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reciation Activities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8초

명화 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그림감상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on Young Children's Appreciation Ability of Pictures and Creativity)

  • 김은아;변길희;심성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07-82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on young children's appreciation ability of pictures and creativit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50 5-year-old young children in two classes of B Day Care Center in the city of J, Jeollabukdo. The childr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25) and a control group(25). The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12 weeks from April 29, 2013 to July 19, 2013. The activities were composed of 3 steps of 'appreciation-expression-exhibition & assessment' on the basis of 2-week basic units. The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composed basing upon the types of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nd storytelling, and expression and exhibition & assessment activities were composed of 4 areas of arts(music/movement/language/ar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generally improved young children's painting appreciation abilities in all sub-areas(observation and description/artist's intention of subject expression/mood of a work/material and technique/artistic factors/attitude to the work). Second, the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generally improved young children's creativities in all sub-areas(originality/fluency/flexibility/imagination).

미술 작품 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t Appreciation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 박화윤
    • 아동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7-290
    • /
    • 2001
  • In this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art appreciation on children's creativity, art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provided for 20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over an 8-week period. Data collected with the use of the General Creativity Test for Children(Chon, 1995) were analyzed by t-test, ANCOVA and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art appreciation activities developed a higher level of creativity on all scales of creativity, including originality, fluency, flexibility, and imagination and in all areas of physical, linguistic, and diagrammatic creativity. Boys were more creative than girls in imagination, originality and physical creativity.

  • PDF

학습주기를 활용한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usic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by Using Learning Cycle on the Mus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 이옥주
    • 아동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1
    • /
    • 2011
  •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usic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on the mus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developed firstly in consideration of the 4 steps of the learning cycle (recognition, exploration, inquiry, application). One group was then taught music appreci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learning cycle. Th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another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musical 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usical ability sum of the treatment groups improved m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More specifically, the treatment group for four-year-olds was seen to have improve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musical abil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is music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has a number of positive effects upon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conduct instruction with an appropriate accompanying learning cycle as part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hen it comes to improving the mus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문화·예술 활동이 직무몰입, 창의적 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n Job Commitment, Creative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 장하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51-62
    • /
    • 2018
  • 과거와 다르게 문화 예술이 경쟁우위 획득을 위한 핵심요소로 인식되면서, 문화 예술에 대한 접근방식과 향유 방식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M금융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문화 예술 활동 참여가 조직의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는 업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창작활동은 직무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감상활동은 직무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상활동은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창작활동은 창의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몰입은 창의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몰입과 업무성과 간의 관계는 직무몰입이 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창의적 행동역시 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화 예술 활동 참여와 업무성과 간의 매개효과를 직무몰입과 창의적 행동으로 살펴본 결과, 직무몰입과 창의적 행동이 창작활동과 업무성과 사이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상활동과 업무성과 사이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몰입과 업무성과 사이의 창의적 행동에 대한 매개효과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그림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orybooks-making Activities Based on Masterpiece Appreciation on the Language Expression and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 이선경;최혜윤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9-6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그림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S유치원과 A유치원 만 5세 유아4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23명 비교집단 24명을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12주 동안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 책 만들기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동일한 기간 동안 명화를 감상한 후 느낌과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언어표현력과 그림감상능력에서의 결과 차이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은 문장길이를 제외한 언어표현력 전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은 그림감상능력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그림감상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명화를 감상하고 그림의 앞-뒤 이야기를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여 이야기책을 만들고 감상하는 과정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그림감상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시사한다.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의 생활체육 참여실태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Undergraduate Physical Therapy Student's Participation in General Sports)

  • 김태우;이진;인태성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2-72
    • /
    • 201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udy about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ion in general sports.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students attending physical therapy at Gimcheon university students. four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2 conditions of sports for all, 2 activities of current sports for all, and 1 thing of sports for all, were extracted from the questionnaires of total 40 items. Result: In the present study, it was found that through the cross-sectional analysis of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life sports activities according to grade, sex, age and living cost level, students participated in less sports activities than other college students. And they participated in non-living sports activities such as appreciation and movie appreci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watching sports games mainly affect the lives of women, especially with less sports activities, and men are more active at 20 to 28 years of age than those aged 20.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to encourage the physical activities of female students and young students of the university and actively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시지각 특성과 시선운동 원리를 활용한 미술 감상 방법과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Way of Art Appreciation and Education Program Using Principle of Perception and Eye Movement)

  • 김미강;장진범;김철현;백준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35-350
    • /
    • 2016
  • 시지각 원리의 교육은 심리학에만 국한되지 않고 미술 감상 교육에도 필요한 학습 과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미술 수업을 표현 활동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국내 미술 교육에서 감상 활동은 축소되거나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감상에 동기 부여를 제공하고 정규 미술 교육을 받지 않은 학습자들에게도 감상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미술 감상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본 논문에서는 미술 작품의 이해를 위해 시지각 원리를 학습하여 새로운 작품을 구상하고 표현하는 활동과 다양한 미술 작품에 대입시켜 감상하는 활동을 제안한다. 먼저 미술 표현에서의 시선운동의 개념과 시선 추적 실험 결과를 통해 얻은 시지각 원리의 특징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시지각 원리와 시선운동과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이를 기반으로 회화 작품 해석에 사용되는 시선운동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펠드먼 비평 양식을 도입하여 시지각 원리를 학습할 수 있는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그리고 3장에서 분석한 두 개의 회화작품을 제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에 적용한 예시를 제시한다.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유아 소그룹 동시짓기 활동의 효과 (A Study on Children's Poetry Activity through Integrative Music Appreciation Program in A Small Group)

  • 박부숙;임명희;박윤조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3-258
    • /
    • 2017
  • 음악적 경험 중에서 감상활동은 다른 음악 활동에 선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인식 부족과 교수 방법의 어려움 때문에 소홀히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생각을 반영하여 통합적 음악 감상을 구성하고 유아들이 음악 감상에 흥미를 갖게 하며, 유아 스스로 음악적 개념이나 구조를 발견, 창작할 수 있도록 하였고, 연계활동으로 유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동시로 표현하였다. 만 3, 4세의 발달 특성상 개인별 동시 짓기의 어려움이 있어서 자신의 의견을 나누며, 또래들의 반응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소그룹 토의를 통한 동시 짓기로 접근 하였다. 현장에서 음악 감상과 동시 짓기 활동을 어려워하는 교사들에게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아의 생각을 반영한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소그룹 동시 짓기를 한 결과 유아들은 초기에는 음악 감상을 위한 준비과정에 더 많은 비중을 두었으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음악적 개념을 발견하고, 음악 감상에 적극적이었다. 연계활동으로 동시를 지을 때 또래의 이야기를 들으며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자극이 되었고, 동시에 관심이 없었던 유아들도 참여도가 높아졌으며, 교사도 유아의 창의적인 단어에 흥미를 보였고, 유아들과 함께 창작의 기쁨을 느꼈다.

디지털미디어 기반 미술 정보 활용 방안 연구 - 미술 감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Art Information Based on Digital Media - Focusing on Art Appreciation Mobile Application -)

  • 허유경;박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19
    • /
    • 2016
  • 디지털 매체의 등장은 기존의 미술 정보 아카이빙(archiving)을 기준으로 관람객의 적극적인 개입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관객들은 미술관이 제공하는 정보를 해석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미술관이 구축해온 아카이빙 자료가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관객에게 유의미하게 전달 될 수 있는 정보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제공되는 디지털 기반 미술 정보 제공 서비스 중 모바일의 사례를 크게 후퍼 그린힐(Hooper-Greenhill, E)의 주제어를 기반으로 콘텐츠 맥락의 측면과 정보 전달 방식, 기능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 후 분류된 세부 주제어들을 관람객의 감상 단계에 입각해 재배열 하였고, 재구성된 정보의 구조는 미술관이 주체가 된 정보의 유형화와 제공이 아닌 관람객의 이해 단계를 주체로 한 정보 구조를 구축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미술 정보 활용 방안은 향 후 웹을 기반으로 한 미술관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실제적 서비스 구축의 구체적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Development of the K-12 Scienc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Earth System and Environment

  • Lee, Eun-Ah;Fortner, Rosanne W.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23-72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based on the Earth system based program to help students achieve science literacy.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be connected across grade level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constructed to have meaningful interdisciplinary context. All the activities in the program were inquiry-based, an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considered essential throughout the program. In addition, appreciation and stewardship for the Earth system were systematically emphasized on any grade level. Design of the program applied U.S.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for the quality of and conditions for school science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