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nt enzyme

검색결과 1,245건 처리시간 0.037초

각종 약용 식물 첨가가 전통 인삼주의 품질 특성과 생리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Plant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raditional Ginseng Wine)

  • 이은나;이대형;김신범;이승환;김나미;이종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102-108
    • /
    • 2007
  • 고부가가치를 가진 전통 인삼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각종 약용식물들의 첨가가 인삼주의 품질과 생리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전통 인삼주 제조용 최적효모를 선발하기 위하여 2종류의 시판 알코올발효효모와 청주제조용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인삼주를 제조한 결과 시판효모인 Fermivin으로 발효시킨 전통 인삼주가 에탄올 함량이 17.0%로 비교적 높았고 기호도도 제일 우수하였다. 또한 각종 약용식물첨가가 전통 인삼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시판효모인 Fermivin을 0.4%, 시판곡자와 정제효소를 각각 g당 36sp씩 2:1의 비율로 혼합하여 담금한 주모에 1% 인삼과 0.5%의 하수오와 갈근을 첨가하여 $25^{\circ}C$에서 20일간 발효시킨 인삼주가 에탄올함량이 16.8%로 제일 높았고 기호도도 제일 우수하였다. 최적 발효일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발효 중 생리기능성의 변화와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발효 20일에 항고혈압활성을 나타내는 안지오텐신전환 효소 (ACE)저해활성이 78.9%로 높았고 기호도도 제일 우수하였다. 그러나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은 발효 15일에 8.2%, 20일에 9.2%를 보였을 뿐 여타의 생리기능성은 없거나 매우 미약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항고혈압활성이 우수한 고급 전통 인삼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시판곡자와 정제효소를 각각 g당 36sp씩 2:1로 혼합하여 증자미와 물과 시판효모인 Fermivin 0.4%와 인삼 1%로 1차 담금하여 $25^{\circ}C$에서 4일간 발효시킨 후 갈근과 하수오를 각각 0.5%첨가하여 다시 $25^{\circ}C$에서 16일간 발효시키는 것이 제일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Pectinase-treated Panax ginseng protects against chronic intermittent heat stress-induced testicular damage by modulating hormonal and spermatogenesis-related molecular expression in rats

  • Kopalli, Spandana Rajendra;Cha, Kyu-Min;Lee, Sang-Ho;Ryu, Ji-Hoon;Hwang, Seock-Yeon;Jeong, Min-Sik;Sung, Jong-Hwan;Kim, Si-Kw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578-588
    • /
    • 2017
  • Background: Elevated testicular temperature disrupts spermatogenesis and causes infertility. In the present study, the protective effect of enzymatically biotransformed Panax ginseng Meyer by pectinase (GINST) against chronic intermittent heat stress-induced testicular damage in rats was investigated. 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4 wk old, 60-70 g)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control (NC), heat-stress control (HC), heat-stress plus GINST-100 mg/kg (HG100), and heat-stress plus GINST-200 mg/kg (HG200) treatment groups. Each dose of GINST (100 mg/kg and 200 mg/kg) was mixed separately with a regular pellet diet and was administered orally for 24 wk. For inducing heat stress, rats in the NC group were maintained at $25^{\circ}C$, whereas rats in the HC, HG100, and HG200 groups were exposed to $32{\pm}1^{\circ}C$ for 2 h daily for 6 mo. At week 25, the testes and serum from each animal were analyzed for various parameters. Results: Significant (p < 0.01) changes in the sperm kinematic values and blood chemistry panels were observed in the HC group. Furthermore, spermatogenesis-related molecules, sex hormone receptors, and selected antioxidant enzyme expression levels were also altered in the HC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NC group. GINST (HS100 and HS200)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p < 0.05) restored these changes when compared with the HC group. For most of the parameters tested, the HG200 group exhibited potent effects compared with those exhibited by the HG100 group. Conclusion: GINST may be categorized as an important medicinal herb and a potential therapeutic for the treatment of male subfertility or infertility caused by hyperthermia.

Accelerated DNA Adduct Formation in the Lung of the Nrf2 Knockout Mouse Exposed to Diesel Exhaust

  • Aoki, Yasunobu;Sato, Hiromi;Nishimura, Noriko;Takahashi, Satoru;Itoh, Ken;Yamamoto, Masayuki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2002년도 Current Trends in Toxicological Sciences
    • /
    • pp.36-42
    • /
    • 2002
  • Diesel exhaust (DE) has been recognized as a noxious mutagen and/or carcinogen, because its components can form DNA adducts. Mechanisms governing the susceptibility to DE and the efficiency of such DNA adduct formation require clarification. The transcription factor Nrf2 is essential for inducible and/or constitutive expression of a group of detoxification and antioxidant enzymes, and we hypothesized that the nrf2 gene knockout mouse might serve as an excellent model system for analyzing DE toxicity. To address this hypothesis, lungs from nrf2(-/-) and nrf2(+/-) mice were examined for the production of xenobiotic-DNA adducts after exposure to DE (3 $mg/m^{3}$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for 4 weeks. Whereas the relative adduct levels (RA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ungs of both nrf2(+/-) and nrf2(-/-) mice upon exposure to DE, the increase of RAL in the lungs from nrf2(-/-) mice exposed to DE were approximately 2.3-fold higher than that of nrf2(+/-) mite exposed to DE. In contrail, cytochrome P4501Al mRNA levels in the nrf2(-/-)mouse lungs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nrf2(+/-) mouse lungs even after exposure to DE, suggesting that suppressed activity of phase II drug-metabolizing enzymes is important in giving ise to the increased level of DNA adducts in the Nrf2-null mutant mouse subjected to DE. Importantly, severe hyperplasia and accumulation of the oxidative DNA adduct 8-hydroxydeoxyguanosine were observed in the bronchial epidermis of nrf(-/-) mite following DE exposur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increased susceptibility of the nrf2 germ line mutant mouse to DE exposure and indicate the nrf2 gene knockout mouse nay represent a valuable model for the assessment of respiratory DE toxicity.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의 Oxytetracyline 처리 농도가 생리ㆍ생화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Oxytetracycline on Physiological and Bio- chemical Response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양정환;여인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8-27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를 이용하여 oxytetracycline (OTC)처리농도에 따른 체내에서 혈액 생리학적인 변화, 항산화 효소 및 열충격단백질(HSP)등의 변화를 조사하여 항생제의 안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구는 각각 0 (대조구), 100, 300 및 500ppm으로 설정하였으며, 1시간 약욕처리 후 순환시켜 0, 1 및 3시간 후에 혈액성상을 분석하였다. 혈액 중 hematocrit(Ht)수치는 전 실험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Red blood cell (RBC)는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청 글루코오스 농도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노출 이후 3시간 경과 후에는 이전 대조구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단백질량은 0시간째 전 실험구에서 감소되었다가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처리전의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SOD 효소 활성은 노출 직후 300 및 500ppm에서는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CAT효소활성은 OTC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HSP-70의 단백질량은 100 ppm및 500 ppm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발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HSP-70 mRNA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Stereoisomer-specific ginsenoside 20(S)-Rg3 reverses replicative senescence of human diploid fibroblasts via Akt-mTOR-Sirtuin signaling

  • Yang, Kyeong-Eun;Jang, Hyun-Jin;Hwang, In-Hu;Hong, Eun Mi;Lee, Min-Goo;Lee, Soon;Jang, Ik-Soon;Choi, Jong-So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341-349
    • /
    • 2020
  • Background: The replicative senescence of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is accompanied by growth arrest. In our previous study, the treatment of senescent HDFs with Rg3(S) lowered the intrinsic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and reversed cellular senescence by inducing peroxiredoxin-3, an antioxidant enzyme. However, the signaling pathways involved in Rg3(S)-induced senescence reversal in HDFs and the relatedness of the stereoisomer Rg3(R) in corresponding signaling pathways are not known yet. Methods: We performed 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and cell cycle assays in Rg3(S)-treated senescent HDFs. The levels of ROS, adenosine triphosphate (ATP), and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as well as the mitochondrial DNA copy number,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1,4-dihydro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H) ratio, and NAD-dependent sirtuins express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among young, old, and Rg3(S)-pretreated old HDFs. Major signaling pathways of phosphatidylinositol 3-kinase/Akt, 5'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nd sirtuin 1/3, including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were examined by immunoblot analysis. Results: Ginsenoside Rg3(S) reversed the replicative senescence of HDFs by restoring the ATP level and NAD+/NADH ratio in downregulated senescent HDFs. Rg3(S) recovered directly the cellular levels of ROS and the NAD+/NADH ratio in young HDFs inactivated by rotenone. Rg3(S) mainly downregulated phosphatidylinositol 3-kinase/Akt through the inhibition of mTOR by cell cycle regulators like p53/p21 in senescent HDFs, whereas Rg3(R) did not alter the corresponding signaling pathways. Rg3(S)-activated sirtuin 3/PGC1α to stimulate mitochondrial biogenesis. Conclusion: Cellular molecular analysis suggests that Rg3(S) specifically reverses the replicative senescence of HDFs by modulating Akt-mTOR-sirtuin signaling to promote the biogenesis of mitochondria.

오디 당침출액의 HepG2 세포에서 H2O2로 야기된 산화적 스트레스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mulberry (Morus alba) sugar extracts on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

  • 윤영;김하얀;박회만;이선호;박종률;홍성기;김영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51-757
    • /
    • 2015
  • 오디 당침출액(MSE)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epG2 세포에 $H_2O_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시킨 다음, MSE의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MSE를 40일간 저장하여 DPPH radical scavensing을 통해 DPPH radical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좋았던 저장 40일용 MSE를 선택하여 세포 실험에 적용하였다. HepG2 세포에 $500{\mu}M$ $H_2O_2$를 처리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고, MSE를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MSE 처리로 인한 세포 생존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ROS 생성과 과산화물에 대한 지표로 측정된 MDA 농도도 MSE 처리로 인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또한, $H_2O_2$ 처리로 감소된 SOD 및 CAT 활성이 MSE 처리로 인해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H_2O_2$를 처리로 인한 세포핵의 apoptosis body가 MSE 처리로 인해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caspase-3 활성 MSE가 억제시킴으로 인해 세포를 보호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디 당침출액은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야기되는 세포독성과 apoptosis로부터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향후 노화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소재의 기초 자료 및 질병 예방 소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크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silk protein hydrolysates against tert-BHP induced liver damage)

  • 김주현;서형주;최현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7-115
    • /
    • 2017
  • 동물실험에서 실크단백질 산 가수분해물을 투여하고 t-BHP투여한 군의 혈액 생화학적 검사 결과 t-BHP만 투여한 군과 비교하였을 때 AST, ALT 그리고 LDH가 실크단백질 산 가수분해물의 투여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포가 손상할 시에 증가하는 MDA를 간 조직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실크단백질 산 가수분해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치가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간 손상에 관여하는 효소의 누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HPLC로 간 조직에서의 GSH 측정결과 t-BHP만 투여한 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조직학적 검사 결과 t-BHP만 투여한 군과 비교하였을 때 실크단백질 산 가수분해물을 투여한 군이 대조군과 가까운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어 실크단백질 산 가수분해물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간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실크단백질 산 가수분해물의 기능적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이 확대될 것으로 사료된다.

Melanin 합성을 촉진하는 흑임자 에탄올추출물의 효능 (Black Sesame Ethanolic Extract Promotes Melanin Synthesis)

  • 전소정;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52-1461
    • /
    • 2017
  • 백발화과정은 인간의 노화의 표현형 중 하나로 노화의 지표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 모낭에 melanocyte의 melanin 생성이 줄어들게 된다. 이의 원인으로는 모낭내 tyrosinase 활성의 감소와 활성 산소 종 중 $H_2O_2$에 의한 축적을 통해 나타난다. 천연물중에서 예로부터 흑모를 유도한다는 흑임자주정추출물의 비극성 층과 극성 층을 분리하여 항산화 효과 및 B16F1에서 melanin 생성 촉진 효과를 조사하였다. 항산화 실험에서 SBEEP와 SBEEO는 DPPH 소거 효과를 보여주지 않았고, 낮은 환원력을 보여주었다. SBEEP는 $8{\mu}g/ml$ 이상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났고 SBEEO는 $4{\mu}g/ml$ 이상에서 세포 독성 효과를 보여주었다. SBEEP와 SBEEO는 in vitro에서 tyrosinase 활성과 DOPA 산화 활성에 대한 높은 melanin 합성 효과를 보여주었고, 살아있는 세포에서는 SBEEP처리군은 SBEEO 처리군보다 높은 melanin 합성 촉진 효과가 나타났다. 세포 내 melanin 생성에 효과가 있는 SBEEP는 melanin 합성 기전에서 중요한 효소인 TRP-2의 발현을 통해 melanin 생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흑임자의 SBEEP가 melanin 합성을 촉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Bioaccumulation Patterns and Responses of Fleece-flower; Persicaria thunbergii to Cadmium and Lead

  • Kim, In Sung;Kang, Kyung Hong;Lee, Eun Ju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4호
    • /
    • pp.253-259
    • /
    • 2002
  • Application of phytoremediation in the polluted area to remove undesirable materials is a complex and difficult subject without detailed investigation and experimentation. We investigated the accumulation patterns of cadmium and lead in plants naturally grown, the bioavailability of plants to accumulate these toxic metals and the responses of P. thunbergii to cadmium and lead. The soil samples contained detectable lead (<$17.5_\mu$g/g), whereas cadmium was not detected in the soils of study area. The whole body of Persicaria thunbergii contained detectable lead (<320.$8_\mu$g/g/g) but cadmium was detected only in the stem (<7.$4_\mu$g/g/g) and root (<10.$4_\mu$g/g/g) of P. thunbergii. Cadmium was not detected in Trapa japonica and Nymphoides peltata, whereas lead was detected in T. japonica (<323.$7_\mu$g/g/g) and N. peltata (<177.$5_\mu$g/g/g).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lead content in soil and in these plant samples represented positive correlation. The total content of lead in each plant sample increased in the order of N. peltata$\leq$P. thunbergii

형질전환된 토마토 캘러스의 Superoxide Dismutase와 Peroxidase 활성 (Superoxide Dismutase and Peroxidase Activity of Transformed Callus in Tomato)

  • 유정민;정형진;김경민;곽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7-181
    • /
    • 1998
  • 토마토에서 GUS 유전자를 가진 Agrobacterium을 이용하여 형질전환된 캘러스와 형질전환 되지 않은 캘러스의 peroxidase(POD)와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 차이를 조사하여 형질전환된 세포의 안전성평가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JA101 종자로부터 형성된 hypocotyl의 POD, SOD 비활성은 각각 23 unit/mg protein와 2,156 unit/mg protein로 공시품종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pocotyl 절편체로부터 유도한 캘러스 생장은 1mg/L 2,4-D의 농도에서 가장 좋았으며, 1 mg/L 2,4-D가 함유된 배지에서 유도된 캘러스에서 POD 와 SOD 비활성은 각각 47 unit/mg protein 와 95,786 unit/mg protein로 높게 나타났다. Agrobacterium과 hypocotyl 절편체와의 공동배양으로부터 형성된 캘러스중 21.6%의 형질전환된 캘러스를 얻을수 있었으며, 형질전환된 캘러스의 POD 비활성은 54 unit/mg protein로 형질전환 되지 않은 캘러스의 64 unit/mg protein보다 낮게 나타났고, SOD 비활성은 형질전환된 캘러스가 30,300 unit/mg protein로 형질전환되지 않은 캘런스의 37,077 unit/mg protein 보다 낮게 나타났다. 형질전환된 캘러스와 형질전환되지 않은 캘러스간의 isozyme pattern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