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lica dahurica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5초

경남지역의 토양 및 농작물중 게르마늄 함량 (Germanium Contents of Soil and Crops in Gyeongnam Province)

  • 이성태;이영한;이홍재;조주식;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4-39
    • /
    • 2005
  • 양질의 기능성 농산물 생산을 위하여 게르마늄의 농업적 이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남지역의 토양을 중심으로 지역, 지형, 토양유형 및 토성별 게르마늄 함량과 자연상태에서 재배한 농작물별 게르마늄 함량을 조사하여 그 분포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중 게르마늄 함량을 분석한 결과 경남지역 논 토양 평균 함량은 0.24 mg/kg 이었고, 마산시, 진주시 및 하동군 지역이 0.30 mg/kg 이상으로 높았다. 지형별로는 홍적대지가 0.26 mg/kg으로 약간 높았으나 지형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토양유형별 게르마늄 함량은 보통답이 0.27 mg/kg으로 사질답과 습답에 비하여 높았으며, 토성별로는 미사질양토가 0.27 mg/kg으로 비교적 높았다. 일반농작물중 게르마늄 함량은 곡류>채소류>과일류 순으로 높았고, 쌀과 보리는 각각 약 68 및 $48{\mu}g/kg$의 게르마늄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단감과 배는 각각 약 11 및 $23{\mu}g/kg$으로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채소류중 게르마늄 함량은 엽채류>근채류>과채류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상추와 열무중 게르마늄 함량이 각각 약 62 및 $65{\mu}g/kg$으로서 높았다. 약용작물중 게르마늄 함량은 신선초(Angelica keiskei), 토천궁(Ligusticum chuanxiong), 인삼(Panax ginseng), 삽주(Atractylodes macrocephala), 백지(Angelica dahurica),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및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에서 $100{\mu}g/kg$ 이상으로 게르마늄 함량이 높았으며, 선학초(Agrimonia pilosa) 및 일당귀(Angelica acutiloba)의 함량은 각각 37 및 $30{\mu}g/kg$으로 낮았다.

Topical application of herbal formula for the treatment of ligature-induced periodontitis

  • Kim, Mi Hye;Choi, You Yeon;Lee, Hye Ji;Lee, Haesu;Park, Jung-Chul;Yang, Woong M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5권4호
    • /
    • pp.145-151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a herbal formula, PerioH-035, containing Angelica sinensis, steamed Rehmannia glutinosa, Angelica dahurica, Cimicifuga heracleifolia, and Zanthoxylum piperitum on the periodontal breakdown in a well-established ligature-induced periodontitis model in rats.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1 of 4 groups: NL (non-ligatured), L (ligatured), P1 (ligatured and treated with 1 mg/mL PerioH-035), P100 (ligatured and treated with 100 mg/mL PerioH-035). Periodontitis was induced by placing a ligature around the mandibular first molars. PerioH-035 was topically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molar for 2 weeks. The right side of the mandibles was retrieved for micro-computed tomography (CT) and methylene blue staining to analyze alveolar bone loss. The left side of the mandibles was histologically analyzed by TRAP and H&E staining. The MMP-9 mRNA level in gingival tissue was investigated by RT-PCR. Results: Alveolar bone resorp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erioH-035-treated groups. The number of dense multi-nucleated cells found to be TRAP-positive by staining in the ligatured rats was markedly decreased by PerioH-035 application. In addition, periodontal tissue destruction, especially cementum demineralization, was ameliorated in the P1 and P100 groups. Moreover, gingival tissue from the PerioH-035-treated group showed a decrease in the MMP-9 mRNA level, resulting in recovery of collagen degrad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ioH-035 has therapeutic effects on periodontitis, and thus, PerioH-035 shows promise as a treatment for periodontitis.

지리산 자생식물 5종의 화장품 원료개발을 위한 성분 및 DPPH, ABTS 활성분석 (Analysis of Ingredients and DPPH, ABTS Activity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ic Raw Materials using 5 Kinds of Plants Native to Mt. Jiri)

  • 정연옥;강보경;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4호
    • /
    • pp.18-29
    • /
    • 2022
  • 청정지역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5종(누리장나무, 구릿대, 층꽃나무, 인동덩굴, 박쥐나물)의 식물을 선정하여 5월부터 9월까지 자생지에서 꽃이 활짝 개화한 상태에서 채집하였다. 채집한 식물은 전초는 추출하여 17종의 폴리페놀 성분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꽃, 잎, 줄기, 뿌리를 분리하여 각 부위의 추출물로 DPPH, ABTS,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에 관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리산에 자생하는 5종의 식물에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은 총 8가지였으며, 그중 가장 많은 것은 chlorogenic acid(4종)였고, 다음으로 caffeic acid(2종)가 많았다. 2.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살펴본 결과 박쥐나물 줄기가 가장 좋았으며, 누리장나무는 특정 부위와 상관없이 좋았으며, 구릿대는 꽃, 인동덩굴에서는 잎에서 활성소거능이 좋았다. 3. ABTS radical 소거 활성도가 가장 높은 것은 누리장나무로 EC50 값은 38.73~66.28ppm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인동덩굴이었으며, 구릿대와 박쥐나물의 잎과 줄기, 층꽃나무 잎과 줄기 순이었다. 4. 총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누리장나무 잎의 154.83 mgGAE/g이었고, 다음으로 누리장나무 꽃과 박쥐나물 줄기로 약 130 mgGAE/g이었다. 가장 낮은 것은 구릿대 줄기로 26.27 mgGAE/g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박쥐나물 가지는 256.34 mgGAE/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누리장나무 잎으로 179.26 mgGAE/g이었다.

Regulatory Effect of Inflammatory Reaction by Anglicae Dahuricae Radix

  • Park Jong Ha;Choi Hyun Joo;Kwon Young Mi;Shin Byung Cheul;Kwon Young Dal;Song Yung Su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896-1903
    • /
    • 2004
  • Anglicae dahuricae Radix (ADR), the dried roots of Angelica Dahurica Benth et Hook (Umbelliferae),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used to treat colds, headache, skin diseases such as acne and possess analgesic, antipyretic and drainage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the author evaluated the effect of ADR on regulation of inflammatory reaction. ADR reduced the ear-swelling responses derived from compound 48/80 in dose-dependent manner significantly. ADR inhibited the PMA plus A23187-induced productions of IL (Interleukin)-8, IL-1β,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from human mast cells (HMC)-1. In addition, ADR blocked PMA plus A23187-induced ERK1/2 phosphorylation. Ⅰ suggest that ADR regulates inflammatory reaction through inhibi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8, IL-1β and GM-CSF.

數種 韓藥材의 齒牙美白 效果에 관한 實驗的 硏究 (Study on the effects of herbal extracts on tooth whitening, antioxidant, nitric oxide synthesis and Streptoccocus mutans.)

  • 정현아;;임석인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9
    • /
    • 2002
  • Fifteen herbs used in oral medicine were extracted in ethanol and screened for tooth whitening effec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n Streptoccocus mutans. The results are as followed: 1. The tooth whitening effect of toothpaste containing 1 $\%$ ethanol extracts of 15 herbs was tested in brushing method using artificially stained HAT tablet and bovine tooth specimens. Toothpaste containing 1$\%$ of Vucia unijuga, Illicium verum, Angelica dahurica and Piper longum extracts showed tooth whitening effects on both HAT tablet and bovine tooth specimens. But the others did not show a considerable activity. 2.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15 herbs was tested using the method of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eactivity. Two ethanol extracts of Cimicifuga heracleifolia and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 heracleifolia and P. nigra var. henonis extracts removed 86$\%$ and 81 $\%$ of DPPH radical at 0.01$\%$, compared with butylated hydroxy toluene as positive control. 3. The inhibition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n nitrate production In RAW264.7 cell stimulated by lipopolysacchride was tested using the Griess reagent. But all extracts did not inhibit nitrate production. 4. The antibacterial activity on Streptoccocus mutans was tested by paper disk method. But no one extract showed any anti - bacterial activity.

  • PDF

의성지역(義城地域)의 약용작물(藥用作物) 생산현황(生産現況) (Production of Medicinal Crops in Uisong Region)

  • 김봉구;김종혜;김세종;박소득;최부술;여수갑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32-238
    • /
    • 1998
  • 의성지역의 약용작물 생산현황(生産現況) 및 경영분석(經營分析)을 위하여 약용작물 재배 농가 147호를 대상으로 재배실태와 작물별 소득(所得)을 조사(調査)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특화계수(特化計數)가 1이상인 작물은 작약(21.59), 산수유(14.82), 시호(7.90), 지모(6.41), 지황(3.96), 두충(3.44), 목단(2.28), 백지(1.51)순으로 나타났다. 2. 조사농가의 평균 토지이용면적(土地利用面積)은 1.92ha이었는데, 그중 밭이 1.35ha. 논은 0.56ha이었다. 농지분포(農地分布)는 농가당 평균 3.1곳에 10.2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용작물부문에 년간 노동투하(勞動投下)는 31.1%를 차지하였다. 3. 조사대상 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약용작물은 36개 작물로 농가당 평균 2.4작물이었다. 대표적인 작물은 작약이었는데, 조사농가 147호 가운데 85농가가 참여하여 30.72ha를 재배하고 있었다. 4. 약용작물 재배실태를 보면, 작약, 시호, 택사, 길경, 황기, 감국 등은 재배면적이 줄어드는 추세(趨勢)이고 홍화는 새로운 소득작물(所得作物)로 재배되고 있으며, 더덕, 지모, 지황, 원황정, 백출 등은 재배 면적이 늘어났다. 5. 36개 약용작물중 10a당 평균소득이 높은 작물은 홍화(2,775천원), 원황정 (2,706천원), 일천궁(2,573천원) 등의 순이었으나 재배농가에서는 농가여건에 부응하면서 위험부담이 적고 가격안정(價格安定)이 기대되는 작물을 선택하여 농가 수준에서 부가가치(附加漂値)를 최대한 증대(增大)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우리나라 꿀풀과와 산형과 식물의 화기 구조와 방화 곤충 (Floral Characteristics of Labiatae and Umbelliferae Flowers and Insect Pollinators in Korea)

  • 김갑태;류동표;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2-29
    • /
    • 2013
  • 우리나라에 생육하는 꿀풀과와 산형과 식물들의 화기구조와 화분매개충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고자, 2010년 4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꽃을 찾는 곤충들을 조사였으며 꽃들의 화기구조를 관찰하였다. 꿀풀과 식물을 찾는 벌목 곤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21, 나비목 곤충들이 16의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꽃무지과를 비롯한 딱정벌레목과 꽃등에를 비롯한 파리목 곤충들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은 1로 매우 낮았다. 산형과 식물을 찾는 파리목 곤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27, 벌목 곤충들이 24, 꽃무지를 비롯한 딱정벌레목 곤충들이 21, 그리고 나비목 곤충들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은 13으로 나타났다. 식물종에 따른 화분매개충의 방화빈도 등급 합은 산형과의 기름나물이 2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구릿대가 13으로 높았으며, 꽃이 작은 편인 꿀풀과의 꽃층층이꽃, 석잠풀, 오리방풀이 등이 방화빈도 등급 합이 2로 가장 낮았다. 곤충 분류군별 방화빈도에서는 벌목 곤충이 57, 파리목 곤충이 46으로 높았으며, 나비목과 딱정벌레목 곤충은 23으로 낮은 편이었다. 참당귀는 방화곤충이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배초향 15종, 꿀풀 13종, 기름나물 13종, 구릿대 11종의 순으로 낮아졌다. 꽃층층이꽃과 오리방풀에서는 각각 좀뒤영벌과 어리황뒤영벌 1종만이 방화하였다. 딱정벌레목과 파리목 곤충들은 꿀풀과 식물의 꽃 보다 산형과 식물의 꽃에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파리목과 나비목 곤충들은 자주색에 비하여 백색의 꽃에 상대적으로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이 연구로 국화과 식물의 화기구조와 화분 매개 곤충 간의 상리공생적 상호관계를 어느 정도 파악하였다.

MAPKs의 활성화 기전을 나타내는 항염증 소재의 탐색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Herbs having the Activation of MAPK Family Proteins)

  • 이경호;이기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3-350
    • /
    • 2015
  • Lonicera japonica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LPS에 의해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NO의 생성량과 TNF-${\alpha}$, IL-$1{\beta}$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였고, MAPK family인 ERK, p38 및 JNK의 인산화와 $I{\kappa}-B{\alpha}$의 분해를 억제하였다. LPS로 유도한 endotoxin shock 동물실험에서 Lonicera japonica 에탄올 추출물 20 mg/kg에서 LPS로 유도한 endotoxin shock에 대한 생존율을 3배 이상 증가시켰으며, 생존시간도 1.3~1.4배 증가시켰다.

Imperatorin을 처리한 HL-60 백혈병 세포주에서 대규모 유전자 분석 발현 연구 (Studies on Gene Expression of Imperatorin treated in HL-60 cell line using High-throughput Gene Expression Analysis Techniques)

  • 강봉주;차민호;전병훈;윤용갑;윤유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28-1035
    • /
    • 2004
  • Imperatorin, a biologically active furanocoumarin from the roots of Angelica dahurica (Umbelliferae), was mutagenic and induced transformation of mouse fibroblast cell lines, whereas it provided inhibiting effects on mutagenesis and carcinogenesis induced by various carcinogens. Furthermore, it has been suggested that imperatorin may have potential anticarcinogenic effects when administered orally in the diet. In addition to its anticarcinogenic properties, imperatorin has been shown to possess anticancer activities. We investigated the macro scale gene expression analysis on the HL-60 cells treated with imperatorin. Imperatorin (10μM) were used to treat the cells for 6h, 12h, 24h, 48h, and 72h. In a human cDNAchip study of 10,000 genes evaluated 6, 12, 24, 48, 72 hours after treated with imperatorin in HL-60 cells. Hierarchical cluster against the genes which showed expression changes by more than 2 fold. Three hundred eighty six genes were grouped into 6 clusters by a hierarchical clustering algorithm. Pathway analysis using gene microarray pathway prof Her that is a computer application designed to visualize gene expression data on screen representing biological pathways and groupings of genes.

배추좀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대한 한방식물체 추출물의 살충 및 섭식저해활성 (Larvicidal and Antifeeding Activities of Oriental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Plutella xylostella and Spodoptera litura)

  • 권형욱;안용준;권정현;이상길;변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503-508
    • /
    • 1994
  • 17종과 45종 한방 식물체 메탄올 추출물의 배추좀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활성 및 섭식저해활성을 잎침지법으로 조사하였다. 살충활성은 8,000 ppm에서 조사하였는바, 현호색 추출물만이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대해 강한 살충활성을 보였다. 섭식저해활성은 5,000 ppm에서 조사한 결과, 누리장나무, 거문누리장나무, 목향, 우방자, 인진, 전호, 백지 및 현호색 추출물이 강한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