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nt Activity

검색결과 754건 처리시간 0.027초

더치 Coffee Grounds 추출물의 항산화, 주름개선, 항균 효과 (Antioxidant, Anti-wrinkl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offee Grounds Extract from Dutch Coffee)

  • 박수인;김아름;김선화;안규민;김민기;신문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38-1047
    • /
    • 2018
  • 본 연구는 저온, 상압, 긴 시간에 추출되는 더치 coffee grounds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온, 고압, 짧은 시간에 추출되는 에스프레소 coffee grounds와 비교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저자들은 더치 coffee grounds의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주름개선, 항균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더치 coffee grounds 추출물의 경우 $90.39{\pm}0.04mg/g$$64.96{\pm}0.38mg/g$의 에스프레소 coffee grounds 추출물보다 더 높은 결과를 나타났으며, 참고로 기준물질인 원두 coffee beans 추출물은 $113.63{\pm}0.22mg/g$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SOD 유사 활성능 결과에서 기준물질인 원두 coffee bean 추출물에 대하여, 더치 coffee grounds 추출물이 에스프레소 coffee grounds 추출물 보다 좋은 소거능이 제시되었다. Elastase 활성 저해능을 측정 결과에서 원두 coffee bean 추출물을 기준으로, 더치 coffee grounds 추출물이 에스프레소 coffee grounds 추출물 보다 높은 저해능을 나타냈다. 또한 항균 활성 측정 결과에서는 더치 coffee grounds 추출물은 Escherichia coli, Bacillus, Propionibacterium acnes에서 항균 효과가 나타났으며 기준물질인 원두 coffee bean 추출물과 clear zone 크기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더치 coffee grounds의 우수한 항산화, 주름개선, 항균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 BHN-LAB 33의 생물전환공정을 통한 방풍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활성 증대 효과 (Increased Anti-oxidativ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s of a Saposhnikovia Extract Following Bioconversion Fermentation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BHN-LAB 33)

  • 김병혁;장종옥;이준형;박예은;김중규;윤여초;정수진;권기석;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08-1217
    • /
    • 2019
  • 방풍의 화합물은 동양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물로 항염증, 비염, 미백, 아토피, 항알레르기 및 각종피부질환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발효식품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BHN-LAB 33를 이용해 발효한 방풍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L. plantarum BHN-LAB 33 발효는 $37^{\circ}C$에서 3일간 발효하였으며, 발효하지 않은 방풍 추출물에 비해 L. plantarum BHN-LAB 33 발효 방풍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약 1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 09%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OD 유사활성능, DPPH radical 소거활성능과 ABTS radical 소거활성능, 환원력은 각각 약 70%, 80%, 45% 및 39%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yrosinase 저해 활성은 44%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L. plantarum BHN-LAB 33을 이용한 생물전환을 통한 방풍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능 증대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물전환기술은 생리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매우 유용한 기술임을 확인하였으며, 생물전환기법을 통한 기능성 식품소재 및 화장품 소재 개발 및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식용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 최세진;이연실;김진경;김진규;임순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087-1096
    • /
    • 2010
  • 본 연구는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지는 버섯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버섯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polyphenol, $\beta$-glucan)과 저분자 및 고분자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 면역증강 및 항염증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 수율은 식용버섯이 약용버섯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beta$-glucan의 함량은 표고버섯(33.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olyphenol 함량은 약용버섯인 상황버섯(LMW)이 233.23 mg/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애느타리버섯(LMW) 12.18 mg/g, 송이버섯(LMW) 11.72 mg/g 순으로 확인되었다.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는 ascorbic acid 0.5 mg/mL에서 95.91%의 저해율을 나타낸 것에 비하여 상황버섯(LMW, 10 mg/mL)이 80.74%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에서는 대부분의 버섯 추출물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에서는 pH의 감소에 따라 소거능이 증가하였고, 상황버섯(LMW)이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능력 측정에서 phenol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약용버섯으로 사용되는 상황버섯이 식용버섯(송이버섯, 새송이버섯, 양송이버섯, 느타리버섯, 애느타리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보다 LMW 분획에서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혈전용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대부분의 LMW 분획물들은 혈전용해 활성을 갖지 않았으며, 송이 버섯(HMW, 50 mg/mL)이 60.4%의 가장 높은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W 264.7 cell을 이용한 대식세포 활성능(NO 생성)을 측정한 결과 LMW 분획에서는 대식세포 활성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대조군인 LPS 500 ng/mL를 첨가한 상태에서 $32.9\;{\mu}M$의 NO를 생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표고버섯(HMW, $500\;{\mu}g/mL$) $39.86\;{\mu}M$, 송이버섯 $35.17\;{\mu}M$의 NO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약용버섯인 상황버섯(HMW)은 NO 생성능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RAW 264.7 cell로부터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황버섯(LMW) $500\;{\mu}g/mL$의 농도에서 NO의 생성을 100% 저해하였고, 새송이버섯(LMW)은 $50\;{\mu}g/mL$에서 58.14%, $500\;{\mu}g/mL$에서 67.79%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henol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상황버섯(LMW)은 일반적인 식용버섯에 비해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혈전용해능력(송이버섯, I)과 면역증강(표고버섯, VII) 그리고 항염증(새송이버섯, II)에서는 식용버섯의 HMW 분획물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콘택트렌즈 보존제 H2O2와 자몽씨 추출물의 세포 독성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Cell Cytotoxicity of H2O2 and Grapefruit Seed extract)

  • 김인숙;유근창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3-180
    • /
    • 2004
  •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으로 사용되는 합성보존제로서 대표적인 $H_2O_2$와 천연보존제인 자몽씨 추출물(DF-100)이 결막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를 비교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몽씨 추출물의 주성분은 Narigin이며, 이는 항산화를 일으키는 Flavonoid의 구성성분중 하나이다. $H_2O_2$와 자몽씨 추출물(DF-100)의 세포는 MTT assay에 의해 측정하였고, DNA 손상은 Comet assay 측정으로 분석하였다. 5%의 자몽씨 추출물은 과산화수소에 의해 손상된 세포를 회복시켜주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배양 결막세포주에 과산화수소 및 자몽씨 추출물을 농도별로 동시 처리하여 24시간 뒤 LDH leakage assay용 이용한 세포독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자몽씨 추출물은 과산화수소의 세포증식 저해와 apoptosis를 현저하게 억제해 주었다. 또한 자몽씨 추출물은 bioflavonoids의 구성성분이며 이는 음식으로써도 제공된다. 이 연구는 자몽씨 추출물이 anti-oxidant와 anti-apoptopic activity로 천연보존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 PDF

BJS-Mix001이 Indomethacin 유발 랫트 위점막 손상에 미치는 영향 (Protective Effects of BJS-mix001, in Indomethacin induced Gastric Damages in Rats)

  • 임소연;변준석;김대준;곽민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1-188
    • /
    • 2012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gatro protective effects of BJS-mix001, a mixed herbal formula consisted of 4 herbal drugs Pinelliae Rhizoma : Coptidis Rhizoma : Massa Medicata Fermentata : Ostreae Testa = 1 : 1 : 1 : 1 (g/g) mixtures, which were main component of oriental medicine for treating various digestive diseases, in indomethacin induced gastric damages in rats. Three different dosages of BJS-mix001 (200, 100 and 50 mg/kg) were once orally administered 30 min before indomethacin treatment. Six hrs after indomethacin treatment, changes on the gross lesion scores, fundic histopathology, MPO activity and anti oxidant activities were observe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omeprazole, antioxidant and proton pump inhibitor 10 mg/kg and DA-9601, a standardized extract of the herb Artemisia asiatica 100 mg/kg treated group, respectively. As results of all three different dosages of BJS-mix001 in the indomethacin induced gastric damaged rats, significant decreased gastric damages were detected as compared with the indomethacin treated control rats. BJS-mix001 also strengthened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s - decreased the level of lipid peroxidation and catalase activity but increased the level of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contents. BJS-mix001 showed similar gastro protective effects as compared with equal dosage of DA-9601, and BJS-mix001 50 mg/kg showed slighter effects as compared with omeprazole 10 mg/kg, in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BJS-mix001 showed favorable effects in the indomethacin induced gastric damages mediated by strengthening of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s.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Ziziphus mucronata Fruit Extract Against Dimethoate-Induced Toxicity

  • Kwape, Tebogo Elvis;Chaturvedi, Padmaja;Kamau, Macharia;Majinda, Runne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29
    • /
    • 2013
  • Objective: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Ziziphus mucronata (ZM) fruit extract. Methods: The different types of fruit extract were prepared by soaking the dry powdered fruit in different solvents followed by rotary evaporation. Each extract was tested for its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 in vivo study was performed in Sprague-Dawley (SD) rats. Thirty adult male SD rats (aged 21 week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of five rats each and treated as follows: The normal control (NC) received distilled water while the dimethoate control (DC) received 6 mg/kg.bw.day-1 dimethoate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The experimental groups E1, E2, E3, and E0 received dimethoate (6 mg/kg.bw) + ZMFM (100 mg/kg.bw-1), dimethoate (6 mg/kg.bw) + ZMFM (200 mg/kg.bw-1), dimethoate (6 mg/kg.bw) + ZMFM (300 mg/kg.bw-1), and ZMFM (300 mg/kg.bw-1) only. Both the normal control and the dimethoate control groups were used to compare the results. After 90 days, rats were sacrificed, blood was collected for biochemical assays, and livers were harvested for histological study. Results: High phenol content was estimated, and 2, 2-diphenyl-1-picryl hydrazyl radical (DPPH) spectrophotometric,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and 2, 2-Azobis-3-ethyl 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ssays showed a high antioxidant activity among the extracts. The preventive effects observed in the E1, E2 and E3 groups proved that the extract could prevent dimethoate toxicity by maintaining normal reduced glutathione (GSH), vitamin C and E,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cholineasterase and lipid profiles. The preventive effect was observed to be dose dependent. The EO group showed no extract-induced toxicity. Histological observations agreed with the results obtained in the biochemical studies. Conclusion: The study demonstrated that ZM methanol fruit extract is capable of attenuating dimethoate-induced toxicity because of its high antioxidant activity.

느타리버섯 균주별 항산화효능 및 폴리페놀함량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nt effects and polyphenol contents of the fruiting bodies in oyster mushrooms)

  • 조재한;박혜성;한재구;이강효;성기호;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1-315
    • /
    • 2014
  • 느타리버섯은 한국사람들에게 인기있는 버섯이며 새송이버섯, 팽이버섯과 더불어 대부분 많이 재배되어지는 버섯이다. 느타리버섯의 항산화 효능과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항산화 효능을 분석한 결과 열수추출에서는 ASI 2099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정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ASI 212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폴리페놀 성분은 대부분 7~10 mg/g 이었으며, 추출용매별 함량차이는 크지 않았다.

젖당과 사멸 살모넬라 함유 사료가 Salmonella typhimurium 인공 감염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과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최준영;임진택;박인경;최도열;이혜정;이범규;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5년도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8-79
    • /
    • 2005
  • 젖당 또는 사멸 살모넬라 첨가 사료가 Salmonella typhimurium을 감염시킨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젖당 사료는 3주령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을 감소시켰고, 혈장 과산화물 분해 효소와 IL-1의 농도는 젖당과 살모넬라 사료에 의해서 증가되었다. 살모넬라 인공 감염 7일 후의 육계 병아리에서 비감염구에 비해 증체 및 사료효율, 혈장 과산화물 분해 효소 활성, 적혈구 세포액의 MnSOD 활성도 증가하였다. 감염후 15일이 지난 육계 병아리에서 사료효율은 젖당 또는 사멸 살모넬라 사료 그리고 살모넬라감염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장 과산화물 분해효소, MnSOD 활성과 LPS자극 PBMC의 증식도는 젖당과 사멸 살모넬라 급여구에서 감염 대조군보다 높았다. IL-1의 수준은 사멸 살모넬라 사료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본성적은 젖당과 사멸 살모넬라 급여는 살모넬라 감염 육계 병아리의 PBMC의 증식과 IL-1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SOD 활성을 변화시켜 타고난 면역계를 조정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 PDF

형개련교탕가미발효방(荊芥連翹湯加味醱酵方)의 항아토피피부염 효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Research of Hyunggaeyunkyotanggamibalhyobang (HYGBH) on Atopic Dermatitis Treatment)

  • 황윤규;박보경;김선빈;이용구;진미림;김동희
    • 혜화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100
    • /
    • 2011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HYGBH on atopic dermatitis, various immune related factors were studied. The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Atopic dermatitis symptoms were improved in HYGBH treated group and significant decrease in dermatitis index were observed in 12 and 14 weeks. HYGBH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D4+, CD3+/CD69+ immune cell ratio in PBMC by 18% and 40.6% respectively. HYGBH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D3+, CD11b+/Gr-1+ immune cell ratio in dorsal skin by 44.6% and 53.1% respectively. HYGBH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IL-4, IFN-${\gamma}$ in spleen by 29.5%, 7.7% respectively. HYGBH treated group showed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IL-5, IL-13, IL-17 and histamine by 21%, 9.6%, 14%, and 32.2% respectively. Also the group showed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IgE by 6.8% respectively. HYGBH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ranscription of IL-5 and IL-3 mRNA in skin by 35.5% and 23.2% respectively. The results above indicated that treatment of HYGBH improved atopic dermatitis symptoms by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immune modulation activity as a clinical evidence. Also, to increase the application of fermented oriental medicine, different fermentation conditions using various microbial strains should be accumulated as the clinical evidence in the future.

형개련교탕발효방(荊芥連翹湯醱酵方)이 NC/Nga mouse 동물병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unggaeyunkyotangbalhyobang (HYBH) on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Model)

  • 박응호;유지현;김선빈;이용구;김동희
    • 혜화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5-83
    • /
    • 2011
  • Various related factors and tissue changes in vitro and in vivo were observ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HYBH on atopic dermatitis. The results are described below. HYBH improved the atopic dermatitis symptoms by naked eye examination, and significantly decreased dermatitis clinical index at 14 weeks. HYBH significantly decreased CD4+/CD45+, CD4+, CD8+, CD3+/CD69+ immune cell ratios in PBMC by 28%, 16%, 30%, 26% and 22% respectively. HYBH significantly decreased CD11b+/Gr-1+, CD3 immune cell ratios in dorsal skin by 35.3% and 67.5% respectively. HYBH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IL-4 and IFN-${\gamma}$ in spleen by 23% and 15% respectively. HYBH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rate of IL-5, IL-13 and histamine in serum by 17%, 23%, and 8.8% respectively and increased IL-17 production by 17%. HYBH significantly decreased immunoglubulins IgG1 and IgE production in serum. The results above indicated that treatment of HYBH improved atopic dermatitis symptoms by anti-oxidant activity and immune modulation activity as a clinical evidence. Also, different fermentation conditions using various microbial strains should be accumulated as the clinical evidence for broad applicatio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