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stic Spirit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4초

창살문양과 LED조명의 병치(併置) 혼합적 특성을 적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Furniture Design Applied with the Juxtaposition Mixture Characteristic of the Lattice Pattern and Led Lighting)

  • 송윤섭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3-12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new direction on the field of the furniture design an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furniture design as the flow of craft's juxtapose mixture era where it mix and match Korean traditional craft style materials with the modern furniture design.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create new furniture design and propose beautiful Korean luxury furniture design based on the precious unique culture with the traditional craft style, juxtaposition of modern furniture, and reinterpretation. It should grant artistic values that can satisfy consumers having various tastes and scarcity values, plus it should put out aesthetic and creative expressions in furniture design putting into the beautiful traditional craft form values.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create new design through values and spirit, materials, techniques, forms, pattern, and usages by interacting, coordinating, and combining tradition and modern East and West, plus craft and design.

  • PDF

동아시아 전통건축의 보전철학과 원리 (Conservation Philosophy and Principles for Traditional East Asian Architecture)

  • 정승진;김창성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25-34
    • /
    • 2009
  • The modern philosophy of historic conservation focuses on the permanence of the material aspects of monuments as historic evidence of the artistic achievement of the past. However, so strongly are European attitudes to architecture and its conservation embedded in modern conservation, that it has skewed all conservation thinking towards the concept of the European-type monument which emphasizes visual beauty through its material substance. Thus, some basic ideas of modern conservation seem ill-suited to East Asian architecture which is conceived in a different spirit from its European counterpart. The purposes of the paper are to discuss the need for approach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modern Western view of conservation for East Asian architectural heritage, and to make suggestions for developing conservation principles more suited to the unique values and aesthetic sense of East Asian culture and architecture. Conservation principles in the East Asian societies are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spiritual and naturalistic sensibilities of East Asian culture and architecture.

  • PDF

자개와 자작나무합판의 특성을 적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Furniture Design Applied with the Characteristic of Mother-of-pearl and Birch plywood)

  • 송윤섭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5-25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new direction on the field of the furniture design an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furniture design as the flow of craft's juxtapose mixture era where it mix and match Korean traditional craft style materials with the modern furniture design.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create new furniture design and propose beautiful Korean luxury furniture design based on the precious unique culture with the traditional craft style, juxtaposition of modern furniture, and reinterpretation. It should grant artistic values that can satisfy consumers having various tastes and scarcity values, plus it should put out aesthetic and creative expressions in furniture design putting into the beautiful traditional craft form values.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create new design through values and spirit, materials, techniques, forms, pattern, and usages by interacting, coordinating, and combining tradition and modern East and West, plus craft and design.

  • PDF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 남종화(南宗畵)의 예술심미 고찰 (The foundation and Characteristic on the Aesthetic of EuiJae Huh BaekRyun' Namjonghwa)

  • 김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8
    • /
    • 2020
  • 호남 남종화의 상징적 거목이자 호남문화의 스승으로 추앙받는 의재 허백련(1891~1977)은 진도출신으로 소치 허련의 방계이며, 미산 허형의 제자이다. 전통 남종화 정신과 그 기법에 충실한 화격(畫格)을 자득(自得)·자화(自化)하였다. 의재(毅齋)는 광주에서 '연진회(鍊眞會)'를 발족시켜 후진양성을 도모하였고, 해방 후 무등산 아래 산장을 짓고 다도인으로서, 그리고 민족정신을 강조하고 실천했던 사회교육자로서의 또 다른 면모도 보였다. 그는 한시와 화론에 조예가 깊었고, 서예에 있어서 독특한 심미경지를 구현하는 등 시(詩)·서(書)·화(畵) 삼절(三絶)의 전형적 서화가였다. 의재(毅齋)는 특히 산수화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그의 화풍은 예황풍(倪黃風)의 갈필(渴筆)로써 기존 화법을 준수하면서도 문기(文氣)를 중요시 여겼으며, 탈진습기(脫盡習氣)하여 새로운 실험정신으로 끊임없이 도전했다. 의재(毅齋)의 작품세계는 화풍이나 추구하는 관점의 변화를 작품에 사용한 낙관(落款)을 기준으로, 고법(古法)과 사의간원(寫意簡遠)의 숙련기였던 '의재(毅齋)'시대, 실경(實景)과 남화(南畵)의 융합 화풍으로 절정기를 보였던 '의재산인(毅齋散人)'시대, 청담평안(淸談平安)한 신품경지(神品境地) 구현으로 독자적 화풍을 이룬 '의도인(毅道人)'시대 등 총 3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의재(毅齋)의 공헌은 동양회화의 지류인 한국회화문화의 정통 남종화에 대한 한 축을 이어왔다는 미술사적인 평가를 넘어 남도화의 보편적 정신과 지역적 특성을 바탕한 실경과 정서를 살린 창의적 계승을 통하여 현대를 잇는 조종(祖宗)이었음을 인식하고, 그의 예술정신과 전통에 대한 열정과 실험정신을 계승해야 할 것이다.

김수현 대사의 바흐찐적 독해 2 바흐찐 대화주의 이론의 카니발적 요소를 중심으로 (Bakhtinian Reading of the Su-Hyeon Kim's Lines 2 Focused on Carnivalistic Component of Bakhtinian Dialogism Theory)

  • 유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31-643
    • /
    • 2018
  • 본고는 김수현이라는 TV 드라마 작가 1명에 관해 최초로 시도되는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연작 논문으로 직전 연구를 통해 김수현 대사의 개념적 특성으로 바흐찐 대화주의의 핵심 개념인 '다성성'을 제시한데 이어 그 구체적 방법 요소로 바흐찐의 카니발 창작이론인 '그로테스크 리얼리즘'과 '비공식적 광장언어'를 적용 분석한 연구이다. 본고는 3부작 특집극인 <어디로 가나>(SBS, 1992)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김수현 대사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의 요소, 즉 전복과 파괴, 생성의 특성을 알아보았고, '비공식적 광장 언어'의 요소 즉 민중성과 즉물적 육체적 언어, 자기 해방의 발화로서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이처럼 김수현 대사 연구에 있어 통상 분리되어 적용 연구되는 바흐찐 '대화주의' 이론'과 '카니발 이론'을 통합적으로 전작에 이어 적용 연구함으로서 바흐찐 이론 적용의 문제를 극복하는 한편 김수현 작가론, 특히 대사론의 연구 밀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김수현 작가는 바흐찐의 대화주의 핵심 개념인 '다성성'을 대사 창작, 나아가 언어 인식의 근본 개념으로 삼고 있음을 확인한 데 이어 허위에 가득 찬 세계를 즉물적, 육체적 민중 주체의 비공식적 광장언어로 격하, 전복시키고 이에 그치지 않고 자기비판의 부정과 긍정, 해방, 생명을 획득하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대사의 양가성이란 차별성을 획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드라마 대사의 역할론에서 벗어난 발화로서의 언어에 대한 작가의 치열한 인식이란 작가 정신의 결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런 김수현 작가의 차별성과 작가정신이 한국 드라마 크게는 방송 콘텐츠 산업, 대중매체 창작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구분,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후속 연구로 제시하였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Eroticism 에 관한 연구-초현실주의와 팝 아트의 Eroticism을 중심으로

  • 이효진
    • 복식
    • /
    • 제23권
    • /
    • pp.111-13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minate eroticism represented din modern fashion. Art based on sex is very important like all of the other cultural values. But we feel that erotic art, neglected, suppressed , and persecuted for centuries, ha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make to the understanding of art, the social history of mankind, and human happiness and progress. It is our deep personal conviction that erotic art serves important social and therapeutic functions. Erotic art expresses the demand for sexual freedom-a freedom vital to individual happiness and mental well-being, And sexual freedom, in turn, cannot exist without a high degree of political and economic freedom as well. In that sense , erotic art came a truly revolutionaly message ; it demands no less than extension of freedom , not only in the sexual are, but in every sphere of social life. What is eroticism \ulcorner Eroticism must be distinguished from a mere animal reproduction . Eroticism is deeply rooted in the cultural tradition of myth, religion , customes and art. It also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activities of our life. Eroticism is a kind of psychological revolution in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Eroticism is related to different kinds of art, which express internal spirit of human especially Surrealism. Surrealism is above all a movement of the conquest and deepening of the unconscious. The exploitation of Freud's discoveries opended a new, practically unlimited path for artistic studies to Surrealism . Especially all theory of mental psychoanalysis a affected artists greatly in western art, Freud was appraised highly on his achievements by art critics in art history on his achievements by art critics in art history. As far as erotic subject matter was concerned, Surrealism provided a means of presentig it. Pop Art is not actually a movement , born at a specific time and place, nor is it an easy concept to define. The term first appeared in Great Britain during the fifties, when it referred, particularly in the decorative arts, to an inclination to go back and imitate the stereotyped images of the mass media : film, advertising , cartoons, and other popular consumer products. The eroticism expressed in Pop Art calls the modern's attentions to their devastated minds, taking advantage of the commercialized sex. Fashion has developed constantly reflecting the spiritual aspiration and social and cultural phenomona of man , and artistic steam. Eroticism in fashion is the style which expresses the internal meanings of sexuality through the texture, color, pattern , silhouette etc.

  • PDF

태평양 연안 지역 북극권 복식 특성 연구 (A Study on Costume of Arctic Circles in Pacific Coast)

  • 김문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7권3호
    • /
    • pp.35-49
    • /
    • 1999
  • The North Pacific Arctic region has common factors such as climatic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y of animals inhabiting the region. But also there exists geographical barriers that separates the tribes, different languages between the tribes. Although there are such differences, the clothing and ornaments of the region have relatively similar design and style. And above all possess the ‘spirit’. The tribes find the motives of such ‘spirit’ in human, animal, and soul\`s adaptability to change and in grafting such changes of forms into clothing. Especially as means of pleasing the animal that they vitally rely on, the tribes made the clothing as beautiful as the nature itself and they tried to connect the humans and animals universally through such clothing that have social, artistic, and enchantic conditions. The supply of raw materials of animals has elevated the creativeness one step up and the precise knowledge about fur show their superior techniques in making fur clothing. The use of gutskin has is an excellent example of such knowledge, which is very unique of the region. The gutskin has moderate plasticity and thus can be cut into all sorts of pattern. It harmonizes the functionality and practicality. The worldwide fashion trend is dominated by Western style, but the clothing of this region is still keeping its distinctive folk identity. At the start of the research, Kayak and itelmen tribes of Asia, the tribes of Amur river and Aleut and Tlingit tribes of North America seems to be geographically too far from each other and therefore searching theoretical background for common cultural origins seems to be immoderate. But lighting the fact that geographical adjacency that can be perceived through costume cultural histor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gives mutual influences to costume culture between the neighboring tribes, cultural relative similarity of the costume is influenced by geographical location rather than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tribes. Also humans\` adaptability to their environment is seriously contaminated with man-made products. This study on North Pacific Arctic region is telling us many things about our past, present and future.

  • PDF

남산2호터널 조형물 설계 (Landscape Design for Renovation of the Second Namsan Tunnel)

  • 김신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63-69
    • /
    • 2002
  • The Second Namsan Tunnel required renovation. The landscape design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comprehensive programs for renovation. The landscape design covered sit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 working drawing and a maintenance plan. In May of 2001, the Second Namsan Tunnel was renovated and reopened to traffic. The tunnel was recreated as a new type of tunnel with function and beauty. The entrance and retaining wall of the tunnel has public character. Users are greatly affected by the entrance and retaining walls along roads. The landscape architect had to find new materials and methods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to combine artwork with the entrance and walls of the tunnel. The surface of the tunnel entrance and retaining walls are artistically treated with ceramic tiles and paint. Variou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meaning are symbolically expressed. Or the tunnel entrance from the Joong-gu side, entitled "Glory of the Future", the hibiscus symbolizes the bright and glorious future of Korea. On the retaining walls, entitled "Hope", the promising Joong-gu is symbolized through image of Korean magpies, mountains, rocks, roses, winds and nature. As for the tunnel entrance from the Yongsan-gu side, entitled "Vivid Spirit", pine trees symbolize the Koreans′strong will and an enterprising spirit. On the retaining walls, entitled "Lively Motions", Yongsan-gu is symbolized through image of pigeons, mountains, rocks, roses, winds and clear skys. The entrance and retaining wall of the Second Namsan Tunnel, whose surfaces are treated with tiles and paint with artistic value, would create an atmosphere using large-scale wall paintings. In this artwork, users would perceive a unique sense of place through the symbolic images of the vertical planes of the tunnel.

宋代画论中的理性精神 (Rational Spirit for Painting Theory of the Song Dynasty)

  • 진곡향
    • 동양고전연구
    • /
    • 제59호
    • /
    • pp.405-428
    • /
    • 2015
  • 중국회화에서는 이미 오랜 전에 '이(理)'를 언급하였다. 송대(宋代) 이전에 교화(敎化)하고 인륜(人伦)을 돕는 것은 중국회화의 주요한 사회기능이었다. 따라서 송대(宋代) 이전에서 회화(绘画) 중에 체현된 '윤상지리(伦常之理)'는 가장 중요시 되었고 화론(画论) 중에서도 회화의 '자연지리(自然之理)', '사변지리(思辨之理)', '예술지리(艺术之理)'가 어쩌다 언급될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송대(宋代)에 이르러 회화(绘画)의 '자연지리(自然之理)', '사변지리(思辨之理)', '예술지리(艺术之理)'는 광범위하게 중시되었고, '윤상지리(伦常之理)'도 몰락하지 않고 '산수화(山水画)', '화조화(花鸟画)' 등과 같이 새로운 회화소재를 찾아내었다. '이성정신(理性精神)' 의 체현은 회화작품에서 가장 중요하게 요구하지만 필연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본문에서는 송대 화론 중에 체현된 '이성정신(理性精神)'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여기에는 그린 대상물 사이에 존재하는 지리적, 물리적 차이 등과 같이 관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자연지리(自然之理)'를 포괄한다. 또한 관찰의 기초 위에 사고를 조금 첨가한, 즉 알 수 있는 '사변지리(思辨之理)'를 포괄하니, 송나라 사람들은 '상리(常理)'라고 불렀다. 송나라 사람들은 회화작품 중에서 어떤 곳이 '상리(常理)'에 부적합하면 전체작품의 풍격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였다. 여기에는 또한 '정경지리(情境之理)'도 포괄한다. '정리(情理)'는 연상력에 대해 매우 높은 요구를 제기하였으니, 사고력이 한층 더 심화된 것이다. 일례로 화가가 관현악으로 구성된 음악연주회를 그릴 때에 관악기는 손가락을 눌러 소리를 내고 현악기는 줄을 타서 소리를 내는 것에 근거하여 관악기와 현악기 연주들의 순간적인 손동작을 정확하게 그려내야 한다. 여기에는 더욱 '예술지리(艺术之理)'를 포괄하니, 송나라 사람들은 '신리(神理)' 혹은 '묘리(妙理)'라고 불렀다. '신리(神理)' 혹은 '묘리(妙理)'는 창작자의 관찰과 사유 이외에도 창작자의 정신이념을 더하여 예술적 경지로 승화시키기를 요구한다. 그 일례로 '설중파초(雪中芭蕉)'라는 작품은 이미 관찰하여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생각하여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창작자의 '금강불후(金剛不朽)' 정신이념에 의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윤상지리(伦常之理)'도 포괄한다. 화가는 종종 인물화의 풍자적인 고사, 심지어 산수화의 우뚝한 구도를 통해 봉건 국가의 윤상(倫常)관계 및 사대부 개인의 '군자지도(君子之道)'를 나타내었다. '지리(地理)', '물리(物理)', '상리(常理)'는 모두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대해 자세하게 관찰함과 동시에 자신의 이성적 사고력을 요구한다. 그리고 '정리(情理)', '신리(神理)', '윤상지리(伦常之理)'는 자세한 관찰을 바탕으로 회화의 의경(意境)과 인생의 경계 위에 회화의 격조를 승화시키기를 요구하니, 즉 기예로 도에 나아가는 것이다. 이는 송나라 사람들이 회화작품에 대한 6종의 순서대로 증가하는 이성(理性)요구이다. 따라서 '종구기리(終求其理)' 는 송대 화론의 기본적인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송대 이후에 '이(理)'는 중국 고전 회화미학 중에서 전형적인 범주가 되었다.

인물화(人物畵)의 사의성(寫意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expressing an artist's inner world as well as the external shape of a figure in a figure painting)

  • 이소영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1권
    • /
    • pp.153-199
    • /
    • 2007
  • 동양회화에서 '형사(形似)'와 '신사(神似)'는 대상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화두로 인식되었으며 특히 인물화에서는 인물의 정신을 전달하는데 있어 '형사'와 '신사'는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고개지(顧愷之, 약$345{\sim}406$)는 형사와 신사를 표현하는데 있어 '전신(傳神)'의 개념을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회화비평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다. 그는 먼저 형(形)을 통해 정신을 드러낼 수 있음(이형사신(以形寫神))을 제시함으로써 창작자는 작품에 '의(意)'를 그려내고 감상자는 표현된 '의'를 체험하는 것을 중요한 예술행위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인물화는 형상의 재현이라기보다는 그려진 대상의 인격과 성품을 드러내는 것이며, 창작자 스스로 인격을 도야하여 성인의 도(道)를 표출하는 것을 예술이라 여김으로써 예술적 심미주체인 작가의 의를 중시하였는데 이른바 이것이 전신의 개념으로 발전되었다. 본고에서는 고개지의 '전신사조론(傳神寫照論)'이 소식(蘇軾)의 '사의론(寫意論)'으로 계승되고 이러한 사상이 한국에서는 이형사신(以形寫神)의 원리에 충실한 윤두서(尹斗緖)의 '화도론(畵道論)'으로 이어지는 사의론의 전개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인물화에 내재된 사의성에 대하며 논하고자 하는데 작품에서 형사와 신사의 구분이 모호하듯 '사의성(寫意性)'의 판단의 기준 또한 명확하게 정의하기는 쉽지 않으나, 역대 작품분석을 통하여 보면 작품제작 시 입의단계(立意段階)에서 작가와 대상과의 관계가 중요하며 본고에서는 그 요소를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현대미술은 기법의 홍수라 여길 정도로 많은 기법들이 혼재하고 있으며 마치 상품 특허를 내듯 기법이 작가를 대신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은 인물화에 내재된 '사의성을 파악함으로써 기법 보다는 작가의 구사인 의(意)가 중요함을 입증하여 무분별하게 유행에 편승하는 기법의 남용보다는 창작자의 철학적 기반과 정신적 수양이 중요함을 주장하고 사의론과 실제 인물화를 대입시켜 살펴봄으로서 동양회화의 특성인 사의성을 규명하여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