된 표준화 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구분된 항목에 대하여 표준화 추진 시 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을 법령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BIM기반 사회기반 시설물 유지관리 도입을 위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 (A Feasibility Study to Adopt BIM-based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 김정환;지승구;정태형;서종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285-292
    • /
    • 2014
  • BIM은 건설 전단계를 포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2016년 조달청이 발주하는 정부기관 건축공사에서 BIM 설계를 전면 의무화 하는 등 BIM 기술의 도입이 점차 가속화 되고 있다. BIM 기술은 건축분야에서 벗어나 점차 사회기반시설물로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미 국내 토목건설 공사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적용 타당성이 검증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건설 생애주기에서 가장 넓은 범위를 차지하는 유지관리 단계로까지 확장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경제성 검토와 BIM기반 유지관리 가이드라인도 출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기반 시설물의 BIM기반 유지관리 기술 도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교량과 터널을 적용 가능한 사회기반 시설물의 범위로 판단하였고 편익/비용비(B/C ratio)를 활용하여 BIM 기술의 유지관리 도입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 하였다. BIM 모델의 세밀도별로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분석한 결과 편익/비용비는 교량의 경우 중간 이상의 세밀도에서, 터널은 높은 세밀도에서 1.00 이상의 값이 산출되어 시스템 도입의 경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