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ational Spirit for Painting Theory of the Song Dynasty

宋代画论中的理性精神

  • 진곡향 (중국 절강대학 인문학원 예술학계)
  • Received : 2015.05.28
  • Accepted : 2015.06.25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Painting theorists in Song dynasty often spoke 'Li' when they talked about paintings. But 'Li' of the song dynasty is not limited to the 'ethics'. First, it includes visible 'natural's truth', such as the differences of 'geography' and 'physics' between the depicted objects. Second, it also includes 'common sense' which was based on both the observation and the thinking. The theorists thought if the 'common sense' was improper in the painting, the whole work was invalid. Thirdly, it also includes 'the reasonable sense in special situation', which requires great imagination ability and elaborative faculty. For example, when playing wind instruments and stringed instruments in the same time at the same concert, the painter should accurately draw the different gestures of musicians according to that the wind instrument is 'sound when the finger lift' and the stringed instrument is 'sound after the finger have left' in that moment. Fourthly, it includes 'art reason', theorists call it as 'ShenLi' or 'MiaoLi'. 'ShenLi' or 'MiaoLi' require the creator to join the spiritual concept besides his observation and thinking. For example, 'banana in snow' is neither observed available nor thought of available, but is the result of spiritual concept of creators for seeking everlasting. And at last, it certainly includes 'the principle of ethics'. Painters often highlighted the ethical relations of the feudal nation and the value of individual gentleman through the allegory story of figure painting and even the sudden composition in the landscape painting. 'Geography', 'physical', and 'common sense' are required the meticulous observation and the rational thinking for the painted object. And 'the reasonable sense in special situation', 'the art reason', 'the principle of ethics' are required enhancing painting style in the painting artistic conception and realm of life based on the nuanced observation, making 'technology' into the 'Tao'. This is the six reasonable increasing requirements for the painting work. Therefore, 'seeking the final reason' is the fundamental spirit of painting theory of Song Dynasty.

중국회화에서는 이미 오랜 전에 '이(理)'를 언급하였다. 송대(宋代) 이전에 교화(敎化)하고 인륜(人伦)을 돕는 것은 중국회화의 주요한 사회기능이었다. 따라서 송대(宋代) 이전에서 회화(绘画) 중에 체현된 '윤상지리(伦常之理)'는 가장 중요시 되었고 화론(画论) 중에서도 회화의 '자연지리(自然之理)', '사변지리(思辨之理)', '예술지리(艺术之理)'가 어쩌다 언급될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송대(宋代)에 이르러 회화(绘画)의 '자연지리(自然之理)', '사변지리(思辨之理)', '예술지리(艺术之理)'는 광범위하게 중시되었고, '윤상지리(伦常之理)'도 몰락하지 않고 '산수화(山水画)', '화조화(花鸟画)' 등과 같이 새로운 회화소재를 찾아내었다. '이성정신(理性精神)' 의 체현은 회화작품에서 가장 중요하게 요구하지만 필연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본문에서는 송대 화론 중에 체현된 '이성정신(理性精神)'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여기에는 그린 대상물 사이에 존재하는 지리적, 물리적 차이 등과 같이 관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자연지리(自然之理)'를 포괄한다. 또한 관찰의 기초 위에 사고를 조금 첨가한, 즉 알 수 있는 '사변지리(思辨之理)'를 포괄하니, 송나라 사람들은 '상리(常理)'라고 불렀다. 송나라 사람들은 회화작품 중에서 어떤 곳이 '상리(常理)'에 부적합하면 전체작품의 풍격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였다. 여기에는 또한 '정경지리(情境之理)'도 포괄한다. '정리(情理)'는 연상력에 대해 매우 높은 요구를 제기하였으니, 사고력이 한층 더 심화된 것이다. 일례로 화가가 관현악으로 구성된 음악연주회를 그릴 때에 관악기는 손가락을 눌러 소리를 내고 현악기는 줄을 타서 소리를 내는 것에 근거하여 관악기와 현악기 연주들의 순간적인 손동작을 정확하게 그려내야 한다. 여기에는 더욱 '예술지리(艺术之理)'를 포괄하니, 송나라 사람들은 '신리(神理)' 혹은 '묘리(妙理)'라고 불렀다. '신리(神理)' 혹은 '묘리(妙理)'는 창작자의 관찰과 사유 이외에도 창작자의 정신이념을 더하여 예술적 경지로 승화시키기를 요구한다. 그 일례로 '설중파초(雪中芭蕉)'라는 작품은 이미 관찰하여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생각하여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창작자의 '금강불후(金剛不朽)' 정신이념에 의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윤상지리(伦常之理)'도 포괄한다. 화가는 종종 인물화의 풍자적인 고사, 심지어 산수화의 우뚝한 구도를 통해 봉건 국가의 윤상(倫常)관계 및 사대부 개인의 '군자지도(君子之道)'를 나타내었다. '지리(地理)', '물리(物理)', '상리(常理)'는 모두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대해 자세하게 관찰함과 동시에 자신의 이성적 사고력을 요구한다. 그리고 '정리(情理)', '신리(神理)', '윤상지리(伦常之理)'는 자세한 관찰을 바탕으로 회화의 의경(意境)과 인생의 경계 위에 회화의 격조를 승화시키기를 요구하니, 즉 기예로 도에 나아가는 것이다. 이는 송나라 사람들이 회화작품에 대한 6종의 순서대로 증가하는 이성(理性)요구이다. 따라서 '종구기리(終求其理)' 는 송대 화론의 기본적인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송대 이후에 '이(理)'는 중국 고전 회화미학 중에서 전형적인 범주가 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중국국가사과기금예술학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