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lica keiskei L.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9초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Angelica keiskei Juice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 Chung, Hai-J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2호
    • /
    • pp.96-100
    • /
    • 2001
  • Mixtures prepared from whole milk with added skin milk powder(2.5%, w/v) and Angelica keiskei juice (1.5%, w/v) were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single and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Strpetococcus thermophilus) for 24 hours. The fermented mixtures (curd yogurt) were evaluated for acid production (pH and titratable acidity), cell numbers, viscosity, sensory property and keeping quality.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Angelica keiskei stimulated the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The number of viable cells reached 4.5~7.3$\times$10$^{9}$ CFU/mL for Angelica keiskei-added yogurts, while 3.3~5.1$\times$10$^{9}$ CFU/mL for control yogurts. Viscosity of Angelica keiskei-added yogurts was higher (3,609~3,854 centipoises) than that of control yogurts(3,346~3,700 centipoises). Of the microorganism tested,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was most effective in acid production. The overall sensory score showed that Angelica keiskei yogurt fermented with Streptococcus thermophilus was evaluated as good as control yogurt. When yogurts were stored at 4$^{\circ}C$ for 12 days, pH, titratable acidity and viable cell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p<0.05).

  • PDF

신선초와 무시레기의 항산화 성분 및 활성 비교 (Antioxidant Activities of Angelica keiskei L. and dried leaves of Raphanus sativus L.)

  • 지수진;이동진;임성희;신우정;조영숙;김소영;김정봉;김세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4-110
    • /
    • 2013
  • 무시레기와 신선초의 항산화 성분 및 활성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무시레기와 신선초 추출물의 polyphenol 함량은 각각 100 g당 $2.84{\pm}0.11g$, $2.88{\pm}0.02g$이었으며, flavonoid 함량은 $0.19{\pm}0.00g$, $0.38{\pm}0.01g$ 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무시레기 및 신선초 추출물이 DPPH radical 소거활성에서 $IC_{50}$값이 $348.72{\pm}31.65{\mu}g/mL$, $183.37{\pm}48.17{\mu}g/mL$으로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17.8 %, 11.9 %의 활성을, SOD 유사활성에서는 63%, 58%의 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총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과 항산화 활성간의 상관관계에서 총 flavonoid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이 r=0.9804,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r=-0.9863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ABTS^+$ radical 소거활성과 r=-0.9609, SOD 유사활성과는 r=0.4865로서 각각 유의한 부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신선초설기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관능적$\cdot$텍스쳐 특성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hinsuncho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 이효지;이은미;차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22-432
    • /
    • 2005
  • Shinuncho(Angelica keiskei koidz)sulgi is a kind of steamed rice cake by an earthenware steamer. I made Shinuncho-sulgi samples with different amounts of Angelica keiskei koidz - powder and different types of sugars (sugar or honey). The more Angelica keiskei koidz powder it has the bitter it tastes but the lower sweetness, moistness and chewiness it has. Samples with honey have higher sweetness, moistness and chewiness but lower bitterness and after-swallowing than ones with sugar. Color is Shinsuncho-sulgi with $3\%$ of Angelica keiskei koidz - powder and honey has been judged to have the best quality. Flavor and Overall-acceptability are Shinsuncho-sulgi with $2\%$ of Amge;oca keiskei koidz - powder and honey has been judged to have the best quality. The more Angelica keiskei koidz powder it has the higher hardness but the significantly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it has. Samples with honey have higher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but lower adhesiveness, than ones with sugar. The moisture content of Shinsuncho-sulgi is $35.89\~37.08\%$. Samples with honey have higher b-value but lower L-value and a-value than ones with suga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best ratio of ingredients is as follow non-glutinous flour 196g, Angelica keiskei koidz powder $2\%$ (4g), honey 35ml, salt 2g, water 20ml and $37.08\%$ of moisture content.

초고압처리 신선초 녹즙의 저온저장 안정성 및 관능적 특성 변화 (Effect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the Shelf-lif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gelica keiskei Juice)

  • 이동언;박지용;강정일;여익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5-108
    • /
    • 1996
  • 초고압처리한 신선초 녹즙을 $4^{\circ}C$에서 냉장보관 하면서 미생물의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초고압처리는 전보에서 최적살균조건으로 계산된 $5700\;kg_f/cm^2$, 7 min의 조건으로 처리하였는데 초기 $8.7{\times}10^6\;CFU/mL$ 존재하던 일반 세균수가 초고압처리 후에는 $3.2{\times}10^3\;CFU/mL$로 감소하여 전보에서 계산된 예상 살균치인 3.44 log cycle 감소에 잘 부합하였다. 특히, 저온저장 식품에 문제가 되는 녹농균이 완전히 사멸하였으므로 저온저장에 유리한 특성을 부여하리라 생각되었다. 대장균 및 대장균군도 완전히 사멸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밝기와 풀냄새를 제외하고는 초고압처리에 의해 관능특성상의 유의적 차이가 생기지 않았으며, $4^{\circ}C$에서 8일간 저장한 후에는 신선감에서 초고압처리한 녹즙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 하지만 초고압처리 녹즙에서도 효소적 갈색화로 인한 색도의 변화가 일어나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 PDF

신선초 에탄올 추출물이 인체 유방암 MDA-MB-231 세포에서 세포증식, 세포사멸과 ROS 축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gelica keiskei Ethnol Extract on Proliferation, Apotosis and ROS Accumulation in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 정유진;남미경;강금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4-30
    • /
    • 2011
  • The anti-cancer effects of Angelica keiskei ethanol extract were evaluated in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The concentrations of extract were 1, 2, 3, 4 and 5 mg/mL. Dose-dependent reductions in the number of cells with altered cell shape and pyknotic nuclei were observed at 48 h after treatments. MTT assay also exhibited a similar dose-dependent reduction in mitochondrial reductase activity (p<0.05), in particular, with a rapid reduction in the activity of the 5 mg/mL group. Analysis of cell death with propidium iodide (PI) staining revealed only a slight increase in cell death in the 5 mg/mL group. Analysis of bromodeoxyuridine (BrdU) incorporations also showed a dose-dependent reduction in cell proliferation (p<0.05). Finally, increases in total radical oxygen species (ROS) accumulation in cells, as revealed by DCF-DA staining, were observed in the treated groups in a similar dose-dependent fashion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gelica keiskei ethanol extract exhibiting anti-cancer effects in MDA-MB-231 cells causes multiple changes in cell shape, enzyme activity, and ROS accumulation, thereby inducing cell death.

신선초를 혼합한 과채주스의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uit-Vegetable Juices Containing Angelica keiskei on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in vitro)

  • 김민주;임상욱;안혜진;전정귀;강민정
    • KSBB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8-13
    • /
    • 2016
  •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can cause hangover symptoms, such as headache, drowsiness, dizziness, gastrointestinal distress, and anxie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vegetable juices containing Angelica keiskei prepared using a low speed masticating juicer in vitro. The acceleration rate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by A. keiskei-cherry tomato juice (ACJ) and A. keiskei-green grape juice (AGJ) were $163.8{\pm}4.3%$ and $148.2{\pm}6.9%$, respectively. The acceleration rate of aldehyde dehydrogenase (ALDH) by ACJ and AGJ were $185.6{\pm}9.5%$ and $161.1{\pm}4.8%$,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of ACJ and AGJ were $111.1{\pm}1.6mg/dL$ and $100.8{\pm}2.9mg/dL$,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ACJ and AGJ were $62.0{\pm}0.5%$ and $61.3{\pm}0.4%$, respectively. Th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cohol degrading enzyme activities can be enhanced by fruitvegetable juices containing A. keiskei.

Endothelin-1 생성 저해와 멜라닌생성 저해에 의한 신선초 추출물의 미백 효과 (Whitening Effect of Angelica keiskei Koidzumi Extract by Inhibition of Endothelin-1 Production and Melanogenesis)

  • 박선희;이방용;한창성;김진국;김경태;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1-107
    • /
    • 2008
  • 신선초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의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16 멜라노마와 정상 사람 표피 세포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70% ethanol 용매로 추출한 신선초 추출물을 연속적으로 분획하여 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물 분획물을 얻었다. 버섯 티로시나제 활성 실험에서 신선초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은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B16 멜라노마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실험에서는 hexane 분획물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억제 효과를 보였다. 세포내 멜라닌 생성의 초기 단계에 작용하는 티로시나제 단백질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hexane 분획($IC_{50}$ < $25{\mu}g/mL$)과 ethyl acetate분획($IC_{50}$ < $5{\mu}g/mL$)은 알부틴($IC_{50}{\leq}250{\mu}g/mL$)과 비교 시 더 낮은 농도에서 현저하게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시켰다. 따라서 신선초 추출물의 미백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멜라노 사이트의 mitogen으로 작용하는 endothelin-1(ET-1)과 UVB에 의해 생성되어 염증을 매개하는 interleukin-$1{\alpha}$(IL-$1{\alpha})$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Hexane 및 ethyl acetate 분획물은 IL-$1{\alpha}$의 생성에 영향을 끼치지 못했으나, 표피세포에서 UVB에 의해 생성된 ET-1을 농도에 따라 감소시킴으로써 멜라노사이트의 melanogenesis를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신선초 추출물은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써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녹즙의 항산화 영양성분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Nutrients in Green Yellow Vegetable Juice)

  • 정소영;김현위;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80-88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녹즙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신선초, 케일, 당근, 샐러리, 오이로 각각 녹즙을 제조하고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영양성분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5가지 녹즙에는 항산화 영양성분인 ${\beta}-carotene$, 비타민 E, 비타민 C, Se, Ca, Mn, Zn, 페놀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었다. ${\beta}-carotene$의 함량은 쥬스 100 g 당 당근이 59.09 mg, 케일이 3285.3 mg, 신선초가 1398.3 mg, 샐러리가 176.7 mg 오이가 61.4 mg이었다. ${\alpha}$-토코페롤의 함량은 케일녹즙이 1.41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샐러리 녹즙에는 0.04 mg/100 g이 함유되어 있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케일 녹즙은 비타민 C 함량도 녹즙 100 g당 105.1 m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신선초 31.4 mg, 오이 9.3 mg, 샐러리 7.5 mg, 당근 5.2 mg 순이었다. 항산화성 무기질은 대체로 신선초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 양을 보면 녹즙 100 g당 Cu가 0.4 mg, Mn 0.5mg, Zn 0.24mg이고 Se은 녹즙 kg당 0.61 mg이었다. 케일녹즙에는 100 g당 Cu 0.45 mg, Mn 0.22 mg, Zn 0.24 mg이었다. Se는 1kg 당 0.33 mg로 신선초 다음으로 많은 항산화성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샐러리와 오이에 함유되어 있는 황산화성 무기질의 양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총 페놀 물질함량은 5가지 녹즙에서 $0.01{\sim}0.05%$이었으며 케일 녹즙이 가장 많은 페놀물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 PDF

신선초 및 신선초박을 이용한 노루궁뎅이버섯 배양추출물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Hericium erinaceum Cultured by the Extracts of Angelica keiskei and the Byproduct of Angelica keiskei)

  • 권상철;박강용;정재현;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68-1173
    • /
    • 2008
  • 폐기되고 있는 녹즙박을 활용하기 위한 일환으로 신선초 및 신선초박을 영양원으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배양하고 배양물을 추출하여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쇄한 신선초 및 신선초박을 배지로 하여 노루궁뎅이버섯을 배양한 경우 $107{\sim}112\;mm$의 균사생육을 보여 신선초 및 신선초박이 노루궁뎅이버섯 배양용 배지로써 이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초 및 신선초박 추출물의 수분함량은 각각 94.36% 및 97.36%이었으나 신선초 및 신선초박 추출물에 배양한 노루궁뎅이버섯은 90.95% 및 94.20%로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반면 기타 일반성분은 대체적으로 증가하였다. 비타민 A의 함량은 신선초에서 20.78 IU/100 mL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신선초 및 신선초박 노루궁뎅이 버섯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비타민 $B_2$와 비타민 C의 경우에는 신선초 및 신선초박에서의 함량보다 신선초, 신선초박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에서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은 신선초 및 신선초박이 가지고 있는 함량에 비하여 노루궁뎅이버섯 배양 추출물의 무기질(Fe, P, Mg, Ca) 모두 증가하였으며 총아미노산의 함량에서는 원료는 각각 177.17 mg% 및 149.99 mg%이었으나 노루궁뎅이버섯 배양 추출물의 경우에는 231.08 mg% 및 372.25 mg%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ucumovirus에 의한 약용식물(藥用植物) 바이러스병(病)의 발생(發生)에 대하여(I) (Virus Diseases of Medicinal Plants infected by Cucumovirus(I))

  • 이준탁;박인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9권
    • /
    • pp.115-125
    • /
    • 1991
  • 우리나라와 일본(日本)에서 야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약용식물(藥用植物)의 바이러스병을 조사한 결과 33종의 식물이 자연상태에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에 감염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들 중에서 개맨드라미(Celosia argenteia)와 쇠비름(Portulaca oleracea)의 모자이크병(가칭(假稱)), 쥐방울덩굴(Aristolochia debilis)과 번행초(Tetragonia expansa)의 괴저(壞疽)모자이크병(가칭(假稱)), basella(Basella rubra)윤문병(輪紋病)(가칭(假稱)), 석결명(Cassia torosa)과 시호(Bupleurum falcatum), 당귀(Angelica acutiloba), 구릿대(A. keiskei), 회향(Foeniculum vulgare), peucedanum(Peucedanum japanicum)의 반문병(斑紋病)(가칭(假稱))등 11종의 바이러스병명(病名)을 새로히 명명(命名)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