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wrinkle effect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8초

홍화씨추출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II)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Extract (II))

  • 김미진;김자영;최상원;홍진태;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9-456
    • /
    • 2004
  • 최근 홍화씨의 세로토닌유도체, 리그난 및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화합물은 에스트로겐${\cdot}$항에스트로겐 활성을 갖는 식물 유래의 diphenol 화합물인 phytoestrogen 물질로 작용할 수 있음이 밝혀지면서 이를 함유하고 있는 홍화씨추출물[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extract]의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이전에 홍화씨추출물은 피부세포의 산화를 막아주는 항산화작용을 지니고 있으며, 아울러 피부의 matrix protein을 만들어내는 섬유아세포 증식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엘라스틴 단백질을 분해하는 elastase의 활성 저해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연구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홍화씨추출물의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콜라겐 발현효과 및 MMP-1 발현 억제효과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홍화씨추출물의 콜라겐 발현효과는 레티놀보다 우수하였으며, 아울러 MMP-1 발현 저해효과는 올레산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었다. 또한 $0.1\%$ 홍화씨추출물 함유 크림은 대조군(홍화씨추출물 미함유 크림)에 비하여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홍화씨추출물은 주름개선용 기능성화장품 신소재로의 사용이 기대된다.

황련해독탕 발효물의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효과 (Antioxidant,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 of Fermented Extracts of Hwangryunhaedoktang)

  • 엄지나;민진우;주광식;강희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9-78
    • /
    • 2017
  • 황련해독탕(HHT)은 기력을 회복하며 여러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예로부터 사용되어온 약재로, 본 연구는 인삼에서 분리한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oides (L. mesenteroides)을 이용해 황련해독탕 발효물(FHHT)을 제조하고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효과를 조사하였다. 황련해독탕 발효물은 황련해독탕을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에 L. mesenteroides를 접종하여 발효 제조하였다. 발효 전 황련해독탕과 황련해독탕 발효물에서 2가지 지표 성분 berberine과 palmatine을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을 이용하여 retention times ($t_R$)과 UV spectra를 확인함으로써 정성 및 정량 분석하였다. 세포 생존율 실험 결과, 발효 전후 황련해독탕 모두 독성이 확인되지 않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은 발효물의 $SC_{50}$ 값이 $68.85{\mu}g/mL$로 발효 전보다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Procollagen type I의 생성량 측정 실험에서도 역시 황련해독탕 발효물은 발효 전보다 더 높은 발현량을 나타내었으며,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흑색종 세포인 B16F10을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실험 결과, 황련해독탕 발효물은 강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IC_{50}=9.82{\mu}g/mL$).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황련해독탕 발효물이 항산화 효능, 항주름 효능뿐만 아니라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이 시사되었다.

3,4-Dihydroxytoluene suppresses UVB-induced wrinkle formation by inhibiting Raf-1

  • Park, Sang-Hee;Kang, Nam Joo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85-395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3,4-dihydroxytoluene (DHT) on UVB-induced photoaging and determined its molecular mechanisms, using HaCaT human keratinocytes and SKH-1 hairless mice. DHT suppressed UVB-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expression in HaCaT cells. In vivo data from mouse skin supported that DHT decreased UVB-induced wrinkle formation, epidermal thicknes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3 (MMP-13) expression. DHT appeared to exert its anti-aging effects by suppressing UVB-induced Raf-1 kinase activity and subsequent attenuation of UVB-induced phosphorylation of MEK, ERK, and p90RSK in HaCaT cells. In vitro and in vivo pull-down assays revealed that DHT bound with Raf-1 in ATP-noncompetitive manner. Overall, DHT appears to anti-photoaging effects in vitro and in vivo through the suppression of Raf-1 kinase activity and may have potential as a treatment for the prevention of skin aging.

Effects of Meretrix Extracts on the Collagenase Activity and Procollagen Synthesis in HS68 Human Fibroblasts and Tyrosinase Activity

  • Leem, Kang-Hyu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28-532
    • /
    • 201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llagen metabolism and tyrosinase activity of Meretrix extracts (ME). The effect of ME on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in human normal fibroblasts HS68 after UVB (312 nm) irradiation was measured by ELISA method. The tyrosinase activity after treatment of ME was measured as well.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was recovered by ME in UVB damaged HS68 cells. The increased collagenase activity after UVB damage was significantly recovered by ME. The tyrosinase activity and L-DOPA oxida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well. However, the effe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L-DOPA oxidation were not powerful enough to be used as whitening agents. ME showed the anti-wrinkle effects and some whitening effects in vit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 may be a useful drug as an anti-wrinkle treatments.

초임계 열처리된 무 성분을 이용한 상피세포성장인자(EGF) 유사소재 개발 및 광노화(주름개선) 효과 (Development of Anti-Aging Products (Anti-Wrinkle) like Epidermal Growth Factor(EGF) Materials using Supercritical Heat-Treated Extract Radish)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197-207
    • /
    • 2018
  • 무의 껍질과 무청은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질기고 거친 식감으로 인하여 제거 후 부산물로서 폐기되거나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초임계 열처리가공 무추출물이 UVB로 유도된 Hos:HRM-2 주름생쥐동물모델에서 항-광노화 주름개선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임계 열처리된 무 추출물을 7주령의 HRM-2 생쥐에 UVB 램프로 등피부에 조사하여 피부 노화를 유발하여 피부두께, 탄력, 그리고 주름생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임계 열처리된 무추출물의 UVB 조사에 의한 HRM생쥐의 주름 측정 결과는 정상군에 비해 음성대조군의 주름의 깊이가 증가되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반면 무 추출물의 처리군에서는 음성대조군에 비해 주름의 깊이가 감소되었다. 초임계 열처리된 무추출물의 UVB 조사에 의한 의한 주름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음성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MMP-2 및 MMP-9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무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상기 유전자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전자의 발현 정도는 무 추출물의 처리량에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해 볼 때, 초임계 열처리된 무 추출물은 피부에 도포 시 뿐만 아니라 경구로 섭취시에도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무는 오랫동안 복용 시에도 전혀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식품으로 장기간 꾸준히 복용하는 것에 의해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수 있었다.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미세조류 유래 오일의 광노화 억제 효과 연구 (Study on Photo-aging Inhibition Effect of Microalgae-derived Oil for Cosmetic Material Development)

  • 박은경;박상희;윤상아;김유선;이우람;김우중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3-90
    • /
    • 2018
  • Ultraviolet (UV) radiation causes inflamma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over-expression and extra cellular matrix depletion, leading to skin photo-aging such as wrinkle formation, dryness, and sagging.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pretreatment with the hexane extract of microalgae protects UVB mediated cell damages. The results of clinical study showed that Microalgal Oil treated group reduced wrinkle and improve elasticity. All these results suggest Microalgal Oil may be useful as new photo-aging cosmetics for protection against UV induced activity.

Effects of Egg Shell Membrane Hydrolysates on Anti-Inflammatory, Anti-Wrinkle, Anti-Microbial Activity and Moisture-Protection

  • Yoo, Jinhee;Park, Kimoon;Yoo, Youngji;Kim, Jongkeun;Yang, Heejin;Shin, Youngja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6-32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ggshell membrane hydrolysates (ESMH) on the anti-inflammatory, anti-wrinkle, anti-microbial activity, and moisture-protection for cosmetic use. Whole ESMH (before fractionation), and fraction I (>10 kDa), fraction II (3-10 kDa), and fraction III (<3 kDa) of the hydrolysates were assessed in this experiment. As lipopolysaccharide (LPS) and IFN-${\gamma}$ caused the inflammation on Raw264.7 cell, whole ESMH and fraction I showed to be effective in inhibiting the induction of cell inflammation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and also showed outstanding effect to suppress the skin inflammation. Fraction I inhibited collagenase and elastase activities to a greater extent than the other fractions, while all fractions had antibiotic effects at concentrations of 10 mg/disc and 20 mg/disc. In addition, it showed the moisture protection effects of skin on the holding amount and losing amount of moisture in upper-inner arm of the human body with a relatively low loss rate in skin, which confirmed that the hydrolyzed fractions of ESM helps to form the superior protective layer of moisture. It was concluded that ESMH fraction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especially the 10 kDa fraction, have anti-lipopolysaccharide, anti-IFN-${\gamma}$-induced inflammation, anti-collagenase and elastase activities, and thus can be used as a cosmetic agent to protect skin.

한방화장품의 눈가 주름 개선 효과 (The effect of enhancing eye-wrinkle applying traditional herb medicine cosmetics)

  • 강신정;김애정;이명숙;이연희;지중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35-340
    • /
    • 2011
  • 맥문동, 차가버섯, 감초, 흑삼, 백출, 백복령, 당귀, 숙지황, 천궁, 작약의 추출물을 이용한 한방소재로 에센스와 크림을 제조하여 눈가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균연령 44.8세의 한국인 중년여성 6명을 대상으로 에센스 사용 후 크림 사용으로 매일 2회씩(아침, 저녁), $1cm^2$당 2mg씩, 4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한 다음, 4주 경과 후 눈가 주름의 모사판을 제작하여 영상 분석하였다. 눈꼬리 주름 모사판 영상분석 결과, 에센스와 크림 사용 4주 후 주름 R1은 $3.22{\pm}0.85$에서 $2.38{\pm}0.32$, R2는 $3.08{\pm}0.83$에서 $2.22{\pm}0.32$, R3는 $2.29{\pm}0.64$에서 $2.29{\pm}0.64$, R4는 $0.44{\pm}0.14$에서 $0.44{\pm}0.14$, R5는 $0.98{\pm}0.21$에서 $0.98{\pm}0.21$로 유의하게 감소하여(P<0.05), 본 시료는 눈가주름개선에 효과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CCD-986sk 세포 내 참깨 에탄올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 연구 (A Study on the Anti-wrinkle Activities of Sesamum indicum L. Ethanol Extracts on CCD-986sk)

  • 주다혜;유단희;이진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7-3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참깨 추출물의 주름개선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참깨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엘라스타제 저해능, 콜라게나제 저해능, matrixmetallopoteinases (MMPs)의 단백질, mRNA 발현 저해 효능을 측정하였다.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37.8%와 45%의 효소 활성을 억제를 나타내었다. 섬유아세포에서 참깨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mu}g/mL$ 농도에서 96%의 생존율을 보였다. 참깨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단백질 발현은 $100{\mu}g/mL$ 농도에서 63%, 43%, 49%의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mRNA 발현 억제는 최고농도인 $100{\mu}g/mL$에서 각각 82% 79%, 82%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참깨 70% 에탄올 추출물이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Reduction of Photodamage by TopicaI Application of a Novel Anti-Wrinkle Agent Containing Growth Factors

  • Kim, Ju-Mi;Ahn, Gook-Jun;Sohn, Young-Sung;Kang, Kyung-Koo;Ahn, Byoung-Ok;Lee, Jung-Hwan;Kim, Byung-Moon;Kwon, Jong-Won;Kim, Won-Ba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2권3호
    • /
    • pp.157-164
    • /
    • 2004
  • DA-3711 is a novel anti-wrinkle agent containing growth factors derived from culture medium of artificial human skin. Photoprotective effect by DA-3711 against chronic UVB (ultraviolet B)-induced skin damage was investigated in hairless mice model. Methods: After hairless mice were irradiated to induce photodamage for 8 weeks with UVB, grouped mice were treated topically once a day with lotion base, DA-3711 (30% or l5%), Cylasphere retinol$^{\circed{R}}$ (2500 I.U.), NouriCel$^{\circed{R}}$ along with concomitant exposure to UVB for further 8 weeks. Then mice were sacrificed to assess photodamage-protective effect by replica analysis, biochemistry and histology. DA-3711 of 30% lotion significantly reduced UVB radiation-induced wrinkling, histological alterations and increased collagen contents. Whereas DA-3711 of l5% lotion and NouriCel$^{\circed{R}}$ treatment showed a partial protective effect on skin wrinkle, epidermal and dermal thickness, and collagen content, Cylasphere retinol$^{\circed{R}}$ showed no protective effect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opical application of DA-3711 can alleviate UVB-induced photodamage and potentially be used for reduction of UVB-induced photo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