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besity agent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2초

Anti-hyperlipidemic activity of Rhynchosia nulubilis seeds pickled with brown rice vinegar in mice fed a high-fat diet

  • Park, Ki-Moon;Lee, Seung H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6호
    • /
    • pp.453-459
    • /
    • 2013
  • The abnormal content of blood lipids often results in metabolic diseases, such as hyperlipidemia and obesity. Many agents, including natural sources from traditional food, have been developed to regulate the blood lipid conten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hyperlipidemic activity of Rhynchosia nulubilis seeds pickled with brown rice vinegar (RNSpBRV), a Korean traditional pickled soybean food. Since RNSpBRV is made of R. nulubilis seeds (RNS) soaked in brown rice vinegar (BRV), we compared the anti-adipogenic activity between RNS, BRV and solid fraction of RNSpBRV (SF-RNSpBRV), liquid fraction of RNSpBRV (LF-RNSpBRV). For this, the inhibitory effect of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 was checked by adding methanol extracts of mixed RNS and BRV, LF-RNSpBRV, and SF-RNSpBRV. The addition of each methanol extract up to 1 mg/ml showed no cytotoxicity on 3T3-L1 adipocyte, and approximately 20% of the lipid droplet formation was suppressed with the methanol extract of BRL or SF-RNSpBRV. The highest suppression (42.1%) was achieved with LF-RNSpBRV. In addition, mice fed a high fat diet (HFD) supplemented with 5% RNSpBRV powder led to increased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and lower blood glucose,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compared to mice fed with a HFD diet only. Interestingly, the size of the epididymis cells gradually decreased in HFD + 1% RNSpBRV and HFD + 5% RNSpBRV-fed mice if compared those of HFD-fed mic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RNSpBRV has a regulatory role in lipid metabolism that is related to hyperlipidemia.

후박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에 관한 연구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with Magnolia officinalis Extracts)

  • 김현주;이여명;김연향;원선임;최성아;최신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7-123
    • /
    • 2009
  • 후박추출물은 중국 원산인 당후박에서 제조되며,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로 알려져 있다. 후박의 성분으로는 폴레페놀인 honokiol 및 magnolol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후박추출물이 triglyceride (TG)의 축척을 감소시킴으로써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한다는 표면적인 결과를 얻었다. 또한, 후박 추출물이 hormone sensitive lipase (HSL) 단백질 수준을 증가시키고 adipocyte에 specific한 transcription factors로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PPAR)-${\gamma}$의 단백질과 mRNA 수준을 억제하였다. 결과적으로, 후박추출물이 항비만제로서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와 그들의 특이적인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한다고 사료된다.

Schisandrol A and gomisin N from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improve hypogonadism via anti-oxidative stress in TM3 Leydig cells

  • Jia Bak;Seung Ju Lee;Tae Won Kim;Seonhwa Hwang;Min Ju Park;Rohith Arunachalam;Eunsoo Yoo;Min Hi Park;Yun-Sik Choi;Hye Kyung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1호
    • /
    • pp.1-12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Male hypogonadism is a condition where the body does not produce enough testosterone and significantly impacts health. Age, obesity, genetics, and oxidative stress are some physiological factors that may contribute to testosterone deficienc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many pharmacological benefits of Schisandra chinensis (S. chinensis) Baillon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 of attenuating hypogonadism is yet to be well established.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o study the effects of S. chinensis extract (SCE) on testosterone deficiency. MATERIALS/METHODS: S. chinensis fruit was pulverized and extracted using 60% aqueous ethanol. HPLC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and quantify the lignans of the SCE. RESULTS: The 2,2-diphenyl-2-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scavenging assays confirmed that the SCE and its major lignans (schisandrol A and gomisin N) inhibit oxidative stress. Effects of SCE analysis on the testosterone level under oxidative stress conditions revealed that both schisandrol A and gomisin N were able to recover the lowered testosterone levels. Through mRNA expression of TM3 Leydig cell, we observed that the SCE lignans were able to induce the enzymes involved in testosterone biosynthesis-related genes such as 3β-HSD4 (P < 0.01 for SCE, and P < 0.001 for schisandrol A and gomisin N), 17β-HSD3 (P < 0.001 for SCE, schisandrol A and gomisin N), and 17, 20-desmolase (P < 0.01 for schisandrol A, and P < 0.001 for SCE and gomisin 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pport that SCE and its active components could be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for regulating and increasing testosterone production.

지모 추출물의 항산화 및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평가 (Antioxidant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 권오준;이하영;김태훈;김세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21-426
    • /
    • 2014
  • 지모를 70% methanol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 n-BuOH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및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n-BuOH 층의 1000 mg/ml의 시험농도에서는 91.2%의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지모 추출물에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이 라디칼 소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OAc층이 $IC_{50}=20.5{\pm}1.7mg/ml$, n-BuOH 층이 $IC_{50}=50.5{\pm}0.7mg/ml$의 활성이 확인 되었고, 강한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강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EtOAc 층의 $IC_{50}$$31.3{\pm}0.1mg/ml$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조군인 orlistat에 비해 약하나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강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오일의 형태로 얻어진 n-hexane 분획층은 항산화 활성 및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pancreatic lip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겹삼잎국화 에탄올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Rudbeckia laciniata var. hortensis Bailey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 남건희;위지향;김상용;백지영;김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152-1158
    • /
    • 2019
  • 겹삼잎국화는 한국에서 복통, 위염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는 약초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겹삼잎국화를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 약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겹삼잎국화의 의학적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항비만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70% 에탄올을 이용한 겹삼잎국화 추출물의 항 비만 효과에 대한 연구를 위해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사용하였으며,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성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관련된 단백질 인자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Oil Red O 염색법과 웨스턴 블롯, PCR을 통한 mRNA 분석이 수행되었다. DM (인슐린 칵테일)을 처리하여 지방전구세포의 성숙을 유도한 후, 겹삼잎국화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100{\mu}g/ml$ 농도에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와 세포 내 트리글리세리드(TG)의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전구세포의 성숙에 관여하는 여러가지 단백질 등의 인자 발현율 또한 확인하였다. 겹삼잎국화 에탄올 추출물로 인해 $PPAR{\gamma}$, $C/EBP{\alpha}$, LPL, FAS와 같은 지방 세포의 성숙을 유도하는 인자가 조절되었으며, Acetyl-CoA carboxylas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등과 같은 단백질의 발현도 억제하여 분자적 기전 또한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겹삼잎국화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의 활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지방세포로의 성숙을 유도하는 인자 및 단백질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항 비만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당화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Rosa rugosa Crude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n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 이현정;양지호;최미나;전성은;주선용;오정환;카라데니즈 파티;서영완;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79-988
    • /
    • 2022
  • 비만은 당뇨, 고혈압,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이와 관련된 질환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비만 치료 및 예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추세이며, 비만 치료제가 전 세계적으로 개발되고 있지만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여 시판이 중단되거나 장기복용이 금지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 부작용이 적으면서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해당화(Rosa rugosa)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서 토혈, 하리, 월경과다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항염증, 항산화 효과, 노화방지, 혈당 강하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작용, HIV protease 저해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화 추출물 및 분획물 4종(H2O, n-BuOH, 85% aq. MeOH, n-Hex)의 지방세포분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여 Oil-Red O staining으로 지방생성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갯완두 추출물 및 분획물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 형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세포분화에 관여하는 PPARγ, C/EBPα 및 SREBP1c와 같은 인자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 지방세포분화 조절인자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AMPK 신호전달경로를 통한 지방분화인자의 억제를 통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해당화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비만 치료제의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35종 해조류 추출물의 in-vitro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of In-vitro Anticoagulation Activity of 35 Different Seaweed Extracts)

  • 안선미;홍용기;권기석;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40-1647
    • /
    • 2010
  • 혈전성 질환을 예방, 개선할 수 있는 안전한 항혈전제를 개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항혈전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식용 해조류 35종(갈조류 17종, 홍조류 11종 및 녹조류 7종)을 대상으로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thrombin time (TT), prothrombin time (P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평가하였다. 트롬빈 저해(TT)의 경우 35종 중에서 감태, 곰피, 대황, 넓패, 패, 알송이모자반 및 야마다모자반에서 강력한 활성을, 프로트롬빈 저해(PT)의 경우 트롬빈 저해활성이 나타난 7종 중 야마다모자반을 제외한 6종에서 강력한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혈액응고인자 저해(aPTT)에서는 감태, 곰피, 대황, 넓패, 패, 알송이모자반 및 톳에서 강력한 활성이 나타났다. 선별된 8종의 시료를 대상으로 다양한 농도에서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 알송이모자반에서 가장 강력한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곰피, 대황 및 넓패가 효과적이었다. 항혈전 활성과 해조류 추출물의 총 flavonoid, 총 polyphenol, 총당 및 환원당 함량과의 상관 관계를 검토한 결과, 활성물질은 flavonoid성 물질로 추측되었으며, 선별된 8종은 총 flavonoid 함량 및 총 polyphenol 함량이 매우 높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경제적이면서 대량공급이 가능한 식용 해조류로부터 신규의 안전한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며, 야마다모자반과 톳은 트롬빈 또는 혈장내 응고 인자에 대한 특이 저해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Binding Mode Prediction of 5-Hydroxytryptamine 2C Receptor Ligands by Homology Modeling and Molecular Docking Analysis

  • Ahmed, Asif;Nagarajan, Shanthi;Doddareddy, Munikumar Reddy;Cho, Yong-Seo;Pae, Ae-Ni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6호
    • /
    • pp.2008-2014
    • /
    • 2011
  • Serotonin or 5-hydroxytryptamine subtype 2C ($5-HT_{2C}$) receptor belongs to class A amine subfamily of G-protein-coupled receptor (GPCR) super family and its ligands has therapeutic promise as anti-depressant and -obesity agents. So far, bovine rhodopsin from class A opsin subfamily was the mostly used X-ray crystal template to model this receptor. Here, we explained homology model using beta 2 adrenergic receptor (${\beta}$2AR), the model was energetically minimized and validated by flexible ligand docking with known agonists and antagonists. In the active site Asp134, Ser138 of transmembrane 3 (TM3), Arg195 of extracellular loop 2 (ECL2) and Tyr358 of TM7 were found as important residues to interact with agonists. In addition to these, V208 of ECL2 and N351 of TM7 was found to interact with antagonists. Several conserved residues including Trp324, Phe327 and Phe328 were also found to contribute hydrophobic interaction. The predicted ligand binding mode is in good agreement with published mutagenesis and homology model data. This new template derived homology model can be useful for further virtual screening based lead identification.

지질분해효소 저해물질 함유 도둑놈의 갈고리 추출물의 영양특성 및 생리기능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Lipase Inhibitor-Containing Desmodium oxyphyllum DC. Extracts)

  • 이종국;강민구;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3-158
    • /
    • 2011
  • 천연물로부터 lipase 저해물질을 개발하여 기능성 식품 산업에 응용하고자 lipase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전보에서 최종 선발된 도둑놈의 갈고리(Desmodium oxyphyllum DC.) 에탄올 추출물의 영양성분, 온도, pH 안정성과 생리기능성 등을 측정하였다. Lipase 저해물질을 함유한 도둑놈의 갈고리 에탄올 추출물의 지질과 단백질 함량은 각각 26.5%와 5.7%이었고 유리아미노산으로 asparagine과 tryptophan 함량이 각각 4,860 mg/건조중량 100 g, 1,209 mg/건조중량 100 g으로 물 추출물보다 높았다. 또한, 도둑놈 갈고리의 에탄올 추출물은 pH 3.0~9.0, $80^{\circ}C$ 이하에서 비교적 안정하였고, 이에 대한 생리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lipase 저해 활성은 74.2%, 항 치매성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은 68.4%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레스베라트롤의 지질 대사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The Role of Resveratrol in Lipid Metabolism: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Basic and Translational Evidence)

  • 최승국;문현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7-73
    • /
    • 2016
  • 본 총설에서는 비-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인 레스베라트롤이 간, 골격근 및 지방조직에서 지질대사에 관계된 다양한 신호전달체계를 조절하여 지질 대사 효과를 유발시키는 과정에 관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in vitro 연구에서 레스베라트롤은 지방생성을 줄여주고 apoptosis를 증가시켜 지방세포의 발달과정에 기인하며, 지방세포의 분화에 있어 중요한 전사인자인 $C/EBP{\beta}$, $C/EBP{\alpha}$, SREBP1c 및 $PPAR{\gamma}$의 활성을 감소시켜 항 비만 효과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많은 논문들을 통해 증명되었다(Fig. 2). 또한, in vivo 연구에서 레스베라트롤은 지방 축적 과정을 억제하고 지질 분해 및 산화 경로를 자극하여 체지방 증가율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최근 다양한 연구의 결과물(Table 2)들은 레스베라트롤이 지방생성, 지방분해, 열발생 및 지방산 산화에 관여하며 또한, 백색 지방을 갈색 지방으로 변화시키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흥미롭게도 레스베라트롤은 비만뿐만이 아닌 심장발작 및 뇌졸중과 같은 다양한 대사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고, 결장암 및 간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인간에 대한 레스베라트롤의 명확한 메커니즘을 알지 못하고 인간에게 나타나는 부작용에 관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모델을 이용한 레스베라트롤의 단기간 및 장기간에 대한 깊은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