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xpressing an artist's inner world as well as the external shape of a figure in a figure painting

인물화(人物畵)의 사의성(寫意性)에 관한 연구(硏究)

  • 이소영 (홍익대학교 미술학과 동양화, 단국대학교, 배재대학교)
  • Published : 2007.06.20

Abstract

The East has recognized 'similar forms' and 'similar spirits' as important topics in expressing an object. Figure painting, in particular, has attached importance to 'transmission of spirit'. Gu Kaizhi (345-406) definitely presented the transmission concept and made it the moot important criterion in painting criticism. By identifying the possibility of revealing spirit through a form, he recognized the 'expression of will' in a creator's work and the experience of such 'expressed will' by an appreciator to be the essential acts of art. Thus, he said, a figure painting revealed the character and nature of the depicted object rather than reproducing its form. Regarding art as a person creating the saintly way of life via developing own character, he attached importance to the will of an artist as the central aesthetic subject.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keynote of the spirit expressing an artist's inner world and the external shape of a figure. It is carried out by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Gu Kaizhi's theory (namely spirit transmission and revelation in painting) leading to Su Dongpo's assertion that "the nature of things" and later leading to Yun Duseo's "theory of the way of painting" as the spirit-transmission theory faithful to the principle of revealing spirit through a form in Chosun. The chronological study of the aforementioned works reveals that the relation between an artist and an object is important at the stage of setting aim in producing a work, and this dissertation analyzed it with four elements: (1) creating work based on the viewpoint of nature that heaven and man are one; (2) reflection of the creator's character (including his/her nature, temperament, spirituality, and emotion during the creation) and the artistic merit of a picture; (3) the dialectic unification between the true and the false through space which is a volitional state as creative thinking space; (4) importance of artist's will above the technique used such that a purposeless, inactive and plain work (where human will is combined with heavenly one) was pursued because the picture is regarded coming from the mind created in the unity of host/artist and guest/object. Thus, through his/her intuitive insight is the world where self is united with the cosmos symbolized. Such expression of an artist's inner world and the external shape of a thing pursues the stage of materialization and creates the new modes such as using space, a variety of brushstrokes, and accidentality and improvisation of India ink. In particular, the writer sees that such expression which enables a creator to express his/her nature or personality (and even the emotion) at the time of creation will be highly worth studying in the future, in accord with the pursuit of contemporary painting being expressed as an abstract aspect.

동양회화에서 '형사(形似)'와 '신사(神似)'는 대상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화두로 인식되었으며 특히 인물화에서는 인물의 정신을 전달하는데 있어 '형사'와 '신사'는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고개지(顧愷之, 약$345{\sim}406$)는 형사와 신사를 표현하는데 있어 '전신(傳神)'의 개념을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회화비평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다. 그는 먼저 형(形)을 통해 정신을 드러낼 수 있음(이형사신(以形寫神))을 제시함으로써 창작자는 작품에 '의(意)'를 그려내고 감상자는 표현된 '의'를 체험하는 것을 중요한 예술행위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인물화는 형상의 재현이라기보다는 그려진 대상의 인격과 성품을 드러내는 것이며, 창작자 스스로 인격을 도야하여 성인의 도(道)를 표출하는 것을 예술이라 여김으로써 예술적 심미주체인 작가의 의를 중시하였는데 이른바 이것이 전신의 개념으로 발전되었다. 본고에서는 고개지의 '전신사조론(傳神寫照論)'이 소식(蘇軾)의 '사의론(寫意論)'으로 계승되고 이러한 사상이 한국에서는 이형사신(以形寫神)의 원리에 충실한 윤두서(尹斗緖)의 '화도론(畵道論)'으로 이어지는 사의론의 전개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인물화에 내재된 사의성에 대하며 논하고자 하는데 작품에서 형사와 신사의 구분이 모호하듯 '사의성(寫意性)'의 판단의 기준 또한 명확하게 정의하기는 쉽지 않으나, 역대 작품분석을 통하여 보면 작품제작 시 입의단계(立意段階)에서 작가와 대상과의 관계가 중요하며 본고에서는 그 요소를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현대미술은 기법의 홍수라 여길 정도로 많은 기법들이 혼재하고 있으며 마치 상품 특허를 내듯 기법이 작가를 대신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은 인물화에 내재된 '사의성을 파악함으로써 기법 보다는 작가의 구사인 의(意)가 중요함을 입증하여 무분별하게 유행에 편승하는 기법의 남용보다는 창작자의 철학적 기반과 정신적 수양이 중요함을 주장하고 사의론과 실제 인물화를 대입시켜 살펴봄으로서 동양회화의 특성인 사의성을 규명하여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