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workbook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1초

"우리마을 예쁜치매쉼터"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일 개도의 지역특화사업 중심 (A Case Study on the Appealing Dementia Rest Area in Our Village for Regional Specialization Province in Gyeongsangbuk-do)

  • 하태희;형나겸;곽경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2-197
    • /
    • 2020
  • Purpose: This study undertook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 operation status, support requirements and improvement plans for establishing an appealing dementia rest area in Gyeongsankbuk-do.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to June 20, 2019, using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of 8 health professionals, and were subjected to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Our analysis revealed 4 themes and encompassing 16sub-themes: 1) program operation status (hard to prepare and operate programs, difficulty adjusting the program level, various needs of program participants,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among program participants); 2) policy support needs (need for assistants staff and basic education, requirement of extensive training for the main operators, support program aid equipment, incentive payments and performance reflections); 3) project operation's improvement plan (improved the operation of doubles classes, improved of training materials for the main operators, improved program activities and workbooks, Increasing the number of dementia rest areas); 4) positive effects and changes (positive effects of specialized projects, changes in perceptions of dementia, strengthening community awareness through doubles classes, synergy effect on community health care post awareness) Conclusion: We believe the current study results can be appli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new model, and will positively impact the national dementia management project.

다중지능을 이용한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탐구 과제의 교수·학습 전략 분석 (An Analysis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f Inquiry Tasks in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s by Multiple Intelligence)

  • 노정임;송기호;유종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5-2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교수 학습전략을 정보 활용 과정별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정보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도덕 교과서의 탐구 과제는 언어 지능과 논리 수학 지능 및 공간 지능을 중심으로 설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활용 과정별로는 분석 이해 단계는 언어지능과 공간 지능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종합 적용 단계는 논리 수학 지능이 표현 전달 단계는 언어 지능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탐구 활동의 부족한 다중지능을 길러주기 위하여 사서교사는 공간과 교구를 개선하고, 탐구 과제의 교과 연계성을 분석하여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학습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Effects on the Use of Two Textbooks for Four Types of Classes in a South Korean University

  • Ramos, Ian Done D.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24-32
    • /
    • 2013
  • This paper determined students' ranks of difficulty on the use of materials in terms of 1) understanding the layout of the learning materials, 2)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learning materials, and 3) realization on relevance to needs of the learning materials. It also determined students' 4) rank and frequency of attitude on the materials. With the data gathered through 128 survey questionnaires, 7 focused group discussions, and 10 interviews, the results were found out that there was an inappropriate assessment procedure set by this particular university. The researcher concludes that: 1) design of four types of classes by just using the two textbooks with their respective workbooks is grammar-based with limited conversation activities; 2) placement for these students in one big class size was implemented without considering their common interest and motivation and language levels; and, 3) qualification of teachers teaching these EFL students did not support students' real needs and the language program itself. Content professors who were made to teach may have the ability to input learning, but their teaching styles may differ from the ones who are real English teachers. This paper then recommends that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ion should have an appropriate placement exam before students attend the class, especially in a big class size. There could only be a few problems among students in one big class size when students' level of competence is proportioned. With this, topics and conversation activities can even be more flexible with the maneuver of art of questioning, various dimensions of thinking, strategic competence, learning attitude or behavior, etc. to ensure sustenance of communicative mode and level of interest and motivation in the classroom. Grammar-based instruction can only be taught when a need arises. Thus, the course description of each class will be able to transact the objectives ready for developing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Moreover, proper measurement can be utilized to validly assess the amount of students' learning and the progress of language curriculum design in terms of materials selection and teaching approach.

  • PDF

고등학교 '식품안전과 건강' 워크북 활용 수업의 효과 분석 (Effectiveness of the 'Food Safety and Health' Workbook for High-school Students)

  • 유난숙;박미정;최성연;정난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484-49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mplementing the high-school 'Food Safety and Health' curriculum using the workbook, and to evaluate the educational impact on, and satisfaction of student who participated in class. A total of 109 lessons were undertaken in home economics classes by referring to the 'Food Safety and Health' workbook for 1,154 students attending seven high schools located in seven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classes by referring to workbooks, pre- and post-evaluations were conducted by devising a questionnaire about dietary behavior associated with food safet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community capacities, and social cooperation capac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om 674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e- and post-evaluation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aired t-test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the workbook in classes on dietary behavior,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dietary behavior related to food safety,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ocial cooperation capab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the students' evaluation of classes by referring to the 'Food Safety and Health' workbook, both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the class using the workbook were high, and the difficulty level was deemed to be appropriat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learning activities. The reason for this appears to be that the aforementioned workbook consisted of various student activities such as experiments, practical exercises, and group activities aimed at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life and education, thus enabling increased student participation.

발달장애인을 위한 읽기쉬운자료 제작 교재 개발 연구 (Developing Textbook of Producing Easy-to-read Material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경양;남보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77-487
    • /
    • 2021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읽기쉬운자료 개발 교육 시 활용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재는 국내외 읽기 쉬운 자료 제작 지침서 분석, 차시 확인 및 교재 내용 개발, 타당도 검증의 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자료는 독자 구분, 어휘, 상징, 레이아웃, 제작 실습을 포함하여 총 7차시의 교재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재의 중요한 특성은 첫째, 국내 최초로 읽기 쉬운 자료를 읽는 독자를 분류하여 보통 읽기(Plain Language) 독자, 읽기 쉬운(Easy to Read) 독자로 소개하였다. 둘째, 읽기 쉬운 자료를 개발하면서 참고할 수 있는 지침을 체크리스트로 개발하여 스스로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주제별 활동지와 워크북을 개발하여 활동 중심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An Analysis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3rd Grade Types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Word Problem)

  • 임자선;김성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01-525
    • /
    • 2015
  • 본 논문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에 제시된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를 유형별로 분석하고,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문장제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을 살펴봄으로써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을 생각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에 제시된 자연수의 곱셈 문장제를 동수누가, 비율, 비교, 정렬, 조합의 5가지 의미 유형으로, 나눗셈은 등분제와 포함제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에서 미지수의 위치에 따라 처음량, 변화량, 결과량을 묻는 문장제의 구문 유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문장제 문제해결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는데, 앞서 분석한 곱셈과 나눗셈의 문장제 유형을 의미와 구문으로 나누어 2차례의 검사를 실시하여 정답률과 학생들의 오답 반응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곱셈은 동수누가에서의 정답률이 높게 나온 반면 나눗셈의 경우 포함제와 등분제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교과서의 문제 유형 분포와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의 효과적인 지도와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문장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수학 내용, 용어와 기호,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ntinuity between Math-Related Activities of Nuri Manuals for Teachers and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Mathematical Contents, Terms and Symbols, and Mathematical Processes -)

  • 장혜원;임미인;이화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257-272
    • /
    • 2015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의 중점 중 하나인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강화와 관련된다. 교육현장의 교사들이 교육과정보다 교과서에 더욱 의존적이라는 사실에 비추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활동과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연계가 미흡한 내용에 대한 연계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1, 2학년 수학 교과서를 수학 내용, 수학 용어와 기호, 수학적 과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와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 교과서이며, 본 연구와 동일선상에서 이루어진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에 사용된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양자 간의 연계성 확보 방안과 교육과정 개정 및 수학 교과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용어의 분석과 비판: 몇 가지 예를 중심으로 (An Analysis And Criticism on Mathematics Terminologies Us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Focused on Some Examples)

  • 박교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여러 맥락에서 사용하는 '값', '꼭짓점', '높이'에 관해, 그 다음에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겨냥도', '머리셈', '영점 일의 자리/영점 영일의 자리/영점 영영일의 자리', '자릿수', '자연수 부분/소수 부분'에 관해, 마지막으로는 초등학교 교과서/익힘책에서 사용하는 중학교 수학용어 '거리', '수직선', '식의 값'에 관해 논의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결론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수학용어로서의 '값'을 강조해야 한다. '거리'는 중학교 용어인 바, 초등학교에서는 '높이'를 '선분의 길이'로 통일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체 표현이 가능한 '자릿수', '식의 값', '자연수 부분/소수 부분', '각뿔의 꼭짓점/원뿔의 꼭짓점', '머리셈'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셋째, '대소수', '진소수'의 사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겨냥도'의 사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수직선'을 초등학교수학용어로 추인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소수 첫째 자리', '소수 둘째 자리', '소수 셋째 자리'를 '영점 일의 자리', '영점 영일의 자리', '영점 영영일의 자리'와 동등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PDF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짝수와 홀수의 지도 내용에 대한 고찰 (Reflections on the instruction of even and odd number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김리나;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4호
    • /
    • pp.551-567
    • /
    • 2023
  • 짝수와 홀수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다뤄지는 내용이지만 어느 학년에서 제시하느냐에 따라 도입하는 활동 및 정의 방식, 짝수와 홀수에 대한 합의 성질을 다루는 활동이 달라진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별 교과서에 제시된 짝수와 홀수 관련 활동을 비교 분석하고, 국외 교과서의 관련 활동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짝수와 홀수의 지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제4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는 5학년 교과서의 배수와 약수 단원에서 짝수와 홀수를 다루었다. 반면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로는 1학년 교과서에서 50 또는 100까지의 수를 지도하면서 해당 내용을 다루었다. 또한 짝수와 홀수의 정의는 지도하는 학년과 단원의 특성에 따라 달라졌으며 합의 성질을 다루는 활동은 제3차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일부 수학 익힘에만 제시되었다. 국외 교과서에서는 짝수와 홀수의 지도 시기가 1, 2, 5학년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그에 따라 제시하는 활동이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짝수와 홀수의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과학 학습 언어의 문법적 특성을 고려한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고찰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ommunication Competence Considering Grammatical Features of Language in Science Learning)

  • 맹승호;이관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30-43
    • /
    • 2022
  •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과학 수업 대화 및 글쓰기에 구현된 언어 표현의 국어 문법적 특성에 근거하여 그들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Brown et al. (2010)의 증거에 기반한 추론 프레임웍을 순환학습모형에 접목하여 작성한 수업안을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에 적용하였다. 수업 대화에 활발히 참여한 학생 8명의 대화 전사본과 그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문장을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텍스트의 내용 및 논리 관계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문법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은 데이터 분석, 증거 해석, 규칙 적용, 설명 구성 등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과학 언어의 문법적 구조와 일치하지 않는 언어 사용의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명사화 방식의 문법적 은유를 사용하거나, 적절한 인과 관계의 문법 구조를 사용한 글쓰기 사례도 제시되었다. 교사의 교수법적 안내 발화나 교과서 텍스트의 문법 구조를 통해 학생들이 과학의 문화에서 사용되는 언어 활동의 양태를 경험하면 초등학생도 유사한 과학적 말하기와 글쓰기를 나타낼 수 있었다. 학생들이 증거에 기반한 추론에 근거한 과학지식 구성의 맥락에 적절한 언어 사용 이해와 이에 대한 문식 기능을 습득할 수 있게 하려면, 과학 학습에 관한 언어 사용 모델을 접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