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on music education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8초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육태도 및 음악교수효능감이 음악교육실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nt Knowledge in Music Education, Attitude on Music Education, and Teaching Efficacy in Music Education on Their Practice in Teaching Music)

  • 김선영;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6호
    • /
    • pp.231-238
    • /
    • 2024
  •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육태도,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실제 간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육태도 및 음악교수효능감이 음악교육실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하는 유아교사 360명이다. 주요 변인은 설문지를 통해 측정되었으며,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SPSS 27.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수준이 높고 음악교육태도가 긍정적이며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음악교육실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육태도 및 음악교수효능감 수준이 음악교육실제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음악교육실제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음악교수내용지식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이어서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태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실행되는 유아음악교육실제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 지식과 음악교육태도 및 음악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유아전통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변화와 리듬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Music Attitude and Rhythmic Sense)

  • 정애경;이윤경
    • 아동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5-12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on the development of musical attitude and rhythmic sense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42 four or five-year-old children enrolled in two classes of a public kindergarten. Half were in the experimental and half were in the control group. Instruments were "Music Interest Test for Young Children" (Kim, 2000), "Musical Attitude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Ahn & Han, 1999) and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Gordon, 1986). The procedure included pre-test, treatments and post-test paradigm. Experimental group had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three times per week, including listening, appreciation, singing, playing traditional instruments and creative movement. The control group was merely provided with materials related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Data was analyzed by t-test.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ic attitude and rhythmic sens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PDF

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감성리더십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and Emotional Leadership on Music Teaching Efficacy)

  • 이미숙;조성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5-144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and emotional leadership on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in the music education. Methods: 301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the music attitude scale, music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emotional leadership scale, and questionnaire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usic experiences.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higher music teaching efficacy in case of at least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period, having a post-graduate degree, having a music training experience, enjoying learning musical instruments and singing and listening to music during regular music lessons, and having a long music training experience. Similar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subfactors of music teaching efficacy.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r=.172-.659, p < .001) in the total and subfactors score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emotional leadership, and music teaching efficacy. Lastly,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and their emotional leadership were explained at 39~52 percent for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belief, knowledge and feeling about music education.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수내용지식, 교수효능감과 교사의 태도 간의 구조분석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s Attitude for Childhood Music Education)

  • 김지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0-278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사이에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고자 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적절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확인하였다. 첫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유아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음악교수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 효과는 부분매개 효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음악적 발달을 위한 유아 교사의 전문성 강화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유아 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변수가 유아들의 음악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가정환경변인과 유아교사변인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and Teacher Variables on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Attitudes)

  • 정혜선;김수영
    • 아동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5-137
    • /
    • 2008
  • This study used path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and teacher variables on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attitudes. Participants were 235 children, their parents and 13 teachers of kindergartens located in G city in Gyeongbuk Province. Instruments were the Primary Measurement of Music Audiation(Gordon, 1986), the Music Teaching Efficacy Instrument(Riggs & Enochs, 1990), and questionnaires about children's musical attitudes, home environment and music activiti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 variables affected children's musical ability directly and indirectly and children's attitude affected their musical ability directly. Psychological and physical variables of the home environment affected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attitudes positively.

  • PDF

음악활동으로서의 일상생활놀이 - 교육목표 및 방법 (Ordinary Life Plays as Musical Activities - Objectives and Methods)

  • 노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권1호
    • /
    • pp.47-65
    • /
    • 2005
  •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음악수업의 교육적 목표 가운데 중요한 한 가지는 음악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확립하는 것이다. '나는 음악이 참 좋아' 이 생각은 비단 유아뿐만 아니라 연령을 막론하고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전제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음악소리를 향하여 귀를 기울이며 마음을 열고 음악과 반응할 수 있도록 만드는 태도가 형성되어 있다면 교육의 과정에서 따르는 어려움과 좌절은 그 만큼 줄어들 것이며 궁극적으로 극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좋아하는 마음의 힘에 대하여 교육학자들 모두가 주목하고 있으나 좋아하는 마음을 키워주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하는 지 유아기 교육현장의 환경조성에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 사실이다. 음악학습이론의 주창자 고든 (Edwin E. Gordon)은 유아기에 마련되어야 하는 음악교육환경의 조건은 음악적으로 풍부하여야 한다는 원론을 제시하고 있다. 유아라는 이유로 단순하고 쉬운 음악만을 들려주거나 아동을 위하여 작곡된 동요에 음악세계를 국한하거나 아이들은 잘 듣지 못하므로 음질이 떨어지는 음악을 들어도 무방하다는 생각은 잘못되었다고 분명히 선을 긋는다. 유아들이 최상의 음악을 듣고 자라나야 하며 그것도 상호작용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교육환경이 필요조건이라고 하였다. 음악학습이론의 철학과 방법론의 틀 속에서 유아들의 음악 감수성의 성장을 돕는 '오디'가 교육대상의 긍정적인 음악태도를 형성하는 전략의 하나는 음악을 일상생활 속에서 살아있는 대상으로 느끼게 돕는 것이다. 음악이 자신과 뚝 떨어져있는 객관적 대상이 아니라 이야기를 나누고 자신의 실생활 속에서 즐거움을 주는 친구라는 생각을 하게끔 돕는 것이다. 음악을 좋아하는 힘 속에서 음악을 이해할 수 있는 경험능력 즉 오디에이션 능력이 건강하게 자라날 수 있다고 믿는다. 즐거운 교육현장을 조성하려는 오디의 음악활동, 일상생활 음악놀이가 많은 아이들에게 음악을 따뜻하게 느끼도록 도와주기 바란다. 소리 그 자체는 음악이 아니며 그 소리가 마음속으로 의미 있게 다가올 때 비로소 음악이 된다는 음악학습이론의 철학을 실천하는 노력이 일상생활놀이의 의미이다.

  • PDF

세계시민교육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 운영 효과 조사 연구: 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 교육태도 및 교수효능감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Effects of a Music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정주연;신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1호
    • /
    • pp.47-74
    • /
    • 2023
  • 본 연구는 A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15명의 예비 음악 교사들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 역량 제고를 위한 강좌를 개발 및 실현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강좌는 세계시민교육의 여러 주제 중 다양성과 포용을 바탕으로 한 다문화 교육에 중점을 두고, 관련 이론 탐색을 통해 음악의 사회·문화적 산물로서의 본질을 이해하고, 참여자 주도로 중학생을 위한 수업 방안을 개발 및 실현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 강좌 전후로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태도가 향상되었고, 특별히 교사의 역할에 대한 태도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강좌가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다양성 및 다문화 교육과 관련한 인식과 편견을 반성하고 음악 교사로서의 역할을 고민하도록 도왔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둘째, 다문화 교수 효능감의 향상 중 다문화 상황에서의 교육 및 다문화 교육 교수 효능감 향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성찰지를 통해 본 강좌가 음악의 사회·문화적 산물로서와 상징적 표현 가능성의 가치를 깨닫도록 한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좌는 실질적인 삶의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변혁적 교수법의 필요성 인식과 실천, 음악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와 탐색을 바탕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의 여러 주제들의 접근을 도와 예비음악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역량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사물놀이 지도법 개발과 이를 통한 국악의 인식 변화 연구 (Investigation on the Perception Changes of the Korean Music through Developing A Teaching Method for Samul-nori)

  • 이가원;김영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4-122
    • /
    • 2012
  • 본 연구는 웃다리 사물놀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반학생들의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물놀이 수업을 음악 정규 교육과정에 재구성하여 주 2회 총 10차시에 걸친 사물놀이 연주 활동을 통해 직접적이고 다양한 전통음악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하였다. 학생들이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본 장단의 이해와 더불어 사물악기를 직접 다뤄볼 수 있게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보다 흥미있는 전통음악활동이 되도록 하였으며, 사전 사후의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조사하였다. 웃다리 사물놀이 학습활동의 적용 결과 국악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사물놀이에 대한 인지도나 국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있었다. 지금까지 단소를 중심으로 한 국악 실기 교육보다 사물놀이 수업방법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계속적인 사물놀이 교육을 원하며 사물놀이 수업이 국악에 대하여 관심도를 높이는데 매우 효과가 컸음이 확인 되었다. 사물놀이를 정규 음악 교육과정에 어떻게 재구성 재편성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서양음악에 편중된 교육을 받았던 학생들에게 국악의 직접적인 연주 경험은 학생들이 우리 장단에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를 통하여 우리 전통음악, 전통악기에 대한 관심과흥미를 유발시키며, 더 나아가 전통음악을 계승하고, 새롭게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교육목표 및 교과목을 중심으로 (Expert Delphi Survey on Educational Goals and Subjects for Developing a Music Gifted Curriculum)

  • 이경진;최진영;최나영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807-827
    • /
    • 2014
  • 본 연구는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음악영재 교육목표와 교과목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및 해외 음악영재기관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기능영역(청각관련기능, 연주관련기능), 창의표현영역(창의적 표현력), 지식영역(음악인지 능력과 관련학문능력), 태도 영역(태도)의 총 19개 교육목표와 전공실기, 기초실기, 이론, 통합 및 사회활동 영역의 총 18개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교육목표 및 교과목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음악, 음악교육 및 음악영재교육 전문가를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여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지는 평균,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Ratio: CVR)와 합의도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최종 확정된 교육목표는 6개의 기능영역 목표, 4개의 창의표현 영역 목표, 4개의 지식영역 목표, 그리고 2개의 태도 영역 목표로 구성되었고, 교과목은 4개의 전공실기 교과목, 5개의 기초실기 교과목, 4개의 이론 교과목, 3개의 통합 및 사회활동 교과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음악영재교육에 있어서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음악치료에서의 음악테크놀로지 활용 (Use of Music Technology in Music Therapy)

  • 박예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2권2호
    • /
    • pp.61-7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사의 컴퓨터를 기반으로 음악테크놀로지 활용 현황과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를 위해 전문 자격증을 소지한 음악치료사 367명에게 온 오프라인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101부가 회수되었고 미완성되거나 대상자 기준에 맞지 않는 50부를 제외한 61부를 최종 분석 하였다. 설문 문항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음악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현황, 인식, 치료사의 의견으로 구성되었다. 음악치료에서 음악테크놀로지의 활용현황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답자 중 65.6%(40명)가 세션 내 음악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경험이 있으며, 활용비율이 높은 음악테크놀로지의 종류는 피날레, 가라지밴드, 큐베이스 순으로 조사 되었다. 음악테크놀로지의 적용 현황을 살펴보면 음악 혹은 정서영역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주로 사용하며, 음악 자원으로 적용하는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대부분의 음악치료사들이 음악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기술 습득에 대한 필요성이 확인 되었다. 이 외에도 음악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취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 임상현장에서 음악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현황과 이에 대한 인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보다 효과적인 음악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